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일본의 구미호 ==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의 구미호처럼 표독하고 간사한 여성상을 상징하며, 상당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에도...) |
|||
(4명의 사용자에 의한 1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한국의 구미호<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6084&cid=40942&categoryId=32867 <인용> 구미호, 두산백과]</ref> == | ||
+ | [[한국의 도깨비]] 중 하나로 '''구미호'''는 여인으로 변신하여 사람들을 홀리고 잡아먹는 무서운 존재로 묘사되지만, 인간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는 존재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의 간 100개를 먹으면 인간이 될 수 있다거나, 인간 남성과 결혼해 100일 동안 정체를 들키지 않고 지내면 인간이 된다는 등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지만 구미호에게 잡아먹힐 위험에 놓인 전설의 주인공들은 자신이 과거에 구해주었거나 도와준 동물이나 귀신의 도움을 받아 구미호를 물리치고 위기에서 벗어나곤 한다. 또한 100일을 하루 남기고 인간 남성의 어리석은 행동 때문에 구미호는 인간이 되지 못하지만 그간의 정 때문에 보복하지 않고 물러난다. 사람을 잡아먹으려다가 불에 타 죽은 여우의 재에서 피를 빨아먹는 모기가 생겨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직접 구미호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여우가 사람으로 둔갑했다는 이야기는 여럿 수록되어 있다. 이는 오래 묵은 여우가 도술을 부려 사람으로 둔갑하여 나타난다는 인식이 일찍부터 폭넓게 퍼져 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삼국사기》에는 온달이 평강공주를 처음 보고는 사람이 아니라 여우나 귀신일 것이라며 도망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고 《삼국유사》에는 거타지가 용의 간을 빼먹는 중 모습의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죽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원광서학(圓光西學)’ 이야기에서는 삼기산(三岐山)의 신이 3천살이나 먹은 늙은 여우였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의자왕 때에는 흰 여우 한 마리가 궁궐로 들어와 백제의 멸망을 예고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
+ | |||
+ | ===구미호의 2가지 이미지=== | ||
+ | |||
+ | 원조자, 동반자적 관계/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 | ||
+ | |||
+ | |||
+ |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 ||
+ | |||
+ | <삼국유사 소재 ‘원광서학’> 미래사를 아는 존재, 원광법사가 불법을 대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도를 알려주는 원조자. | ||
+ | |||
+ | <이성계의 건국을 도운 여우> 인간으로 변신한 여우는 조선 창업을 예시하고 창업공신들에게 도움을 준다. | ||
+ | 구미호의 변신과 예지라는 능력은 인간의 경계 너머에 있는 위협과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기여하는 신성한 능력인 것. | ||
+ | |||
+ | <강감찬 출생담>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오는 신성혼의 요소를 계승한 것으로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인간과 구미호의 교혼이라는 출생의 신이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 ||
+ | 여기서 여우는 위대한 인물을 출산하는 신성한 어머니로서 기능한다. | ||
+ | |||
+ | <여우아내 이야기> 여인으로 변신한 구미호가 가난으로 자살하려는 청년을 구해주고, 인간과 구미호가 서로 신뢰하고 사랑하여 어울리는 것. | ||
+ | |||
+ | 이러한 여우의 신성(神性)과 긍정적 면모는 인간이 경계 밖의 존재를 성스러움 의 대상으로 인식하던 신화적 세계의 흔적일 것이다. 신화적 세계관이 인간을 지배하던 시대에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구미호가 무력한 인간을 도와주는 원조자였고, 혈연을 통해 비범한 능력을 전승해주는 어머니였다 | ||
+ | 이렇게 인간과 구미호가 동반자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는 많지 않다. 전승되는 여우이야기 대부분은 경계 밖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로서의 모습과 그 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
+ | 요괴로서 여우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변신의 목적은 인간을 해치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것과 사람이 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여 정기를 빼앗으려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여우변신 이야기에서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고 그 해골을 뒤집어써서 사람으로 변신한다. 변신한 여우는 잡아먹은 인간의 형상으로 인간 사회로 잠입하지만 여우의 본 모습을 파악하는 신이한 인물에 의해 퇴치되거나, 여우가 변신하는 순간을 목격한 소금장수(혹은 옹이장수 등)에 의해 정체가 탄로나 인간의 영역에서 쫓겨나게 된다.
| ||
+ | |||
+ | ====공포와 불안의 대상의 이야기==== | ||
+ | |||
+ | <여우누이 이야기> 막내 아들이 여우굴에서 태어난 누이가 여우가 변신한 존재로 커 닭, 소, 말 등 집안 가축의 간을 빼먹는 모습을 목격하고 집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 ||
+ | 막내 같은 평범한 인간은 자신의 힘으로만 구미호를 퇴치할 수 없고 초월적 존재의 도움을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다. | ||
+ | 이렇게 구미호는 인간의 평범한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두려운 능력을 가진 존재로, 가족과 마을이라는 인간의 터전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이다. | ||
+ | |||
+ | <이화전> 구미호는 이화에게 남편을 빼앗긴 원한을 갚기 위해 천자를 유혹하여 이화를 중국으로 소환하도록 한다. | ||
+ | 이렇게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반드시 구미호를 퇴치해야 할 이유로 나타난다. | ||
+ | |||
+ | 구미호는 인간을 유혹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한 구미호는 인간 남자를 유혹하고 구슬을 이용하여 정기를 빼앗으려 한다. 구미호가 남성 천 명의 정기를 빼앗으면 사람이 된다. 그러나 정기를 빼앗긴 인간은 생명력을 상실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공포이다. | ||
+ | 이상의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을 위협하는 부정적 존재로 인식되고, 특히 남성을 유혹하여 파멸시키는 부정적 아니마로 나타난다. 인간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구미호의 유혹을 이기고 구미호를 인간 세계 밖으로 몰아내야 한다. 인간에게 구미호는 공존과 어울림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역에서 배제하고 퇴치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 ||
+ | 인간이 자연을 대상화하고 인간 중심의 사고로 파악하면서부터 구미호는 주체에 대한 타자로 인식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이 되고 싶은 요괴이며, 남성을 유혹하는 여성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야기에서는 구미호가 왜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는 드러나지 않는다. 단지 그들은 사람이 되고 싶어서 인간을 유혹하고 인간의 질서를 파괴하는 불안과 공포의 대상일 뿐이다. | ||
+ | |||
+ | |||
+ | 위의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구미호에 대한 전통적 상상력은 단일한 이미지로 존재하지 않았다. 구미호의 능력에 대한 인식태도에 따라 신성한 여우와 요괴로서의 구미호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구미호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은 신성한 여우와 인간이 공존하는 신화적 사유가 시대의 추이에 따라 지배규범과 가치에 배치되면서 한편으로는 부정적 존재로 변화하고, 또 한편으로는 신성성의 편린이 기층민중 집단의 사유에 스며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 ||
+ | |||
+ | ===문화콘텐츠=== | ||
+ | <[[천년여우여우비]]> | ||
+ | |||
+ | <[[전설의고향]]> | ||
+ | |||
== 일본의 구미호 == | == 일본의 구미호 == | ||
− |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의 구미호처럼 표독하고 간사한 여성상을 상징하며, 상당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에도 시대의 동화책인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을 보면 달기의 요사한 술법으로 목이 잘리지 않을때, 무왕의 측근참모였던 강여상(姜如尙)이 조마경(照魔鏡)이라는 거울을 꺼내 달기에게 보이자 구미호의 정체를 드러내어 도망치려고 했고, 여상이 보검을 빼어 던지자 구미호의 몸은 셋으로 나뉘어 흩어졌다. 그 가운데 하나는 주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을 유혹하여 다시 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으며, 하나는 인도로 가서 남천축(南天竺)의 왕자 반족태자(班足太子)의 아내 화양부인(華陽夫人)으로 둔갑해, "하늘의 재앙으로 나라에 닥친 기근을 풀려면 매일 열 명씩 죽여서 천 명의 목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며 왕자에게 1천 명의 목을 치도록 부추기는 등 포학한 짓을 저질렀고, 결국 반란이 일어나 왕자는 살해되고 구미호는 도주하였다. 마지막 하나가 [[일본]]으로 건너가 도바 상황(鳥羽上皇)을 유혹하다가 음양사에 의해 정체가 간파되고 쫓기다 살해된 뒤, 살생석(殺生石)이라는 바위로 변했다고 한다. | + | [[일본의 요괴]] 중 하나로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의 구미호처럼 표독하고 간사한 여성상을 상징하며, 상당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에도 시대의 동화책인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을 보면 달기의 요사한 술법으로 목이 잘리지 않을때, 무왕의 측근참모였던 강여상(姜如尙)이 조마경(照魔鏡)이라는 거울을 꺼내 달기에게 보이자 구미호의 정체를 드러내어 도망치려고 했고, 여상이 보검을 빼어 던지자 구미호의 몸은 셋으로 나뉘어 흩어졌다. 그 가운데 하나는 주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을 유혹하여 다시 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으며, 하나는 인도로 가서 남천축(南天竺)의 왕자 반족태자(班足太子)의 아내 화양부인(華陽夫人)으로 둔갑해, "하늘의 재앙으로 나라에 닥친 기근을 풀려면 매일 열 명씩 죽여서 천 명의 목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며 왕자에게 1천 명의 목을 치도록 부추기는 등 포학한 짓을 저질렀고, 결국 반란이 일어나 왕자는 살해되고 구미호는 도주하였다. 마지막 하나가 [[일본]]으로 건너가 도바 상황(鳥羽上皇)을 유혹하다가 음양사에 의해 정체가 간파되고 쫓기다 살해된 뒤, 살생석(殺生石)이라는 바위로 변했다고 한다. |
+ | ===문화콘텐츠=== | ||
+ | |||
+ | == 노드관계표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60%; text-align:center;" | ||
+ | !노드!!관계!!노드 | ||
+ | |- | ||
+ | |한국의 구미호||는 -에게 해를 끼치기도, 돕기도 한다.||인간 | ||
+ | |- | ||
+ | |삼국유사||에는 -가 수록되어 있다.||구미호 이야기 | ||
+ | |- | ||
+ | |천년여우여우비||는 -를 활용한 콘텐츠이다.||구미호 | ||
+ | |- | ||
+ | |일본의 구미호||는 -중 하나이다.||일본의 요괴 | ||
+ | |- | ||
+ | |달기||는 -에서 요물로 그려진다.||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 | ||
+ | |- | ||
+ | |일본의 마지막 구미호||는 -로 변했다.||바위 | ||
+ | |} | ||
+ | |||
+ | |||
+ | ==각주== | ||
+ | <references/> | ||
+ | |||
+ | |||
+ | == 기여 == | ||
+ | *[[이동희]] : 최초편집자 | ||
+ | |||
+ | *[[김대영]] : 추가 입력 및 수정 | ||
+ | |||
+ | *[[김대영]] : 노드 관계표 입력 | ||
+ | |||
+ | *[[김정서]] : 추가 입력 | ||
+ | |||
+ | *[[이은정]] : 문화콘텐츠 추가 | ||
+ | |||
+ | [[분류:인문정보학입문2017]] | ||
+ | [[분류: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
+ | [[분류:도깨비]] | ||
+ | [[분류:이동희]] | ||
+ | [[분류:김대영]] | ||
+ | [[분류:김정서]] | ||
+ | [[분류:이은정]] | ||
+ | |||
+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2017년 6월 19일 (월) 21:02 기준 최신판
목차
한국의 구미호[1]
한국의 도깨비 중 하나로 구미호는 여인으로 변신하여 사람들을 홀리고 잡아먹는 무서운 존재로 묘사되지만, 인간이 되기 위하여 노력하는 존재로 그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의 간 100개를 먹으면 인간이 될 수 있다거나, 인간 남성과 결혼해 100일 동안 정체를 들키지 않고 지내면 인간이 된다는 등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지만 구미호에게 잡아먹힐 위험에 놓인 전설의 주인공들은 자신이 과거에 구해주었거나 도와준 동물이나 귀신의 도움을 받아 구미호를 물리치고 위기에서 벗어나곤 한다. 또한 100일을 하루 남기고 인간 남성의 어리석은 행동 때문에 구미호는 인간이 되지 못하지만 그간의 정 때문에 보복하지 않고 물러난다. 사람을 잡아먹으려다가 불에 타 죽은 여우의 재에서 피를 빨아먹는 모기가 생겨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나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직접 구미호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여우가 사람으로 둔갑했다는 이야기는 여럿 수록되어 있다. 이는 오래 묵은 여우가 도술을 부려 사람으로 둔갑하여 나타난다는 인식이 일찍부터 폭넓게 퍼져 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삼국사기》에는 온달이 평강공주를 처음 보고는 사람이 아니라 여우나 귀신일 것이라며 도망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리고 《삼국유사》에는 거타지가 용의 간을 빼먹는 중 모습의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죽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원광서학(圓光西學)’ 이야기에서는 삼기산(三岐山)의 신이 3천살이나 먹은 늙은 여우였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의자왕 때에는 흰 여우 한 마리가 궁궐로 들어와 백제의 멸망을 예고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구미호의 2가지 이미지
원조자, 동반자적 관계/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
원조자 & 동반자적 이야기
<삼국유사 소재 ‘원광서학’> 미래사를 아는 존재, 원광법사가 불법을 대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도를 알려주는 원조자.
<이성계의 건국을 도운 여우> 인간으로 변신한 여우는 조선 창업을 예시하고 창업공신들에게 도움을 준다. 구미호의 변신과 예지라는 능력은 인간의 경계 너머에 있는 위협과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 기여하는 신성한 능력인 것.
<강감찬 출생담> 건국신화로부터 이어오는 신성혼의 요소를 계승한 것으로 위대한 인물의 탄생을 인간과 구미호의 교혼이라는 출생의 신이함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여우는 위대한 인물을 출산하는 신성한 어머니로서 기능한다.
<여우아내 이야기> 여인으로 변신한 구미호가 가난으로 자살하려는 청년을 구해주고, 인간과 구미호가 서로 신뢰하고 사랑하여 어울리는 것.
이러한 여우의 신성(神性)과 긍정적 면모는 인간이 경계 밖의 존재를 성스러움 의 대상으로 인식하던 신화적 세계의 흔적일 것이다. 신화적 세계관이 인간을 지배하던 시대에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구미호가 무력한 인간을 도와주는 원조자였고, 혈연을 통해 비범한 능력을 전승해주는 어머니였다 이렇게 인간과 구미호가 동반자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이야기는 많지 않다. 전승되는 여우이야기 대부분은 경계 밖의 공포와 불안의 대상인 요괴로서의 모습과 그 퇴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요괴로서 여우의 가장 큰 특징은 인간으로 변신하는 것이다. 변신의 목적은 인간을 해치고 인간 사회의 질서를 파괴하기 위한 것과 사람이 되기 위해 남성을 유혹하여 정기를 빼앗으려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여우변신 이야기에서 여우는 인간을 잡아먹고 그 해골을 뒤집어써서 사람으로 변신한다. 변신한 여우는 잡아먹은 인간의 형상으로 인간 사회로 잠입하지만 여우의 본 모습을 파악하는 신이한 인물에 의해 퇴치되거나, 여우가 변신하는 순간을 목격한 소금장수(혹은 옹이장수 등)에 의해 정체가 탄로나 인간의 영역에서 쫓겨나게 된다.
공포와 불안의 대상의 이야기
<여우누이 이야기> 막내 아들이 여우굴에서 태어난 누이가 여우가 변신한 존재로 커 닭, 소, 말 등 집안 가축의 간을 빼먹는 모습을 목격하고 집에서 쫓겨나게 되는데, 막내 같은 평범한 인간은 자신의 힘으로만 구미호를 퇴치할 수 없고 초월적 존재의 도움을 통해서만 극복할 수 있다. 이렇게 구미호는 인간의 평범한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두려운 능력을 가진 존재로, 가족과 마을이라는 인간의 터전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이다.
<이화전> 구미호는 이화에게 남편을 빼앗긴 원한을 갚기 위해 천자를 유혹하여 이화를 중국으로 소환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 사회의 질서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것으로 반드시 구미호를 퇴치해야 할 이유로 나타난다.
구미호는 인간을 유혹하여 생명을 위협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아름다운 여성으로 변한 구미호는 인간 남자를 유혹하고 구슬을 이용하여 정기를 빼앗으려 한다. 구미호가 남성 천 명의 정기를 빼앗으면 사람이 된다. 그러나 정기를 빼앗긴 인간은 생명력을 상실하여 죽음에 이르게 된다. 구미호의 유혹은 인간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치명적인 공포이다. 이상의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을 위협하는 부정적 존재로 인식되고, 특히 남성을 유혹하여 파멸시키는 부정적 아니마로 나타난다. 인간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 구미호의 유혹을 이기고 구미호를 인간 세계 밖으로 몰아내야 한다. 인간에게 구미호는 공존과 어울림의 대상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역에서 배제하고 퇴치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인간이 자연을 대상화하고 인간 중심의 사고로 파악하면서부터 구미호는 주체에 대한 타자로 인식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인간이 되고 싶은 요괴이며, 남성을 유혹하는 여성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야기에서는 구미호가 왜 사람이 되고 싶은지에 대한 이유는 드러나지 않는다. 단지 그들은 사람이 되고 싶어서 인간을 유혹하고 인간의 질서를 파괴하는 불안과 공포의 대상일 뿐이다.
위의 논의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구미호에 대한 전통적 상상력은 단일한 이미지로 존재하지 않았다. 구미호의 능력에 대한 인식태도에 따라 신성한 여우와 요괴로서의 구미호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구미호에 대한 상반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은 신성한 여우와 인간이 공존하는 신화적 사유가 시대의 추이에 따라 지배규범과 가치에 배치되면서 한편으로는 부정적 존재로 변화하고, 또 한편으로는 신성성의 편린이 기층민중 집단의 사유에 스며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문화콘텐츠
<천년여우여우비>
<전설의고향>
일본의 구미호
일본의 요괴 중 하나로 일본의 구미호도 중국의 구미호처럼 표독하고 간사한 여성상을 상징하며, 상당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에도 시대의 동화책인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을 보면 달기의 요사한 술법으로 목이 잘리지 않을때, 무왕의 측근참모였던 강여상(姜如尙)이 조마경(照魔鏡)이라는 거울을 꺼내 달기에게 보이자 구미호의 정체를 드러내어 도망치려고 했고, 여상이 보검을 빼어 던지자 구미호의 몸은 셋으로 나뉘어 흩어졌다. 그 가운데 하나는 주나라의 마지막 왕인 유왕을 유혹하여 다시 나라를 멸망의 길로 이끌었으며, 하나는 인도로 가서 남천축(南天竺)의 왕자 반족태자(班足太子)의 아내 화양부인(華陽夫人)으로 둔갑해, "하늘의 재앙으로 나라에 닥친 기근을 풀려면 매일 열 명씩 죽여서 천 명의 목을 제물로 바쳐야 한다"며 왕자에게 1천 명의 목을 치도록 부추기는 등 포학한 짓을 저질렀고, 결국 반란이 일어나 왕자는 살해되고 구미호는 도주하였다. 마지막 하나가 일본으로 건너가 도바 상황(鳥羽上皇)을 유혹하다가 음양사에 의해 정체가 간파되고 쫓기다 살해된 뒤, 살생석(殺生石)이라는 바위로 변했다고 한다.
문화콘텐츠
노드관계표
노드 | 관계 | 노드 |
---|---|---|
한국의 구미호 | 는 -에게 해를 끼치기도, 돕기도 한다. | 인간 |
삼국유사 | 에는 -가 수록되어 있다. | 구미호 이야기 |
천년여우여우비 | 는 -를 활용한 콘텐츠이다. | 구미호 |
일본의 구미호 | 는 -중 하나이다. | 일본의 요괴 |
달기 | 는 -에서 요물로 그려진다. |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 |
일본의 마지막 구미호 | 는 -로 변했다. | 바위 |
각주
기여
- 이동희 : 최초편집자
- 김대영 : 추가 입력 및 수정
- 김대영 : 노드 관계표 입력
- 김정서 : 추가 입력
- 이은정 : 문화콘텐츠 추가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 노드 |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