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클리셰)  | 
				|||
| (4명의 사용자에 의한 7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주제==  | ==주제==  | ||
| − |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  | + |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  | 
==팀원==  | ==팀원==  | ||
| − | 문화콘텐츠학과 [[홍시은]]  | + | 문화콘텐츠학과 [[홍시은]],  | 
| − | 기술경영학과 [[안성현]]  | + | 기술경영학과 [[안성현]],  | 
| − | 영어영문학과 [[김유미]]  | + | 영어영문학과 [[김유미]],  | 
영어영문학과 [[유다현]]  | 영어영문학과 [[유다현]]  |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영웅의 12가지 여정' 을 세부 항목 기준으로 삼자는 위 제안과 동시에, 한 학우의 또 다른 제안이 들어왔다. 이 이론이 가장 잘 떨어지게 부합하는 서사시(epic), 그리고  | '영웅의 12가지 여정' 을 세부 항목 기준으로 삼자는 위 제안과 동시에, 한 학우의 또 다른 제안이 들어왔다. 이 이론이 가장 잘 떨어지게 부합하는 서사시(epic), 그리고  | ||
| − | 판타지(  | + | 판타지(fantasy) 라는 작품에 한정하여 작품을 분류, 분석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것이였다. 판타지라는 큰 메체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생각해보니 분류가 더 추가되지 않아서 (이를테면 영화와 소설을 가지고 인물의 외모나 하는 분류 경우를 달 수는 없으니까) 난항을 겪었다. 일단은 생각나는데로 판타지와 관련된 '분류기준' 들을 읊다보니 플롯, 주인공 특성 등등의 분류기준들이 창작에 자주 쓰이는 공식, '클리셰(Cliché)'로 묶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모였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 제시된 '영웅의 12가지 여정' 을 포함한 시나리오 이론과 단순한 클리셰 원형들을 기준으로 잡게 되었다. 조원 각자가 잘 알고 재밌게 보아 추천 할 만한 작품들을 고른 다음, 이를 기준으로 작품들의 키워드 관계에 따라 판타지 작품을 추천하는 하나의 '길잡이 모음' 으로 계획하면 어떨까 생각하게 되었음은 물론이다.    | 
| − | ===본 기획의 기대효과===  | + | ===본 기획의 의도 및 기대효과===  | 
| − | 마법의 세계, 용사의 모험, 특별한 힘과   | + | 마법의 세계, 용사의 모험, 특별한 힘과 능력… 신비를 잃어가고 있는 현대 과학문명 사회에서 환상(Fantasy)이란 소재는 그 옛날 신들과 괴물의 세계를 읊었던 고대인들에서부터 21세기 포스트 모더니즘적 감성을 가진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미지의 세계인 듯하다. 그렇기에 오늘날 콘텐츠 시장에서 '판타지' 는 단순히 장르라는 분류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거대시장으로써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인간 무의식에 잠든 신화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환상은 많은 사람들을 알게 모르게 판타지 세계 속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의욕적으로 그 세계로 뛰어들게 한다. 하지만 막상 판타지를 즐기고자 적극적으로 여러 작품을 찾아보노라면 정작 내가 재미있게 볼 만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지 몰라 해매는 이들을 주변에서 종종 볼 수 있었을 것이다.    | 
| − | 막상 판타지를 즐기고자   | + | |
| − | + | 본 기획,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는 이런 '판타지를 좋아하지만, 어떤 작품이 좋은지 모르는 사람' 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페이지이다. 그렇다면 왜 클리셰인가? 이는 오늘날의 시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판타지 작품들, 장르물들이 대중들이 선별하고 소비되는 형태가 대체적으로 키워드(Keyword) 중심에서 비롯된다는 분석에서 시작한다. (특히 장르 서적 판매를 주도하는 3개 대형 서점 유통사와 전자책 전문서점 리디북스를 보았을 때 이와 같은 점이 더욱 명백하게 두드러지고 있는 거 같다.) 이렇듯 판타지에는 일정한 설정들과 연출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대중들에게 소비되어왔다. 그렇기에 클리셰는 판타지에서 작품을 연출하는 공식을 넘어서, 제작자와 소비자들을 잇는 일종의 소통창구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 |
| − | 판타지를   | + | |
| + | 따라서 본 기획은 클리셰를 판타지를 추천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이라는 판단 하에 채택하게 되었다. 이번에 본 페이지를 통해 논해지는 문서들이 판타지를 여러 기준으로 평가하고 쪼개보고, 또 이런 기준 하에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판타지 작품을 추천해 줌으로써, 많은 이들이 보다 판타지에 쉽게, 그리고 더 질 좋은 작품을 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주제 선정의 이유이자 이 페이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이다.    | ||
==기본개념==  | ==기본개념==  | ||
*[[환상의 정의]]  | *[[환상의 정의]]  | ||
*[[클리셰(판타지 추천백과)|클리셰]]  | *[[클리셰(판타지 추천백과)|클리셰]]  | ||
| + | *[[컨벤션(판타지 추천백과)|컨벤션]]  | ||
| − | ==  | + | ==작품(다루게 될 판타지 소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니아 연대기]]  | * [[나니아 연대기]]  | ||
| − | |||
| − | |||
| − | |||
| − | |||
| − | |||
* [[나루토]]  | * [[나루토]]  | ||
* [[룬의 아이들]]  | * [[룬의 아이들]]  | ||
| − | * [[  | + | * [[신의 탑]]  | 
| − | *   | + | * [[왕좌의 게임]]  | 
| + | * [[원피스]]  | ||
| + | * [[타라 덩컨(판타지 추천백과)|타라 덩컨]]  | ||
* [[하울의 움직이는 성 (판타지 추천백과)|하울의 움직이는 성]]  | * [[하울의 움직이는 성 (판타지 추천백과)|하울의 움직이는 성]]  | ||
| + | * [[헝거게임]]  | ||
| + | * [[해리 포터(판타지 추천백과)|해리 포터]]  | ||
| + | * [[토르(마블영화)]]  | ||
| + | * [[크로니클]]  | ||
| + | * [[아도니스]]  | ||
| + | |||
| + | ==클리셰==  | ||
| + | *01. [[남장여인]]  | ||
| + | *02. [[먼치킨]]  | ||
| + | *03. [[이카루스의 날개]]  | ||
| + | *04. [[도플갱어]]  | ||
| + | *05. [[고귀한(특별한) 혈통]]  | ||
| + | *06. [[미친 왕(지도자)]]  | ||
| + | *07. [[저주에 걸린 주인공]]  | ||
| + | *08. [[쌍둥이]]  | ||
| + | *09. [[커플 위장 잠입 & 탈출]]  | ||
| + | *10. [[야비한 경쟁자에서 깨끗한 패자로]]  | ||
| + | *11. [[악역의 순정]]  | ||
| + | *12. [[스승의 죽음 & 이별]]  | ||
| + | *13. [[조력자 동물/마스코트의 등장]]  | ||
| + | *14. [[프랑켄슈타인의 실험실]]  | ||
| + | *15. [[돌연변이]]  | ||
| + | *16. [[미친 과학자]]  | ||
| + | *17. [[바뀐 선물과 뒤바뀐 운명]]  | ||
| + | *18. [[카산드라의 예언]]  | ||
| + | *19. [[벗어날 수 없는 예언]]  | ||
| + | *20. [[차원이동]]  | ||
| + | *21. [[비밀통로(공간)]]  | ||
| + | *22. [[중세 세계관]]  | ||
| + | *23. [[타임 패러독스(Time paradox)]]  | ||
| + | *24. [[타임슬립]]  | ||
| + | *25. [[회귀물]]  | ||
| + | *26. [[정의의 수호자]]  | ||
| + | *27. [[신분을 숨긴 사랑]]  | ||
| + | *28. [[불행한 연인들]]  | ||
| + | *29. [[머피/샐리의 법칙]]  | ||
| + | *30. [[영웅의 귀환]]  | ||
| + | *31. [[비극의 시작]]  | ||
==온톨로지==  | ==온톨로지==  | ||
| − | + | *[[온톨로지 정리 문서]]  | |
| − | + | *디지털 그래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tml>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7/111/학생/유다현/digital graph.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 </html>  | ||
==기여==  | ==기여==  | ||
| − | [[김유미]]   | + | *[[김유미]] 프로젝트 페이지 작성, 노드 일부 수정  | 
| − | + | *[[안성현]] 클래스 추가, 클리셰 추가 및 재정리  | |
| − | [[안성현]]   | + | *[[유다현]] 노드 정리  | 
| + | *[[홍시은]] 온톨로지 정리 문서 최초작성  | ||
----  | ----  | ||
| + | |||
| + | [[분류:김유미]]  | ||
| + | [[분류:안성현]]  | ||
| + | [[분류:유다현]]  | ||
| + | [[분류:홍시은]]  | ||
2017년 6월 21일 (수) 05:30 기준 최신판
목차
주제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
팀원
문화콘텐츠학과 홍시은,
기술경영학과 안성현,
영어영문학과 김유미,
영어영문학과 유다현
기획의도
기획을 시작하기에 앞서
처음 우리 조에서 같은 관심사로 뭉치게 된 것은 조셉 캠밸의 저작을 원안으로 한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영웅의 12가지 여정이라는 하나의 이론이였다. 이를 통해서 유명한 혹은 성공적인 이라는 기준에 따라 선정 된 콘텐츠를 분석해보고 이들이 얼마나 이 이론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하여 작업, 혹은 그보다는 조금 더 확장해서 작업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발제를 함과 동시에 이 이론만 중심으로 다루기에는 너무 단순하고, 다소 특성이 없다는 교수님들의 조언이 있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주제를 좀 더 심화시켜서, 개성있게 다룰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팀 내의 문제제기가 올라왔다.
주제의 발전과정
몇 번의 논의가 있었지만 우리 조는 처음 우리가 모이게 된 '이론'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었고, 따라서 다루게 될 방향 또한 모호해 졌다. 그러던 중, '영웅의 12가지 여정' 이라는 기준 하나만을 다루어 단순하고 개성 없는 작업물이 나올 것 같다는 문제가 제기된 것이면, 차라리 이 이론 또한 하나의 '클래스' 에 준하는 기준으로 삼고 이 외에 개성 넘치는 다른 기준을 더 추가해서 주제와 내용을 풍성하게 조성하면 어떻겠냐는 안이 제시되었다.
'영웅의 12가지 여정' 을 세부 항목 기준으로 삼자는 위 제안과 동시에, 한 학우의 또 다른 제안이 들어왔다. 이 이론이 가장 잘 떨어지게 부합하는 서사시(epic), 그리고
판타지(fantasy) 라는 작품에 한정하여 작품을 분류, 분석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것이였다. 판타지라는 큰 메체에서 다뤄지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생각해보니 분류가 더 추가되지 않아서 (이를테면 영화와 소설을 가지고 인물의 외모나 하는 분류 경우를 달 수는 없으니까) 난항을 겪었다. 일단은 생각나는데로 판타지와 관련된 '분류기준' 들을 읊다보니 플롯, 주인공 특성 등등의 분류기준들이 창작에 자주 쓰이는 공식, '클리셰(Cliché)'로 묶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모였다. 따라서 우리는 처음 제시된 '영웅의 12가지 여정' 을 포함한 시나리오 이론과 단순한 클리셰 원형들을 기준으로 잡게 되었다. 조원 각자가 잘 알고 재밌게 보아 추천 할 만한 작품들을 고른 다음, 이를 기준으로 작품들의 키워드 관계에 따라 판타지 작품을 추천하는 하나의 '길잡이 모음' 으로 계획하면 어떨까 생각하게 되었음은 물론이다. 
본 기획의 의도 및 기대효과
마법의 세계, 용사의 모험, 특별한 힘과 능력… 신비를 잃어가고 있는 현대 과학문명 사회에서 환상(Fantasy)이란 소재는 그 옛날 신들과 괴물의 세계를 읊었던 고대인들에서부터 21세기 포스트 모더니즘적 감성을 가진 지금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의 흥미를 자극하는 미지의 세계인 듯하다. 그렇기에 오늘날 콘텐츠 시장에서 '판타지' 는 단순히 장르라는 분류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거대시장으로써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인간 무의식에 잠든 신화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환상은 많은 사람들을 알게 모르게 판타지 세계 속으로 이끌 뿐만 아니라, 의욕적으로 그 세계로 뛰어들게 한다. 하지만 막상 판타지를 즐기고자 적극적으로 여러 작품을 찾아보노라면 정작 내가 재미있게 볼 만한 것이 어떤 것이 있을지 몰라 해매는 이들을 주변에서 종종 볼 수 있었을 것이다.
본 기획, '클리셰를 중심으로 한 판타지 추천백과'는 이런 '판타지를 좋아하지만, 어떤 작품이 좋은지 모르는 사람' 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페이지이다. 그렇다면 왜 클리셰인가? 이는 오늘날의 시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판타지 작품들, 장르물들이 대중들이 선별하고 소비되는 형태가 대체적으로 키워드(Keyword) 중심에서 비롯된다는 분석에서 시작한다. (특히 장르 서적 판매를 주도하는 3개 대형 서점 유통사와 전자책 전문서점 리디북스를 보았을 때 이와 같은 점이 더욱 명백하게 두드러지고 있는 거 같다.) 이렇듯 판타지에는 일정한 설정들과 연출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대중들에게 소비되어왔다. 그렇기에 클리셰는 판타지에서 작품을 연출하는 공식을 넘어서, 제작자와 소비자들을 잇는 일종의 소통창구로까지 발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기획은 클리셰를 판타지를 추천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반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이라는 판단 하에 채택하게 되었다. 이번에 본 페이지를 통해 논해지는 문서들이 판타지를 여러 기준으로 평가하고 쪼개보고, 또 이런 기준 하에 상대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판타지 작품을 추천해 줌으로써, 많은 이들이 보다 판타지에 쉽게, 그리고 더 질 좋은 작품을 빠르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주제 선정의 이유이자 이 페이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이다.
기본개념
작품(다루게 될 판타지 소스)
클리셰
- 01. 남장여인
 - 02. 먼치킨
 - 03. 이카루스의 날개
 - 04. 도플갱어
 - 05. 고귀한(특별한) 혈통
 - 06. 미친 왕(지도자)
 - 07. 저주에 걸린 주인공
 - 08. 쌍둥이
 - 09. 커플 위장 잠입 & 탈출
 - 10. 야비한 경쟁자에서 깨끗한 패자로
 - 11. 악역의 순정
 - 12. 스승의 죽음 & 이별
 - 13. 조력자 동물/마스코트의 등장
 - 14. 프랑켄슈타인의 실험실
 - 15. 돌연변이
 - 16. 미친 과학자
 - 17. 바뀐 선물과 뒤바뀐 운명
 - 18. 카산드라의 예언
 - 19. 벗어날 수 없는 예언
 - 20. 차원이동
 - 21. 비밀통로(공간)
 - 22. 중세 세계관
 - 23. 타임 패러독스(Time paradox)
 - 24. 타임슬립
 - 25. 회귀물
 - 26. 정의의 수호자
 - 27. 신분을 숨긴 사랑
 - 28. 불행한 연인들
 - 29. 머피/샐리의 법칙
 - 30. 영웅의 귀환
 - 31. 비극의 시작
 
온톨로지
- 디지털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