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94번째 줄: 94번째 줄:
 
|제2홈구장=울산 문수 야구장
 
|제2홈구장=울산 문수 야구장
 
}}
 
}}
 +
  
  
 
=='''정의'''==
 
=='''정의'''==
1982년에 창단한 롯데그룹이 운영하는 KBO 리그 소속 프로 야구 팀이다.
+
대한민국의 기업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6271 LG]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야구 프로 리그 KBO의 팀.
 +
 
 +
연고지는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8073 서울특별시]이며, 두산 베어스와 함께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
 
=='''내용'''==
* 각 콘텐츠 관점에서 특히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술
+
==='''역사'''===
역사랑, 특징 위주로 적으면 될듯
+
1982년 창단된 MBC 청룡의 매각 결정이 내려진 1989년, 평소 프로야구팀 창설에 대해 큰 열망을 지녔던 럭키금성, 현 LG 그룹이 MBC 청룡 인수를 확정하며 구단명을 LG 트윈스로 변경하였다.<ref>[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140401/62153262/5 LG의 전신 MBC 청룡은?], 동아일보.</ref> 그렇게 전신의 역사와 기록을 모두 이어받은 LG 트윈스는 1990년 재창단되었다.
 +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90년, 94년 두 번의 우승">
 +
파일:90년 우승.jpg|
 +
파일:94년 우승.jpg|
 +
</gallery>
 +
<ref>[https://www.spochoo.com/news/articleView.html?idxno=69997 90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ref>
 +
<ref>[https://www.spocho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6740 94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ref>
 +
 
 +
그렇게 1990년, LG 트윈스로써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팀은 그 시즌 바로 팀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 시리즈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4년 후인 1994년, 두 번째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전성기를 보냈고, ‘서울의 팀’으로 자리 잡는 것에 성공했다.
 +
 
 +
하지만 2002년의 한국 시리즈 준우승 이후로 2013년까지 무려 10년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하는 암흑기를 보냈다.<ref>[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090115/8684549/1 관련 기사], 동아일보.</ref>
 +
 
 +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caption="29년만의 우승">
 +
파일:23년 우승.jpg|
 +
</gallery>
 +
<ref>[https://www.sedaily.com/NewsView/29X7ZNVJEU 23년 우승 사진 출처], 서울경제.</ref>
 +
 
 +
 
 +
그러나 이러한 시절을 뒤로 하고, 2013년부터 LG 트윈스는 점차 성장해나가며 결국 1994년의 우승 이후로 29년만인 2023년 11월 13일, [[kt wiz]] 상대로 팀 역사상 3번 째 우승을 달성하며 새로운 전성기에 도달했다.
 +
 
 +
==='''영구 결번'''===
 +
<gallery mode=packed heights=450px>
 +
파일:김용수영결.jpg|'''No. 41 김용수'''
 +
파일:이병규영결.png|'''No. 9 이병규'''
 +
파일:박용택 영결.png|'''No. 33 박용택'''
 +
</gallery><ref>[https://www.koreabaseball.com/player/legend40.aspx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ref>
 +
 
 +
현재 3명의 번호가 영구결번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
 
 +
* No. 41 김용수
 +
설명
 +
* No. 99 이병규
 +
설명
 +
* No.33 박용택
 +
설명
 +
 
 +
==='''잠실 시리즈'''===
  
 
=='''시맨틱 스토리텔링'''==
 
=='''시맨틱 스토리텔링'''==
* 해당 노드와 관련 있는 스토리텔링 문서의 하이퍼링크 목록
+
* 박용택 스토리 하이퍼링크 넣기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이미지'''===
+
==='''로고 변화'''===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
파일:8285엘지.jpeg|1982~1985시즌
 +
파일:8689엘지.jpg|1986~1989시즌
 +
파일:9005시즌.jpg|1990~2005시즌
 +
파일:0614시즌.jpg|2006~2014시즌
 +
파일:1516시즌.jpg|2015~2016시즌
 +
파일:17현재시즌.jpg|2017~현재
 +
</gallery><ref>[https://namu.wiki/w/LG%20%ED%8A%B8%EC%9C%88%EC%8A%A4#s-3.1 로고 사진 출처].</ref>
  
==='''동영상'''===
+
==='''유니폼'''===
 +
1990년부터 전통적인 흰 바탕의 핀 스트라이프 유니폼을 홈 경기에, 그리고 검정색 유니폼을 원정 경기에 사용 중이다.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
파일:홈유니폼.jpg|홈 유니폼
 +
파일:원정유니폼.jpg|원정 유니폼
 +
파일:서울유니폼.jpg|서울 유니폼
 +
파일:서울의밤유니폼.jpg|서울의 밤 유니폼
 +
</gallery><ref>[https://twinslockerdium.co.kr/ 유니폼 사진 출처], LG트윈스 어패럴 샵.</ref>
 +
 
 +
==='''1990, 1994년 우승의 순간 영상 자료'''===
 +
<html>
 +
<iframe src='https://naver.me/GBv9gSqW' loading="lazy"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540' HEIGHT='36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2023년 우승 관련 영상 자료'''===
 +
<html>
 +
<iframe src='https://naver.me/FswfdzBQ' loading="lazy" frameborder='no'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540' HEIGHT='36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잠실 종합 운동장 야구장 지도'''===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3284.328961439403!2d127.06925207585758!3d37.512071527249255!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7ca44564c8dd71%3A0x50a9dc2d455a0848!2z7J6g7Iuk7KKF7ZWp7Jq064-Z7J6lIOyeoOyLpOyVvOq1rOyepQ!5e1!3m2!1sko!2skr!4v1749270309309!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2025년 6월 7일 (토) 14:17 판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단
롯데 로고, 롯데 자이언츠 홈페이지
정식명칭 롯데 자이언츠 프로야구단
영문명칭 Lotte Giants Baseball Club
창단일 1975년 6월 6일
운영법인 롯데지주
연고지 부산광역시
상징색 군청색(#041E42)
감독 88 김태형
영구결번 11 최동원, 10 이대호
제1홈구장 사직 야구장
제2홈구장 울산 문수 야구장




정의

대한민국의 기업 LG가 운영하는 대한민국 야구 프로 리그 KBO의 팀.

연고지는 서울특별시이며, 두산 베어스와 함께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내용

역사

1982년 창단된 MBC 청룡의 매각 결정이 내려진 1989년, 평소 프로야구팀 창설에 대해 큰 열망을 지녔던 럭키금성, 현 LG 그룹이 MBC 청룡 인수를 확정하며 구단명을 LG 트윈스로 변경하였다.[1] 그렇게 전신의 역사와 기록을 모두 이어받은 LG 트윈스는 1990년 재창단되었다.

[2] [3]

그렇게 1990년, LG 트윈스로써의 첫 발걸음을 내딛은 팀은 그 시즌 바로 팀 역사상 처음으로 한국 시리즈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4년 후인 1994년, 두 번째 우승에 성공하며 화려한 전성기를 보냈고, ‘서울의 팀’으로 자리 잡는 것에 성공했다.

하지만 2002년의 한국 시리즈 준우승 이후로 2013년까지 무려 10년동안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하는 암흑기를 보냈다.[4]

[5]


그러나 이러한 시절을 뒤로 하고, 2013년부터 LG 트윈스는 점차 성장해나가며 결국 1994년의 우승 이후로 29년만인 2023년 11월 13일, kt wiz 상대로 팀 역사상 3번 째 우승을 달성하며 새로운 전성기에 도달했다.

영구 결번

[6]

현재 3명의 번호가 영구결번이 되어있는 상태이다.

  • No. 41 김용수

설명

  • No. 99 이병규

설명

  • No.33 박용택

설명

잠실 시리즈

시맨틱 스토리텔링

  • 박용택 스토리 하이퍼링크 넣기

멀티미디어

로고 변화

[7]

유니폼

1990년부터 전통적인 흰 바탕의 핀 스트라이프 유니폼을 홈 경기에, 그리고 검정색 유니폼을 원정 경기에 사용 중이다.

[8]

1990, 1994년 우승의 순간 영상 자료

2023년 우승 관련 영상 자료

잠실 종합 운동장 야구장 지도

주석

  1. LG의 전신 MBC 청룡은?, 동아일보.
  2. 90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
  3. 94년 우승 사진 출처, 스포츠 춘추.
  4. 관련 기사, 동아일보.
  5. 23년 우승 사진 출처, 서울경제.
  6. 사진 출처, KBO 레전드 40인.
  7. 로고 사진 출처.
  8. 유니폼 사진 출처, LG트윈스 어패럴 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