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niel Kwan And Daniel Scheiner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div> | </div> | ||
− | [[파일:Daniels_directors.jpeg|center|frameless|400px]] | + | [[파일:Daniels_directors.jpeg|center|frameless|400px]]<ref> 이미지 출처:[https://abcnews.go.com/GMA/Culture/directors-daniel-kwan-daniel-scheinert-thought-oscar-win/story?id=97819837]</ref> |
<div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fff8e1, #fffde7); border:2px solid gold; border-radius:10px; padding:20px; font-size:110%; line-height:1.8; font-family:'Georgia', serif;"> | <div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to right, #fff8e1, #fffde7); border:2px solid gold; border-radius:10px; padding:20px; font-size:110%; line-height:1.8; font-family:'Georgia', serif;"> | ||
<b style="color:#bf360c;">✶ 개요</b><br> | <b style="color:#bf360c;">✶ 개요</b><br> | ||
− | <b>Daniel Kwan</b>과 <b>Daniel Scheinert</b>는 ‘다니엘스(Daniel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미국의 감독 듀오이다. | + | <b>Daniel Kwan</b>과 <b>Daniel Scheinert</b>는 ‘다니엘스(Daniel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미국의 감독 듀오이다.<ref>‘다니엘스(Daniels)’는 Daniel Kwan과 Daniel Scheinert의 이름을 딴 공동 감독명의 닉네임이다. 동일한 창작권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크레딧 구조를 형성한다.</ref> |
− | 기괴하면서도 인간적인 상상력으로 A24의 독립영화 흐름을 대중성과 예술성의 경계까지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 + | 기괴하면서도 인간적인 상상력으로 A24의 독립영화 흐름을 대중성과 예술성의 경계까지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
그들의 영화는 ‘몸’의 해체, 다중우주적 사고, 가족 서사의 전복 등을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며, 정체성의 파편성과 감정의 혼돈을 놀랍도록 독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한다. | 그들의 영화는 ‘몸’의 해체, 다중우주적 사고, 가족 서사의 전복 등을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며, 정체성의 파편성과 감정의 혼돈을 놀랍도록 독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한다. | ||
− | A24의 핵심 정체성을 형성하는 인물들이자, 수상 실적을 통해 **문화적 제도권 안착**에도 성공한 사례이다. | + | A24의 핵심 정체성을 형성하는 인물들이자, 수상 실적을 통해 **문화적 제도권 안착**에도 성공한 사례이다. |
--- |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ul> | <ul> | ||
<li><b><span style="color:#6a1b9a;">Swiss Army Man</span></b> (2016) | <li><b><span style="color:#6a1b9a;">Swiss Army Man</span></b> (2016) | ||
− | : 한 남자가 죽은 시체와 함께 벌이는 생존 여정을 통해 외로움, 사회 부적응, 소외된 인간의 욕망을 터무니없는 환상으로 재해석한 영화. | + | : 한 남자가 죽은 시체와 함께 벌이는 생존 여정을 통해 외로움, 사회 부적응, 소외된 인간의 욕망을 터무니없는 환상으로 재해석한 영화.<ref>‘죽은 몸’은 사회적 기능에서 배제된 인간의 은유로 해석되며, ‘살아갈 이유’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보여준다.</ref> |
→ <i>"방귀뀌는 시체"가 오히려 삶의 철학이 되는 다니엘스식 전복</i> | → <i>"방귀뀌는 시체"가 오히려 삶의 철학이 되는 다니엘스식 전복</i> | ||
</li><br> | </li><br>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li><b><span style="color:#00695c;">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span></b> (2022) | <li><b><span style="color:#00695c;">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span></b> (2022) | ||
: 평범한 중년 여성이 ‘다중우주’를 넘나들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이야기. | : 평범한 중년 여성이 ‘다중우주’를 넘나들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이야기. | ||
− | 수많은 감정적 층위와 메타 서사를 통해 현대인의 ‘혼돈’을 다룬다. | + | 수많은 감정적 층위와 메타 서사를 통해 현대인의 ‘혼돈’을 다룬다.<ref>장르 혼성, 감정 다중성, 정체성 해체라는 메타 서사는 현대인의 존재론적 위기를 재구성한다.</ref> |
→ 아카데미 작품상 포함 7관왕 달성. A24의 정점이자, 할리우드 제도권의 지각변동을 만든 작품. | → 아카데미 작품상 포함 7관왕 달성. A24의 정점이자, 할리우드 제도권의 지각변동을 만든 작품. | ||
</li> | </li>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 EverythingEverywhere <b style="color:#bf360c;">감독이다</b> 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 → EverythingEverywhere <b style="color:#bf360c;">감독이다</b> 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 ||
− | 또한 이들의 작품은 모두 <b>정서구조가_유사하다</b>는 관계를 통해 정체성과 감정 서사 노드들과도 깊이 연결된다. | + | 또한 이들의 작품은 모두 <b>정서구조가_유사하다</b>는 관계를 통해 정체성과 감정 서사 노드들과도 깊이 연결된다.<ref>‘정서구조가_유사하다’는 릴레이션은 작품 간 감정적 맥락과 서사적 분위기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개념이다.</ref> |
+ | |||
+ | </div> | ||
+ | |||
+ | =='''<span style="font-size:120%; font-weight:bold; color:#e38690;">시맨틱 스토리텔링</span>'''== | ||
+ | |||
+ | <div style="background:#ff8f00; border-left:5px solid gold; padding:20px; font-size:105%; line-height:1.9; font-family:'Garamond', serif; margin-bottom:30px;"> | ||
+ | |||
+ | <b style="color:#000000;">✶ 관련 문서:</b><br> | ||
+ | |||
+ | <ul style="margin-left:15px;"> | ||
+ | <li>📁 <span style="color:#444;"><b>[[♦ 독립영화 제작사 A24의 마케팅 전략?]]</b></span></li> | ||
+ | </ul> | ||
</div> | </div> | ||
<div style="margin-top:40px; font-size:120%; font-weight:bold; color:#ff8f00;"> | <div style="margin-top:40px; font-size:120%; font-weight:bold; color:#ff8f00;"> | ||
− | ✶ | + | ✶ 영상 자료 |
</div> | </div>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prWYYueiw4?si=AjT_LtQk5zkkAUgT"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참고자료>''' == | == '''<참고자료>''' == | ||
− | * [https://a24films.com/films/everything-everywhere-all-at-once A24 공식 Everything Everywhere 소개] | + | * [https://a24films.com/films/everything-everywhere-all-at-once A24 공식 Everything Everywhere 소개] |
− | * [https://en.wikipedia.org/wiki/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위키백과 - Daniel Kwan and Daniel Scheinert] | + | * [https://en.wikipedia.org/wiki/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위키백과 - Daniel Kwan and Daniel Scheinert] |
* [https://www.youtube.com/watch?v=hhY7LZzKjFc YouTube - The Daniels: Everything Everywhere Behind the Scenes] | * [https://www.youtube.com/watch?v=hhY7LZzKjFc YouTube - The Daniels: Everything Everywhere Behind the Scenes] | ||
− | |||
−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
− | [[분류: A24의 렌즈는 시대를 어떻게 담아내는가]] | + | [[분류: A24의 렌즈는 시대를 어떻게 담아내는가]] |
[[분류: KU이준호]] | [[분류: KU이준호]] |
2025년 6월 20일 (금) 17:28 기준 최신판
✶ Daniel Kwan & Daniel Scheinert (다니엘스)
✶ 개요
Daniel Kwan과 Daniel Scheinert는 ‘다니엘스(Daniels)’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미국의 감독 듀오이다.[2]
기괴하면서도 인간적인 상상력으로 A24의 독립영화 흐름을 대중성과 예술성의 경계까지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들의 영화는 ‘몸’의 해체, 다중우주적 사고, 가족 서사의 전복 등을 통해 인간 존재를 탐구하며, 정체성의 파편성과 감정의 혼돈을 놀랍도록 독창적인 방식으로 시각화한다. A24의 핵심 정체성을 형성하는 인물들이자, 수상 실적을 통해 **문화적 제도권 안착**에도 성공한 사례이다.
---
✶ 대표작 & 연출 세계
- Swiss Army Man (2016)
- 한 남자가 죽은 시체와 함께 벌이는 생존 여정을 통해 외로움, 사회 부적응, 소외된 인간의 욕망을 터무니없는 환상으로 재해석한 영화.[3]
-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2022)
- 평범한 중년 여성이 ‘다중우주’를 넘나들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이야기.
---
✶ 정체성과 스타일
· 기괴함과 감동을 병치하는 B급 유머 감각
· 정체성의 파편화를 메타적으로 다루는 서사
· 몸, 가족, 문화적 낙인에 대한 독특한 시선
· 영상언어 실험성과 내러티브 확장성
· 영상 편집부터 미술까지 DIY 감각이 살아 있음
---
✶ 시맨틱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이 감독 노드는 아래 관계들을 통해 시맨틱 그래프의 중심 축에 위치한다.
→ SwissArmyMan 감독이다 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 EverythingEverywhere 감독이다 Daniel_Kwan_And_Daniel_Scheinert
또한 이들의 작품은 모두 정서구조가_유사하다는 관계를 통해 정체성과 감정 서사 노드들과도 깊이 연결된다.[5]
시맨틱 스토리텔링
✶ 관련 문서:
✶ 영상 자료
---
주석
- ↑ 이미지 출처:[1]
- ↑ ‘다니엘스(Daniels)’는 Daniel Kwan과 Daniel Scheinert의 이름을 딴 공동 감독명의 닉네임이다. 동일한 창작권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크레딧 구조를 형성한다.
- ↑ ‘죽은 몸’은 사회적 기능에서 배제된 인간의 은유로 해석되며, ‘살아갈 이유’에 대한 철학적 탐구를 보여준다.
- ↑ 장르 혼성, 감정 다중성, 정체성 해체라는 메타 서사는 현대인의 존재론적 위기를 재구성한다.
- ↑ ‘정서구조가_유사하다’는 릴레이션은 작품 간 감정적 맥락과 서사적 분위기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