"성운 황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내용나무위키_긴고아의_죄수) |
(→작중행적) |
||
72번째 줄: | 72번째 줄: | ||
=='''작중행적'''== | =='''작중행적'''== | ||
+ | 초중반 크게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지만 서유기 에피소드 이후 마지막 시나리오에서 김독자를 방해한다. | ||
− | |||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 ||
81번째 줄: | 81번째 줄: | ||
</div> <ref>[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3400123 전지적독자시점_425화_中]</ref> | </div> <ref>[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3400123 전지적독자시점_425화_中]</ref> | ||
− | 위와 같은 메인 | + | 위와 같은 메인 시나리오에서 성운의 후원을 받는 화신 '페이후'를 1등으로 내정ㅈ어 놓고 시나리오를 주체하고 있었으나 김독자 일행의 가파른 순위 상승에 위험을 느낀다. 이에 그를 저지하고자 성운의 성좌들이 직접 내려와 김독자 일행을 공격하기 시작하는데, 심사위원으로 있던 긴고아 죄수(제천대성)의 방해로 막히게 된다. 김독자와 그 일행을 막기 위해 이랑진군, 나타 등을 비롯해 서유기에서 나온 대부분의 성좌가 전쟁에 참여했으나 오히려 각성한 긴고아 죄수에게 패배를 맛보게 된다. |
− | + | 결국 성운의 주축이었던 거대 설화의 일부를 김독자 일행에게 뺏기게 된다. | |
− | + | ||
=='''시맨틱 스토리텔링'''== | =='''시맨틱 스토리텔링'''== |
2025년 6월 7일 (토) 22:02 판
집단 | |
---|---|
![]() | |
이름 | 황제 |
발원지 | 중국 |
분류 | 집단 |
모티프 | 서유기, 중국 신화 |
목차
개요(정의)
최고의 거대 성운 중 하나
서유기. 중국 신화, 중국 위인 등에서 비롯된 성좌들이 소속된 거대 성운이다.
내용[2]
특징
설화 서유기에서 탄생한 성좌들, 중국 신화에서 탄생한 성좌들, 중국의 위인 등이 소속된 거대 성운으로 수많은 성좌들과 강력한 설화를 바탕으로 강한 힘을 지녔다. 소속된 성좌들은 다음과 같다.
- 서유기에서 비롯된 성좌들
- 긴고아의 죄수(제천대성)
- 금신나한(사오정)
- 정단사자(저팔계)
- 칠대성
- 삼청창의 주인(이랑진군)
- 비사문천의 셋째 아들(나타)
- 매산 육형제
- 사대 천왕
- 이십팔수 별자리(집단)
- 구요성관(집단)
- 열두 원신(집단)
- 사해 용왕(집단)
- 영길보살
- 태백금성
- 반도원의 주인(서왕모)
- 천계지자
- 탁탑천왕
- 태상노군
- 관세음보살
- 황천상제(옥황상제)
- 중국신화에서 비롯된 성좌들
- 삼황오제
- 대라천존(원시천존)
- 태양 사냥꾼(예)
- 흙으로 사람을 빚은 대모신(여와)
- 위인
- 불사를 꿈꾼 시황제(진시황)
작중행적
초중반 크게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지만 서유기 에피소드 이후 마지막 시나리오에서 김독자를 방해한다.
서유기 에피소드 속 행적
메인 시나리오 # 94 ―서유기 리메이크
분류 : 메인
난이도 : ???
클리어 조건 : 다른 성좌 또는 화신들과 함께 ‘설화방’을 만들어 서유기를 리메이크하십시오.
리메이크된 서유기는 실시간으로 심사위원들과 관객들을 통해 평가되며, ‘인기도’, ‘원작 반영도’, ‘참신함’ 등의 평가항목을 통해 총점이 매겨집니다.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설화가 시나리오의 우승자가 됩니다.
제한시간 : ―
보상 : ‘서유기’와 관련된 거대 설화, 성운 <황제>의 호의, 3,000,000코인, ???
실패시 : ―
* 재구성된 설화들의 저작권은 성운 <황제>와 참가자가 공동 소유합니다.
* 심사위원 득표수에 따라 ‘전설급’ 또는 ‘역사급’의 설화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참가자 1인당 하나의 역할만을 맡을 수 있습니다(엑스트라 제외).
* 순위 별로 추가 코인이 지급됩니다.
[3]
난이도 : ???
클리어 조건 : 다른 성좌 또는 화신들과 함께 ‘설화방’을 만들어 서유기를 리메이크하십시오.
리메이크된 서유기는 실시간으로 심사위원들과 관객들을 통해 평가되며, ‘인기도’, ‘원작 반영도’, ‘참신함’ 등의 평가항목을 통해 총점이 매겨집니다.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득표수를 획득한 설화가 시나리오의 우승자가 됩니다.
제한시간 : ―
보상 : ‘서유기’와 관련된 거대 설화, 성운 <황제>의 호의, 3,000,000코인, ???
실패시 : ―
* 재구성된 설화들의 저작권은 성운 <황제>와 참가자가 공동 소유합니다.
* 심사위원 득표수에 따라 ‘전설급’ 또는 ‘역사급’의 설화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참가자 1인당 하나의 역할만을 맡을 수 있습니다(엑스트라 제외).
* 순위 별로 추가 코인이 지급됩니다.
위와 같은 메인 시나리오에서 성운의 후원을 받는 화신 '페이후'를 1등으로 내정ㅈ어 놓고 시나리오를 주체하고 있었으나 김독자 일행의 가파른 순위 상승에 위험을 느낀다. 이에 그를 저지하고자 성운의 성좌들이 직접 내려와 김독자 일행을 공격하기 시작하는데, 심사위원으로 있던 긴고아 죄수(제천대성)의 방해로 막히게 된다. 김독자와 그 일행을 막기 위해 이랑진군, 나타 등을 비롯해 서유기에서 나온 대부분의 성좌가 전쟁에 참여했으나 오히려 각성한 긴고아 죄수에게 패배를 맛보게 된다. 결국 성운의 주축이었던 거대 설화의 일부를 김독자 일행에게 뺏기게 된다.
시맨틱 스토리텔링
모티브(문화원형)
중국 고전소설 서유가 의 주인공인 원숭이 수인.
멀티미디어
이미지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