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명의 사용자에 의한 1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
=='''개요'''==
[http://comic.naver.com/webtoon/weekday.nhn 네이버웹툰]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웹툰 서비스이다.  
+
웹툰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의미하는 ‘카툰(cartoon)’이 합쳐져 만들어진 신조어다. 웹툰은 만화책 시장의 축소와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등장한 새로운 형대의 만화로, 모바일 형식에 최적화된 만화들을 이르는 개념이다. 2003년 포털사이트 다음(Daum)에서 [만화 속 세상]이라는 코너를 개설하여 모바일 만화를 업로드한 데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네이버웹툰]], [http://webtoon.daum.net/ 다음웹툰], [http://www.lezhin.com 레진코믹스], [http://www.bomtoon.com 봄툰] 등의 플랫폼을 통해 연재되고 있다.
  
메뉴는 연재 만화를 볼 수 있는 웹툰, 아마추어 만화가가 그린 만화를 볼 수 있는 [http://comic.naver.com/genre/challenge.nhn 도전만화], 도전만화에서 인기가 많은 웹툰을 따로 골라낸 [http://comic.naver.com/genre/bestChallenge.nhn 베스트 도전], 그리고 주말이면 일부 만화를 3권 무료로 볼 수 있는 유료만화 등이 있다.
 
  
보통 베스트 도전만화에서 인기가 높은 만화들을 선정하여 웹툰으로 정식 연재시키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
=='''플랫폼'''==
  
==소개==
+
<gallery>
2004년 6월 23일에 첫 서비스를 시작했다.  
+
파일:다음웹툰.png|[http://webtoon.daum.net/ 다음웹툰]
초창기엔 유료로 제공되는 출판 만화가 중심이었지만 2006년 2월 개편 후에는 오히려 웹툰이 메인이 되고 만화는 뒷전이 되었다.  
+
파일:네이버.png|[[네이버웹툰]]
 +
파일:레진.jpg|[http://www.lezhin.com 레진코믹스]
 +
파일:봄툰.png|[http://www.bomtoon.com 봄툰]
 +
</gallery>
  
그리고 세월이 흐른 2016년 현재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도 높은 만화 연재 매체의 위치까지 올라섰다.
 
  
  
이밖에도 [[네이버TV캐스트]]에서 [[웹드라마]]를 개발하는 등 네이버는 모바일 시대에 소비량이 높은  [[웹툰]], 웹드라마, 웹소설 플랫폼의 선두주자이다.
+
=='''OSMU'''==
 +
최신 트렌드의 발빠른 반영, 마니아들의 양산, 로맨스, 공포, 스릴러, 코믹 등 다양한 장르의 자유로운 수용 및 변주라는 특징으로 인해 웹툰은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의 러브콜을 받고 있으며, 아래의 표는 웹툰이 원작인 문화산업들이다.
 +
{| class="wikitable"
 +
|-
 +
! 문화 산업 !! 사례
 +
|-
 +
| 영화 || 순정만화(강풀), 아파트(강풀), 그대를 사랑합니다(강풀),26년(강풀), 바보(강풀), 트레이스(고영훈), 이끼(윤태호), [[신과 함께]]([[주호민]]), [[목욕의 신]](하일권), 은밀하게 위대하게(HUN), 이웃사람(강풀), 패션왕(기안84), 킬러 분식(한)
 +
|-
 +
| 드라마 || 매리는 외박 중(원수연), 아리동 라스트 카우보이(제피가루), 쌉니다 천리마마트(김규삼),치즈 인 더 트랩(순끼), 미생(윤태호), 닥터 프로스트(이종범), 송곳 (최규석), 치즈인더트랩(순끼)
 +
|-
 +
| 게임 || 라그나로크(그라비티), 베르카닉스(초이락 게임즈)
 +
|-
 +
| 애니메이션 || 와라! 편의점(지강민), 미호이야기(혜진양), 쌉니다 천리마마트(김규삼), 놓지마 정신줄(신태훈/나승훈)
 +
|-
 +
| 연극,뮤지컬 || 위대한 캣츠비(강도하), 바보(강풀), 순정만화(강풀), [[신과 함께]]([[주호민]]), [[무한동력]]([[주호민]]), 은밀하게 위대하게(HUN)
 +
|-
 +
| 캐릭터 상품 || 마린 블루스(정철연), 와라! 편의점(지강민),놓지마 정신줄(신태훈/나승훈)
 +
|}
  
==관련 문서==
+
=='''관련 문서'''==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네이버웹툰||은 ~의 플랫폼이다.||[[웹툰]]
+
|웹툰||은 ~을 플랫폼으로 한다.||[[네이버웹툰]], 다음웹툰, 레진코믹스, 봄툰
|-
+
|네이버웹툰||은 ~으로 각색되기도 한다.||[[웹드라마]]
+
 
+
 
|}
 
|}
  
==클래스==
+
=='''클래스'''==
*제작
+
*플랫폼
 +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기여==
+
=='''기여'''==
 
*[[김하늘]]: 처음작성
 
*[[김하늘]]: 처음작성
 +
*[[원동선]]: OSMU추가
 +
*[[조윤]]: 하이퍼링크 추가
 +
*[[이혜영]] : '목욕의 신' 하이퍼링크 추가
  
 
[[분류:김하늘]]
 
[[분류:김하늘]]
 +
[[분류:원동선]]
 +
[[분류:조윤]]
 
[[분류:한국 원전을 재해석한 콘텐츠의 성공사례, 신과 함께]]
 
[[분류:한국 원전을 재해석한 콘텐츠의 성공사례, 신과 함께]]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2017년 6월 13일 (화) 16:44 기준 최신판

개요

웹툰은 인터넷을 뜻하는 ‘웹(web)’과 만화를 의미하는 ‘카툰(cartoon)’이 합쳐져 만들어진 신조어다. 웹툰은 만화책 시장의 축소와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등장한 새로운 형대의 만화로, 모바일 형식에 최적화된 만화들을 이르는 개념이다. 2003년 포털사이트 다음(Daum)에서 [만화 속 세상]이라는 코너를 개설하여 모바일 만화를 업로드한 데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네이버웹툰, 다음웹툰, 레진코믹스, 봄툰 등의 플랫폼을 통해 연재되고 있다.


플랫폼


OSMU

최신 트렌드의 발빠른 반영, 마니아들의 양산, 로맨스, 공포, 스릴러, 코믹 등 다양한 장르의 자유로운 수용 및 변주라는 특징으로 인해 웹툰은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매체의 러브콜을 받고 있으며, 아래의 표는 웹툰이 원작인 문화산업들이다.

문화 산업 사례
영화 순정만화(강풀), 아파트(강풀), 그대를 사랑합니다(강풀),26년(강풀), 바보(강풀), 트레이스(고영훈), 이끼(윤태호), 신과 함께(주호민), 목욕의 신(하일권), 은밀하게 위대하게(HUN), 이웃사람(강풀), 패션왕(기안84), 킬러 분식(한)
드라마 매리는 외박 중(원수연), 아리동 라스트 카우보이(제피가루), 쌉니다 천리마마트(김규삼),치즈 인 더 트랩(순끼), 미생(윤태호), 닥터 프로스트(이종범), 송곳 (최규석), 치즈인더트랩(순끼)
게임 라그나로크(그라비티), 베르카닉스(초이락 게임즈)
애니메이션 와라! 편의점(지강민), 미호이야기(혜진양), 쌉니다 천리마마트(김규삼), 놓지마 정신줄(신태훈/나승훈)
연극,뮤지컬 위대한 캣츠비(강도하), 바보(강풀), 순정만화(강풀), 신과 함께(주호민), 무한동력(주호민), 은밀하게 위대하게(HUN)
캐릭터 상품 마린 블루스(정철연), 와라! 편의점(지강민),놓지마 정신줄(신태훈/나승훈)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웹툰 은 ~을 플랫폼으로 한다. 네이버웹툰, 다음웹툰, 레진코믹스, 봄툰

클래스

  • 플랫폼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펼치기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