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트윈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46번째 줄: | 46번째 줄: | ||
파일:김용수영결.jpg|'''No. 41 김용수''' | 파일:김용수영결.jpg|'''No. 41 김용수''' | ||
파일:이병규영결.png|'''No. 9 이병규''' | 파일:이병규영결.png|'''No. 9 이병규''' | ||
− | 파일:박용택 영결.png|'''No. 33 | + | 파일:박용택 영결.png|'''No. 33 박용택''' |
</gallery><ref>[https://www.koreabaseball.com/player/legend40.aspx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ref> | </gallery><ref>[https://www.koreabaseball.com/player/legend40.aspx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ref>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No. 99 이병규 | * No. 99 이병규 | ||
설명 | 설명 | ||
− | * No.33 [[박용택]] | + | * No.33 박용택 |
− | + | [[박용택/영구결번]] 문서 참조 | |
==='''잠실 시리즈'''=== | ==='''잠실 시리즈'''=== |
2025년 6월 7일 (토) 14:19 판
LG트윈스 프로야구단 | |
정식명칭 | LG트윈스 프로야구단 |
---|---|
영문명칭 | LG Twins Baseball Club |
창단일 | 1990년 3월 15일 |
운영법인 | LG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상징색 | 분홍색(C30452) |
감독 | 85 염경엽 |
영구결번 | 9 이병규, 33 박용택, 41 김용수 |
제1홈구장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제2홈구장 | LG 챔피언스 파크 |
목차
정의
대한민국의 기업 LG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야구 프로 리그 KBO의 팀.
연고지는 서울특별시이며, 두산 베어스와 함께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
역사
1982년 창단된 MBC 청룡의 매각 결정이 내려진 1989년, 평소 프로야구팀 창설에 대해 큰 열망을 지녔던 럭키금성, 현 LG 그룹이 MBC 청룡 인수를 확정하며 구단명을 LG 트윈스로 변경하였다.[1] 그렇게 전신의 역사와 기록을 모두 이어받은 LG 트윈스는 1990년 재창단되었다.
- 90년, 94년 두 번의 우승
그렇게 1990년, LG 트윈스로써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팀은 그 시즌 바로 팀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 시리즈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4년 후인 1994년, 두 번째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전성기를 보냈고, ‘서울의 팀’으로 자리 잡는 것에 성공했다.
하지만 2002년의 한국 시리즈 준우승 이후로 2013년까지 무려 10년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하는 암흑기를 보냈다.[4]
- 29년만의 우승
그러나 이러한 시절을 뒤로 하고, 2013년부터 LG 트윈스는 점차 성장해나가며 결국 1994년의 우승 이후로 29년만인 2023년 11월 13일, kt wiz 상대로 팀 역사상 3번 째 우승을 달성하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했다.
영구 결번
현재 3명의 번호가 영구결번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 No. 41 김용수
설명
- No. 99 이병규
설명
- No.33 박용택
박용택/영구결번 문서 참조
잠실 시리즈
시맨틱 스토리텔링
- 박용택 스토리 하이퍼링크 넣기
멀티미디어
로고 변화
유니폼
1990년부터 전통적인 흰 바탕의 핀 스트라이프 유니폼을 홈 경기에, 그리고 검정색 유니폼을 원정 경기에 사용 중이다.
1990, 1994년 우승의 순간 영상 자료
2023년 우승 관련 영상 자료
잠실 종합 운동장 야구장 지도
주석
- ↑ LG의 전신 MBC 청룡은?, 동아일보.
- ↑ 90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
- ↑ 94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
- ↑ 관련 기사, 동아일보.
- ↑ 23년 우승 사진 출처, 서울경제.
- ↑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
- ↑ 로고 사진 출처.
- ↑ 유니폼 사진 출처, LG트윈스 어패럴 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