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디지털 큐레이션 스토리텔링)
(이미지)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번째 줄: 3번째 줄:
  
 
=='''내용'''==
 
=='''내용'''==
이명기(李命基)는 조선시대의 화가이다. 아버지인 이종수(李宗秀), 동생인 이명규(李命奎), 장인인 김응환(金應煥, 1742~1789) 역시 모두 화원이었으며, 이종수와 김응환으로부터 그림을 배웠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4446&cid=63765&categoryId=63765 이명기],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ref> 특히 이명기는 정조(재위 1776~1800) 연간에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어진 제작에 참여하고 수많은 관료 대신들의 초상화를 그리며 이름을 높였다.<ref>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189쪽.</ref> 이밖에도 산수인물화, 고사인물화, 시의도(詩意圖) 등의 다채로운 화제를 다루었으며, 세련되고 개성적인 필치가 특징적이다.<ref>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212쪽.</ref>
+
이명기(李命基)는 조선시대의 화가이다. 아버지인 이종수(李宗秀), 동생인 이명규(李命奎), 장인인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159 김응환(金應煥, 1742~1789)] 역시 모두 화원이었으며, 이종수와 김응환으로부터 그림을 배웠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44446&cid=63765&categoryId=63765 이명기],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ref> 특히 이명기는 정조(재위 1776~1800) 연간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5927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어진 제작에 참여하고 수많은 관료 대신들의 초상화를 그리며 이름을 높였다.<ref>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189쪽.</ref> 이밖에도 산수인물화, 고사인물화,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9622 시의도(詩意圖)] 등의 다채로운 화제를 다루었으며, 세련되고 개성적인 필치가 특징적이다.<ref>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212쪽.</ref>
  
 
=='''시맨틱 스토리텔링'''==
 
=='''시맨틱 스토리텔링'''==
11번째 줄: 11번째 줄:
 
==='''이미지'''===
 
==='''이미지'''===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File:강세황초상_1783.jpg | 강세황 초상(1783)
+
File:강세황초상_1783.jpg | 강세황 초상<br/>(1783) - 보물
File:채제공초상_1784-1.jpg | 채제공 초상(1784)
+
File:채제공초상_1784-1.jpg | 채제공 초상<br/>(1784) - 보물
File:채제공초상_1784-2.jpg | 채제공 초상(1784)
+
File:채제공초상_1784-2.jpg | 채제공 초상<br/>(1784) - 보물
File:김치인초상_1787.jpg | 김치인 초상(1787)
+
File:김치인초상_1787.jpg | 김치인 초상<br/>(1787)
File:유언호초상_1787.jpg | 유언호 초상(1787)
+
File:유언호초상_1787.jpg | 유언호 초상<br/>(1787) - 보물
File:윤증_전신측면좌상_1788_이명기(신법).jpg | 윤증 초상(1788)
+
File:윤증_전신측면좌상_1788_이명기(신법).jpg | 윤증 초상<br/>(1788) - 보물
File:9_윤증_전신측면좌상_1788_이명기(구법).jpg | 윤증 초상(1788)
+
File:9_윤증_전신측면좌상_1788_이명기(구법).jpg | 윤증 초상<br/>(1788) - 보물
File:오재순초상_1791.jpg | 오재순 초상(1791)
+
File:오재순초상_1791.jpg | 오재순 초상<br/>(1791) - 보물
File:경순왕어진_1794.png | 경순왕 어진(1794)
+
File:경순왕어진_1794.png | 경순왕 어진<br/>(1794)
File:허목초상_1794.jpg | 허목 초상(1794)
+
File:허목초상_1794.jpg | 허목 초상<br/>(1794) - 보물
File:서직수초상_1796.jpg | 서직수 초상(1796)
+
File:서직수초상_1796.jpg | 서직수 초상<br/>(1796) - 보물
 
File:이명기_산수인물도.jpg | 산수인물도
 
File:이명기_산수인물도.jpg | 산수인물도
 
File:이명기_초당독서도.jpg | 초당독서도
 
File:이명기_초당독서도.jpg | 초당독서도

2025년 4월 29일 (화) 09:48 기준 최신판

정의

조선 후기에 활동한 화가.

내용

이명기(李命基)는 조선시대의 화가이다. 아버지인 이종수(李宗秀), 동생인 이명규(李命奎), 장인인 김응환(金應煥, 1742~1789) 역시 모두 화원이었으며, 이종수와 김응환으로부터 그림을 배웠다.[1] 특히 이명기는 정조(재위 1776~1800) 연간에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어진 제작에 참여하고 수많은 관료 대신들의 초상화를 그리며 이름을 높였다.[2] 이밖에도 산수인물화, 고사인물화, 시의도(詩意圖) 등의 다채로운 화제를 다루었으며, 세련되고 개성적인 필치가 특징적이다.[3]

시맨틱 스토리텔링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주석

  1. 이명기,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
  2. 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189쪽.
  3. 박정혜, 황정연, 윤진영, 강민기, 『왕실문화총서 06 - 조선시대 궁중회화 3 왕의 화가들』, 돌베개, 2014, 21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