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대한민국의 문화재==  |   | ==대한민국의 문화재==  | 
|   |  |   |  | 
| − | <onlyinclude>대한민국의 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ref>문화재를 보호하여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인류 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한 법률. 출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444200 "문화재보호법", 표준국어대사전]. 전문보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2044#0000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ref>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ref>출처: [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knowledge/kind_01.jsp&mn=NS_04_02_02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유산정보> 문화재알기> 종류]</ref>
  | + | 대한민국의 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ref>문화재를 보호하여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인류 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한 법률. 출처: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4444200 "문화재보호법", 표준국어대사전]. 전문보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2044#0000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ref>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ref>출처: [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knowledge/kind_01.jsp&mn=NS_04_02_02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유산정보> 문화재알기> 종류]</ref>  | 
|   |  |   |  | 
|   | ===국가지정문화재===  |   | ===국가지정문화재===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 
|   | |}  |   | |}  | 
| − | </onlyinclude>
  |   | 
|   |  |   |  | 
|   | ==대한민국 문화유산 목록==  |   | ==대한민국 문화유산 목록==  | 
		2016년 12월 18일 (일) 13:38 판
대한민국의 문화재
대한민국의 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1]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
국가지정문화재
문화재청장이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한 중요문화재로서 국보·보물·국가무형문화재·사적·명승·천연기념물 및 중요민속문화재 등 7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  국보
 |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견지에서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 
|  보물
 |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 
|  사적
 | 
기념물중 유적·제사·신앙·정치·국방·산업·교통·토목·교육·사회사업·분묘·비 등으로서 중요한 것
 | 
|  명승
 | 
기념물 중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 
|  천연기념물
 | 
기념물 중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광물로서 중요한 것
 | 
|  국가무형문화재
 |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것
 | 
|  중요민속문화재
 |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 
시도지정문화재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이하 '시·도지사')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보존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것을 지방자치단체(시·도)의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문화재로서 유형문화재·무형문화재·기념물 및 민속문화재 등 4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  유형문화재
 |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상 또는 예술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
 | 
|  무형문화재
 |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것
 | 
|  기념물
 | 
패총·고분·성지·궁지·요지·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로서 역사상,학술상 가치가 큰 것. 경승지로서 예술상,관람상 가치가 큰 것 및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자생지를 포함한다),광물,동굴로서 학술상 가치가 큰 것
 | 
|  민속문화재
 | 
의식주·생업·신앙·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 관습과 이에 사용되는 의복·기구·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추이를 이해함에 불가결한 것
 | 
문화재자료
시·도지사가 시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문화재 중 향토문화보존상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시·도 조례에 의하여 지정한 문화재를 지칭한다.
등록문화재
문화재청장이 문화재보호법 5장53조에 의하여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으로서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이다. (다만 긴급한 보호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50년 이상이 지나지 아니한 것이라도 등록문화재로 등록할 수 있다.) 
|  근대문화유산의 개념과 범위
 |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종교, 생활 등 각 분야에서 기념이 되거나 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
 | 
|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 
대한민국 문화유산 목록
현재 목록은 영문 해설문이 있는 문화유산만 표함합니다.
|  지정  | 
 지정유형  | 
 지정번호  | 
 명칭  | 
 English Name  | 
 유형 Type
 | 
|  국가  | 
 국보  | 
 제41호  |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 
 Iron Flagpole at Yongdusa Temple Site, Cheongju  | 
 불교 / 철당간
 | 
|  국가  | 
 국보  | 
 제297호  |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 
 Hanging Painting of Ansimsa Temple (The Vulture Peak Assembly)  | 
 불교 / 괘불탱
 | 
|  국가  | 
 보물  | 
 제613호  | 
 신숙주 초상  | 
  Portrait of Sin Suk-ju  | 
 회화 / 초상
 | 
|  국가  | 
 보물  | 
 제664호  | 
 청주 안심사 대웅전  | 
 Daeungjeon Hall of Ansimsa Temple, Cheongju  | 
 불교 / 절 / 대웅전
 | 
|  국가  | 
 보물  | 
 제985호  | 
 청주 용화사 석조불상군  | 
 Stone Buddhas of Yonghwa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불상군
 | 
|  국가  | 
 보물  | 
 제1258호  | 
 청주 보살사 영산회 괘불도  | 
 Hanging Painting of Bosalsa Temple, Cheongju (The Vulture Peak Assembly)  | 
 불교 / 괘불탱
 | 
|  국가  | 
 보물  | 
 제746호  | 
 성석린 고신왕지  | 
 Royal Edict of Appointment Issued to Seong Seok-rin  | 
 왕족 / 고신왕지
 | 
|  국가  | 
 사적  | 
 제3호  | 
 수원 화성  | 
 Hwaseong Fortress, Suwon  | 
 성 / 사지
 | 
|  국가  | 
 사적  | 
 제315호  | 
 청주 흥덕사지  | 
 Heungdeoksa Temple Site, Cheongju  | 
 불교 / 절 / 사지
 | 
|  국가  | 
 천연기념물  | 
 제305호  | 
 청주 공북리 음나무  | 
 Castor Aralia of Gongbuk-ri, Cheongju  | 
 나무 / 음나무
 | 
|  국가  | 
 천연기념물  | 
 제522호  | 
 청주 연제리 모과나무  | 
 Quince of Yeonje-ri, Cheongju  | 
 나무 / 모과나무
 | 
|  국가  | 
 중요민속문화재  | 
 제133호  | 
 청주 이항희 가옥  | 
 Yi Hang-hui's House, Cheongju  | 
 가옥 / 한옥
 | 
|  국가  | 
 등록문화재  | 
 제6호  | 
 청주 대성고등학교 본관  | 
 Main Building of Cheongju Daeseong High School  | 
 교육기관
 | 
|  국가  | 
 등록문화재  | 
 제411호  |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 
 Revival, Domestically Manufactured Aircraft No. 1  | 
 항공기
 | 
|  국가  | 
 등록문화재  | 
 제462호  |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연락기)  | 
 The First Aircraft of the Republic of Korea (Liaison Aircraft L-4)  | 
 항공기
 | 
|  국가  | 
 등록문화재  | 
 제596호  | 
 임실 운암망루  | 
 Unam Watchtower, Imsil  | 
 방지시설 /망루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5호  | 
 청주 충청도 병마절도사영문  | 
 Main Gate of the Military Headquarters of Chungcheong-do Province, Cheongju  | 
 정부시설 // 병마절도사영문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24호  | 
 청주 보살사 석조이불병립상  | 
 Stone Relief of Two Standing Buddhas at Bosal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이불병립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25호  | 
 청주 탑동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in Tap-dong, Cheongju  | 
 불교 / 불탑 / 오층석탑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27호  |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 
 Sakyamuni Stupa of Ansim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탑 / 세존사리탑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39호  | 
 청주향교  | 
 Ch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교육기관 / 유교 / 향교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56호  |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 
 Geungnakbojeon Hall of Bosalsa Temple, Cheongju  | 
 불교 / 절 / 극락보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58호  | 
 청주 월리사 대웅전  | 
 Daeungjeon Hall of Wollisa Temple, Cheongju  | 
 불교 / 절 / 대웅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65호  | 
 청주 보살사 오층석탑  | 
 Five-story Stone Pagoda of Bosal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탑 / 오층석탑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08호  | 
 청주 묵정영당  | 
 Mukjeongyeongdang Shrine, Cheongju  | 
 유교 / 영당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09호  | 
 청주 청녕각  | 
 Cheongnyeonggak Government Office, Cheongju  | 
 정부시설 // 청녕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10호  | 
 청주 망선루  | 
 Mangseollu Pavilion, Cheongju  | 
 가옥 / 정루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11호  | 
 청주 지선정  | 
 Jiseonjeong Pavilion, Cheongju  | 
 가옥 / 정루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12호  | 
 청주 안심사 비로전  | 
 Birojeon Hall of Ansimsa Temple, Cheongju  | 
 불교 / 절 / 비로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13호  | 
 청주 정하동 마애비로자나불좌상  | 
 Rock-carved Seated Vairocana Buddha in Jeongha-dong, Cheongju  | 
 불교 / 불상 / 마애비로자나불좌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14호  | 
 청주 비중리 석조삼존불좌상  | 
 Stone Seated Buddha Triad in Bijung-ri,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삼존불좌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36호  | 
 청주 조헌 전장기적비  | 
 Monument of Jo Heon's Victory, Cheongju  | 
 비 / 전장기적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45호  | 
 청주 신전동 고가  | 
 Historic House in Sinjeon-dong,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48호  | 
 청주 신영호 고가  | 
 Sin Yeong-ho’s House,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50호  | 
 청주 순치명 석조여래입상  | 
 Stone Standing Buddha with Inscription of “Sunchi,”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여래입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60호  | 
 윤관 초상  | 
 Portrait of Yun Gwan  | 
 회화 / 초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61호  | 
 청주 신중엄 신도비  | 
 Stele of Sin Jung-eom, Cheongju  | 
 비 / 신도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68호  | 
 청주 동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of Donghwa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69호  | 
 청주한씨 시조제단비  | 
 Altar Stele for the Founder of the Cheongju Han Clan  | 
 비 / 시조제단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74호  | 
 청주 서기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Stone Seated Bhaisajyaguru Buddha of Seogi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약사여래좌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81호  | 
 청주 박훈 신도비  | 
 Stele of Bak Hun, Cheongju  | 
 비 / 신도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222호  | 
 청주 문산리 돌다리  | 
 Stone Bridge in Munsan-ri, Cheongju  | 
 돌다리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270호  | 
 청주 목우사지 석조여래입상  | 
 Stone Standing Buddha from Mogusa Temple Sit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여래입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316호  | 
 청주 모충동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in Mochung-dong,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350호  | 
 청주 신항서원 묘정비  | 
 Stele for Sinhangseowon Confucian Academy, Cheongju  | 
 비 / 묘정비
 | 
|  충청북도  | 
 유형문화재  | 
 제133호  | 
 청주 탑동 양관  | 
 Western-style Buildings in Tap-dong, Cheongju  | 
 가옥 / 양옥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5호  | 
 청주 압각수  | 
 Apgaksu Ginkgo Tree, Cheongju  | 
 나무 / 압각수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6호  | 
 청주 충렬사  | 
 Chungnyeolsa Shrine, Cheongju  | 
 사당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7호  | 
 청주 표충사  | 
 Pyochungsa Shrine, Cheongju  | 
 사당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20호  | 
 청주 곽예 묘소  | 
 Tomb of Gwak Ye, Cheongju  | 
 묘소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23호  | 
 청주 척화비  | 
 Anti-appeasement Stele, Cheongju  | 
 비 / 척화비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30호  | 
 청주 손병희 생가  | 
 Birthplace of Son Byeong-hui,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40호  | 
 청주 안정라씨 삼세충효문  | 
 Commemorative Pavilions of the Anjeong Na Clan, Cheongju  | 
 충효 / 충효문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42호  | 
 청주 신항서원  | 
 Sinhangseowon Confucian Academy, Cheongju  | 
 유교 / 교육기관 / 서원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66호  | 
 청주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  | 
 Tomb of Song Sang-hyeon and Stele, Cheongju  | 
 묘소 / 비 / 신도비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69호  | 
 청주 영조 태실  | 
 Placenta Chamber of King Yeongjo, Cheongju  | 
 왕족 / 태실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71호  | 
 청주 박광우 묘소  | 
 Tomb of Bak Gwang-u, Cheongju  | 
 묘소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72호  | 
 청주 한란 묘소 및 신도비  | 
 Tomb of Han Ran and Stele, Cheongju  | 
 묘소 / 비 / 신도비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84호  | 
 청주 방정  | 
 Bangjeong Well, Cheongju  | 
 방정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85호  | 
 청주 무농정  | 
 Munongjeong Pavilion, Cheongju  | 
 정루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86호  | 
 청주 산덕리 태실  | 
 Placenta Chamber in Sandeok-ri, Cheongju  | 
 왕족 / 태실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90호  | 
 청주 신채호 사당 및 묘소  | 
 Shrine and Tomb of Sin Chae-ho, Cheongju  | 
 묘소 / 사당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20호  | 
 청주 가경동 유적  | 
 Archaeological Site in Gagyeong-dong, Cheongju  | 
 유적지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21호  | 
 청주 부모산성  | 
 Bumosanseong Fortress, Cheongju  | 
 성 / 산성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25호  | 
 청주 양성산성  | 
 Yangseongsanseong Fortress, Cheongju  | 
 성 / 산성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31호  | 
 청주 송인수 묘소 및 신도비  | 
 Tomb of Song In-su and Stele, Cheongju  | 
 묘소 / 비 / 신도비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39호  | 
 청주 현풍곽씨 효자비 및 묘소  | 
 Tombs of the Hyeonpung Gwak Clan and Steles for Their Filial Devotion, Cheongju  | 
 묘소 / 비 / 효자비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51호  | 
 청주 여산송씨 정려각  | 
 Commemorative Pavilions for the Yeosan Song Clan, Cheongju  | 
 정려각
 | 
|  충청북도  | 
 기념물  | 
 제159호  | 
 청주 이덕수 묘역  | 
 Tomb of Yi Deok-su, Cheongju  | 
 묘소
 | 
|  전라북도  | 
 기념물  | 
 제120호  | 
 이산묘  | 
 Isanmyo Shrine  | 
 사당
 | 
|  충청북도  | 
 민속문화재  | 
 제8호  | 
 청주 과필헌  | 
 Gwapilheon House,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8호  | 
 청주 모충사  | 
 Mochungsa Shrine, Cheongju  | 
 사당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14호  | 
 청주 삼월비  | 
 Stele of Maid Servant Samwol, Cheongju  | 
 비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17호  | 
 청주 주성강당  | 
 Juseonggangdang Lecture Hall, Cheongju  | 
 유교 / 교육기관 / 강당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37호  | 
 청주 방서동 고가  | 
 Historic House in Bangseo-dong,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38호  | 
 청주 관정리 고가  | 
 Historic House of Gwanjeong-ri, Cheongju  | 
 가옥 / 한옥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58호  | 
 청주 백족사 석조여래좌상  | 
 Stone Seated Buddha of Baekjok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상 / 석조여래좌상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59호  | 
 청주 백족사 삼층석탑  | 
 Three-story Stone Pagoda of Baekjoksa Temple, Cheongju  | 
 불교 / 불탑 / 삼층석탑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65호  | 
 청주 곽훈 효자비  | 
 Stele of Gwak Hun for His Filial Devotion, Cheongju  | 
 비 / 효자비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68호  | 
 청주 수천암  | 
 Sucheonam Ritual House, Cheongju  | 
 사당
 | 
|  충청북도  | 
 문화재자료  | 
 제87호  | 
 최영 초상  | 
 Portrait of Choe Yeong  | 
 회화 / 초상
 | 
|  경상북도  | 
 --  | 
 --  | 
 임당토성  | 
 Imdang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 
 성 / 토성
 | 
각주
- ↑ 문화재를 보호하여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하고 인류 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제정한 법률. 출처: "문화재보호법", 표준국어대사전. 전문보기: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 ↑ 출처: 문화재청 홈페이지, 문화유산정보> 문화재알기> 종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