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9번째 줄: 99번째 줄:
 
=='''내용'''==
 
=='''내용'''==
 
==='''역사'''===
 
==='''역사'''===
1979년 실업팀 롯데 자이언츠의 구단주 신격호가 프로야구 리그 설립을 준비 중이라는 기사와 함께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이 시작되었다. <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9122200209208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12-22&officeId=00020&pageNo=8&printNo=17913&publishType=00020 1979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 동아일보.</ref> 1982년 2월 12일 실업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는 프로 야구단으로 전환하며 연고지를 부산으로 정했다. 처음에 서울 연고를 원했지만 리그 기획과정에서 이를 거부당했고, 부산 연고팀 마저 럭키 금성에게 빼앗길 수 있다는 메세지를 전달받아 서울 연고는 포기하게 된다. 1982년 2월 12일, 롯데호텔 크리스탈 볼룸에서 박영길 실업 롯데 감독을 사령탑으로 김용희, 노상수, 김성관 등을 주축으로 한 22명으로 선수단을 구성하여 롯데 자이언츠 창단식이 거행됐다.
+
1979년 실업팀 롯데 자이언츠의 구단주 신격호가 프로야구 리그 설립을 준비 중이라는 기사와 함께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이 시작되었다. <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9122200209208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12-22&officeId=00020&pageNo=8&printNo=17913&publishType=00020 1979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 동아일보.</ref> 1982년 2월 12일 실업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는 프로 야구단으로 전환하며 연고지를 부산으로 정했다. 처음에 서울 연고를 원했지만 리그 기획과정에서 이를 거부당했고, 부산 연고팀 마저 럭키 금성에게 빼앗길 수 있다는 메세지를 전달받아 서울 연고는 포기하게 된다. '''1982년 2월 12일''', 롯데호텔 크리스탈 볼룸에서 박영길 실업 롯데 감독을 사령탑으로 김용희, 노상수, 김성관 등을 주축으로 한 22명으로 선수단을 구성하여 롯데 자이언츠 창단식이 거행됐다.
  
  
1984년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의 투혼과 같은 나홀로 4승으로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거머쥔다. 이 우승은 여전히 KBO 역사상 최고의 한국시리즈 가운데 하나로 회자된다. 롯데는 에이스 최동원을 내세워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 완투를 이어나갔고, 강타자가 즐비한 삼성 타선을 압도했다. 그 당시 강병철 감독은 한국시리즈를 준비하는 미팅 자리에서 최동원에게 1차전,3차전,5차전,7차전 선발을 요구한다. 너무 무리한 일정이라 반발했던 최동원이었지만, 딱 한 마디를 남기고 마운드로 향한다.
+
'''1984년'''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의 투혼과 같은''' 나홀로 4승'''으로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거머쥔다. 이 우승은 여전히 KBO 역사상 최고의 한국시리즈 가운데 하나로 회자된다. 롯데는 에이스 [[최동원]]을 내세워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 완투를 이어나갔고, 강타자가 즐비한 삼성 타선을 압도했다. 그 당시 강병철 감독은 한국시리즈를 준비하는 미팅 자리에서 [[최동원]]에게 1차전,3차전,5차전,7차전 선발을 요구한다. 너무 무리한 일정이라 반발했던 최동원이었지만, 딱 한 마디를 남기고 마운드로 향한다.
  
  
{{명대사|'마, 함 해 보입시더'<br/>
+
{{명대사|'''마, 함 해 보입시더'''<br/>
|인물= 최동원<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2979 최동원이 남긴 유산], 중앙일보, 2023.09.17.</ref>}}
+
|인물= '''[[최동원]]'''<ref>[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2979 최동원이 남긴 유산], 중앙일보, 2023.09.17.</ref>}}
 
33년 후 2017년, 5년 만에 가을야구에 진출한 롯데 자이언츠는 캐치프레이즈로 이 문장을 내건다.
 
33년 후 2017년, 5년 만에 가을야구에 진출한 롯데 자이언츠는 캐치프레이즈로 이 문장을 내건다.
  
이 시리즈에서 최동원은 '5경기 등판 4승 1패 4완투, 2완투승, 1완봉승, 1완투패, 1구원승, 40이닝 평균자책점 1.80, WHIP 1.08'을 마크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끈다.
+
이 시리즈에서 [[최동원]]은 '''5경기 등판 4승 1패 4완투, 2완투승, 1완봉승, 1완투패, 1구원승, 40이닝 평균자책점 1.80, WHIP 1.08'''을 마크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끈다. 그의 한국시리즈 4승 1패 기록은 전무후무한 기록이며 그가 '''무쇠팔'''을 가진 사나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는 계기가 됐다.하지만 동시에 이 같은 기록은 다시는 되풀이해서는 안될 아픈 역사이기도 하다. [[최동원]]은 우승을 위해 몸을 혹사했고, 이는 투수의 선수 생명을 갉아먹으며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최동원]]은 이 때문에 오래 선수 생활을 하지 못했고, 현역에서 1990년 은퇴했다. 그러나 혹사 때문이었을까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2011년 향년 53세의 이른 나이에 생을 마감한다.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을 영구결번 했으며, 사직 구장에 동상을 세워 그의 헌신과 정신을 기억해 나가고 있다.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1984년 감격의 첫 우승">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1984년 감격의 첫 우승">
120번째 줄: 121번째 줄:
  
  
8년 후인 1992년, 롯데 자이언츠는 페넌트 레이스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어 2번째 우승을 거머쥔다. 그 당시 롯데는 윤학길-염종석-박동희의 트로이카가 투수진을 이끌었고, 타선은 남두오성이라 불리는 박정태,김민호,전준호,김응국,이종운 등이 장타보다는 단타를 끊임없이 때려내 상대 투수진을 괴롭혔다. 강력한 컨택과 단타만 쳐도 득점권의 모든 주자가 득점에 성공할 정도로 가공할 만한 주루 능력으로 빙그레의 수비 불안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포스트시즌에는 염종석이 활약하며 투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다.
+
'''8년 후인 1992년''', 롯데 자이언츠는 페넌트 레이스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어 '''2번째 우승'''을 거머쥔다. 그 당시 롯데는 윤학길-염종석-박동희의 트로이카가 투수진을 이끌었고, 타선은 남두오성이라 불리는 박정태,김민호,전준호,김응국,이종운 등이 장타보다는 단타를 끊임없이 때려내 상대 투수진을 괴롭혔다. 강력한 컨택과 단타만 쳐도 득점권의 모든 주자가 득점에 성공할 정도로 가공할 만한 주루 능력으로 빙그레의 수비 불안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포스트시즌에는 염종석이 활약하며 투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1992년 V2">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1992년 V2">
 
파일:92 롯데 우승.jpg|
 
파일:92 롯데 우승.jpg|
 +
  
  
 
   
 
   
하지만 2002년의 한국 시리즈 준우승 이후로 2013년까지 무려 10년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하는 암흑기를 보냈다.<ref>[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90115/8684549/1 관련 기사], 동아일보.</ref>
+
하지만 92년 마지막 우승을 이후로 롯데 자이언츠는 '''현재까지 세 번째 우승의 기쁨을 맛보지 못하고 있다.''' 95년, 99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지만 준우승에 그쳤고, 특히 2001년부터 2004년 연속 꼴찌를 하며 '''꼴데'''라는 별명도 얻게 된다. 그러다 2008년 '''제리 로이스터''' 감독의 부임과 함께 롯데의 야구가 다시 살아나기 시작했고, '''양승호'''감독이 이를 이어 받아 2012년까지 매해 가을 야구에 진출하며 두 번째 전성기를 맞게 된다.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caption="29년만의 우승">
+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caption="2010년대 강력했던 롯데 타선">
파일:23년 우승.jpg|
+
파일:2010 롯데.jpg|
 
</gallery>
 
</gallery>
<ref>[https://www.sedaily.com/NewsView/29X7ZNVJEU 23년 우승 사진 출처], 서울경제.</ref>
+
<ref>[https://m.blog.naver.com/seanmstepano/222200723201?recommendTrackingCode=2 10년 롯데 강타선], 네이버 블로그.</ref>
 +
 
 +
현재는 은퇴 후 [[최동원]]을 이어 팀의 두 번째 영구결번이 된 이대호가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시기였다. 이대호가 무려 타격 7관왕을 차지하는 KBO 리그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또, [[홍성흔]]이 카림 가르시아와 함께 홍-대-갈 클린업트리오를 결성하여 롯데는 최고의 거포군단으로 명성을 떨치게 됐다.
  
  

2025년 6월 7일 (토) 16:36 판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단
롯데 로고, 롯데 자이언츠 홈페이지
정식명칭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단
영문명칭 Lotte Giants Baseball Club
창단일 1975년 6월 6일
운영법인 롯데지주
연고지 부산광역시
상징색 군청색(#041E42)
감독 88 김태형
영구결번 11 최동원, 10 이대호
제1홈구장 사직 야구장
제2홈구장 울산 문수 야구장



정의

대한민국의 기업 롯데그룹이 운영하는 대한민국 야구 프로 리그 KBO의 팀.

연고지는 부산광역시이며, 부산 사직 야구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

역사

1979년 실업팀 롯데 자이언츠의 구단주 신격호가 프로야구 리그 설립을 준비 중이라는 기사와 함께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이 시작되었다. [1] 1982년 2월 12일 실업 야구팀 롯데 자이언츠는 프로 야구단으로 전환하며 연고지를 부산으로 정했다. 처음에 서울 연고를 원했지만 리그 기획과정에서 이를 거부당했고, 부산 연고팀 마저 럭키 금성에게 빼앗길 수 있다는 메세지를 전달받아 서울 연고는 포기하게 된다. 1982년 2월 12일, 롯데호텔 크리스탈 볼룸에서 박영길 실업 롯데 감독을 사령탑으로 김용희, 노상수, 김성관 등을 주축으로 한 22명으로 선수단을 구성하여 롯데 자이언츠 창단식이 거행됐다.


1984년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의 투혼과 같은 나홀로 4승으로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을 거머쥔다. 이 우승은 여전히 KBO 역사상 최고의 한국시리즈 가운데 하나로 회자된다. 롯데는 에이스 최동원을 내세워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 완투를 이어나갔고, 강타자가 즐비한 삼성 타선을 압도했다. 그 당시 강병철 감독은 한국시리즈를 준비하는 미팅 자리에서 최동원에게 1차전,3차전,5차전,7차전 선발을 요구한다. 너무 무리한 일정이라 반발했던 최동원이었지만, 딱 한 마디를 남기고 마운드로 향한다.


Quote-left.png 마, 함 해 보입시더
Quote-right.png
- 최동원[2]


33년 후 2017년, 5년 만에 가을야구에 진출한 롯데 자이언츠는 캐치프레이즈로 이 문장을 내건다.

이 시리즈에서 최동원5경기 등판 4승 1패 4완투, 2완투승, 1완봉승, 1완투패, 1구원승, 40이닝 평균자책점 1.80, WHIP 1.08을 마크하며 팀을 우승으로 이끈다. 그의 한국시리즈 4승 1패 기록은 전무후무한 기록이며 그가 무쇠팔을 가진 사나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는 계기가 됐다.하지만 동시에 이 같은 기록은 다시는 되풀이해서는 안될 아픈 역사이기도 하다. 최동원은 우승을 위해 몸을 혹사했고, 이는 투수의 선수 생명을 갉아먹으며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최동원은 이 때문에 오래 선수 생활을 하지 못했고, 현역에서 1990년 은퇴했다. 그러나 혹사 때문이었을까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2011년 향년 53세의 이른 나이에 생을 마감한다. 롯데 자이언츠는 최동원을 영구결번 했으며, 사직 구장에 동상을 세워 그의 헌신과 정신을 기억해 나가고 있다.


[3]


8년 후인 1992년, 롯데 자이언츠는 페넌트 레이스 1위 빙그레 이글스와 한국시리즈에서 맞붙어 2번째 우승을 거머쥔다. 그 당시 롯데는 윤학길-염종석-박동희의 트로이카가 투수진을 이끌었고, 타선은 남두오성이라 불리는 박정태,김민호,전준호,김응국,이종운 등이 장타보다는 단타를 끊임없이 때려내 상대 투수진을 괴롭혔다. 강력한 컨택과 단타만 쳐도 득점권의 모든 주자가 득점에 성공할 정도로 가공할 만한 주루 능력으로 빙그레의 수비 불안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다. 포스트시즌에는 염종석이 활약하며 투수 골든글러브를 수상하기도 했다.

[4]

현재는 은퇴 후 최동원을 이어 팀의 두 번째 영구결번이 된 이대호가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시기였다. 이대호가 무려 타격 7관왕을 차지하는 KBO 리그 역사상 가장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또, 홍성흔이 카림 가르시아와 함께 홍-대-갈 클린업트리오를 결성하여 롯데는 최고의 거포군단으로 명성을 떨치게 됐다.


그러나 이러한 시절을 뒤로 하고, 2013년부터 LG 트윈스는 점차 성장해나가며 결국 1994년의 우승 이후로 29년만인 2023년 11월 13일, kt wiz 상대로 팀 역사상 3번 째 우승을 달성하며 새로운 전성기에 도달했다.

영구 결번

[5]

현재 3명의 번호가 영구결번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 No. 41 김용수

설명

  • No. 99 이병규

설명

  • No.33 박용택

설명

잠실 시리즈

시맨틱 스토리텔링

  • 박용택 스토리 하이퍼링크 넣기

멀티미디어

로고 변화

[6]

유니폼

1990년부터 전통적인 흰 바탕의 핀 스트라이프 유니폼을 홈 경기에, 그리고 검정색 유니폼을 원정 경기에 사용 중이다.

[7]

1990, 1994년 우승의 순간 영상 자료

2023년 우승 관련 영상 자료

잠실 종합 운동장 야구장 지도

주석

  1. 1979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 동아일보.
  2. 최동원이 남긴 유산, 중앙일보, 2023.09.17.
  3. 84년 우승 사진 출처, 국제신문.
  4. 10년 롯데 강타선, 네이버 블로그.
  5.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
  6. 로고 사진 출처.
  7. 유니폼 사진 출처, LG트윈스 어패럴 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