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웹툰의 IP확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콘텐츠 IP 확장 사례'''== | =='''콘텐츠 IP 확장 사례'''== | ||
− | === '''이태원 클라쓰 ( | + | === '''이태원 클라쓰 (네이버웹툰)'''===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요소||내용 | !요소||내용 | ||
|- | |- | ||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해외 리메이크 ( |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해외 리메이크 (일본판‘롯폰기 클라쓰’) |
|- | |- | ||
|장르 || 청춘, 성장, 사회비판, 드라마 | |장르 || 청춘, 성장, 사회비판, 드라마 | ||
|- | |- | ||
− | |플랫폼 || JTBC(국내 방영), 넷플릭스 | + | |플랫폼 || JTBC(국내 방영), 넷플릭스, 티빙 |
|- | |- | ||
|타겟층 || 20~30대 직장인·청년층, 글로벌 시청자 | |타겟층 || 20~30대 직장인·청년층, 글로벌 시청자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요소||내용 | !요소||내용 | ||
|- | |- | ||
− | |IP 확장 유형 || |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
|- | |- | ||
|장르 || 스릴러, 호러, 철학, 사회풍자 | |장르 || 스릴러, 호러, 철학, 사회풍자 | ||
|- | |- | ||
− | |플랫폼 || | + | |플랫폼 || 넷플릭스 |
|- | |- | ||
− | |타겟층 || | + | |타겟층 || 20~40대, 스릴러·비판적 콘텐츠 선호층 |
|- | |- | ||
− | |효과 || | + | |효과 || 비평계 호평, 세계 시청률 TOP 10 진입, 토론 및 리액션 콘텐츠 다수 생성 |
|- | |- | ||
|} | |} | ||
90번째 줄: | 90번째 줄: | ||
!요소||내용 | !요소||내용 | ||
|- | |- | ||
− | |IP 확장 유형 || | + | |IP 확장 유형 || 실사 드라마화 + 애니믹스, 캐릭터 상품화, 굿즈, 브랜드 콜라보 |
|- | |- | ||
− | |장르 || | + | |장르 || 로맨스, 일상, 심리 |
|- | |- | ||
− | |플랫폼 || | + | |플랫폼 || 티빙, tvN, 굿즈샵 |
|- | |- | ||
− | |타겟층 || | + | |타겟층 || 20~30대 여성, 감정 공감형 콘텐츠 선호층 |
|- | |- | ||
− | |효과 || | + | |효과 || 캐릭터 굿즈 판매 급증, SNS 팬 콘텐츠 활발, 시즌제 제작 |
|- | |- | ||
|} | |} | ||
107번째 줄: | 107번째 줄: | ||
!요소||내용 | !요소||내용 | ||
|- | |- | ||
− | |IP 확장 유형 || |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시즌 1~3) |
|- | |- | ||
− | |장르 || | + | |장르 || 호러, 괴물, 아포칼립스 |
|- | |- | ||
− | |플랫폼 || | + | |플랫폼 || 넷플릭 |
|- | |- | ||
− | |타겟층 || | + | |타겟층 || 10~30대 괴물/액션 콘텐츠 선호층, 해외 OTT 시청자 |
|- | |- | ||
− | |효과 || | + | |효과 || 글로벌 대히트 (TOP 10 진입), 시즌제 제작, ‘괴물’ 디자인 화제, 리액션 영상 다수 생성 |
|- | |- | ||
|} | |} | ||
124번째 줄: | 124번째 줄: | ||
!요소||내용 | !요소||내용 | ||
|- | |- | ||
− | |IP 확장 유형 || |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
|- | |- | ||
− | |장르 || | + | |장르 || 시대물, 성장물, 여성서사 |
|- | |- | ||
− | |플랫폼 || | + | |플랫폼 || tvN, 티빙, 디즈니플러스 |
|- | |- | ||
− | |타겟층 || | + | |타겟층 || 30~50대 여성층, 전통문화 관심층 |
|- | |- | ||
− | |효과 || | + | |효과 || 여성국극 재조명 계기, 여성 서사 콘텐츠 재평가, 교육자료 활용 논의 |
|- | |- | ||
|} | |} |
2025년 4월 22일 (화) 04:14 판
목차
주제
“웹툰, 하나의 이야기에서 확장되는 세계: IP 생태계와 디지털 2차 창작 네트워크”
부제: – 드라마, 팬덤, 플랫폼을 잇는 이야기의 확장성
기획의도
<하나의 웹툰 IP가 단순한 원작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로 확장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제작자, 플랫폼, 팬덤, 2차 창작자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디지털 큐레이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한다.
- 웹툰은 더 이상 ‘만화’에 그치지 않는다. → 드라마, 영화, 굿즈, OST, 게임 등으로 확장됨
- 이러한 확장 과정은 단선적이지 않고 네트워크적이다. → 창작자, 제작사, 플랫폼, 수용자, 커뮤니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프로젝트를 통해 웹툰 IP 기반 콘텐츠 생태계의 작동 원리를 시각화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정의
IP (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
- 이야기, 캐릭터, 세계관 등 창작물의 원형이 되는 지적 자산
- 플랫폼과 제작사는 IP의 확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결정함
IP 확장
하나의 원천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화, 드라마, 게임, 굿즈 등 다양한 미디어로 재생산되는 과정
- 시간 확장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를 확장하거나, 다른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추가함.
- 공간 확장:
다른 장소를 배경으로 이야기를 펼치거나, 세계관을 확장함.
- 플랫폼 확장:
다양한 플랫폼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임.
- 캐릭터 및 캐스팅 확장:
새로운 캐릭터를 등장시키거나, 기존 캐릭터를 다른 방식으로 활용함.
2차 창작
- 원작 IP를 기반으로 한 팬 또는 제작자의 재해석 콘텐츠
- 예: 팬아트, 패러디 영상, 드라마 짤, 밈, 굿즈, 코스프레
- 팬덤이 콘텐츠 생산 주체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디지털 현상으로 인식됨.
콘텐츠 생태계
- 창작자, 제작자, 플랫폼, 유통자, 소비자(팬덤)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콘텐츠 생산-소비 구조
- 웹툰 IP를 중심으로 다양한 주체가 관여하며 수익과 콘텐츠가 순환함
콘텐츠 IP 확장 사례
이태원 클라쓰 (네이버웹툰)
요소 | 내용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해외 리메이크 (일본판‘롯폰기 클라쓰’) |
장르 | 청춘, 성장, 사회비판, 드라마 |
플랫폼 | JTBC(국내 방영), 넷플릭스, 티빙 |
타겟층 | 20~30대 직장인·청년층, 글로벌 시청자 |
효과 | ‘단밤포차’ 실제 창업 유행, OST 차트 진입, 박새로이 헤어스타일 유행, 글로벌 화제성 |
지옥 (네이버웹툰)
요소 | 내용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
장르 | 스릴러, 호러, 철학, 사회풍자 |
플랫폼 | 넷플릭스 |
타겟층 | 20~40대, 스릴러·비판적 콘텐츠 선호층 |
효과 | 비평계 호평, 세계 시청률 TOP 10 진입, 토론 및 리액션 콘텐츠 다수 생성 |
유미의 세포들 (네이버웹툰)
요소 | 내용 |
---|---|
IP 확장 유형 | 실사 드라마화 + 애니믹스, 캐릭터 상품화, 굿즈, 브랜드 콜라보 |
장르 | 로맨스, 일상, 심리 |
플랫폼 | 티빙, tvN, 굿즈샵 |
타겟층 | 20~30대 여성, 감정 공감형 콘텐츠 선호층 |
효과 | 캐릭터 굿즈 판매 급증, SNS 팬 콘텐츠 활발, 시즌제 제작 |
스위트홈 (네이버웹툰)
요소 | 내용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시즌 1~3) |
장르 | 호러, 괴물, 아포칼립스 |
플랫폼 | 넷플릭 |
타겟층 | 10~30대 괴물/액션 콘텐츠 선호층, 해외 OTT 시청자 |
효과 | 글로벌 대히트 (TOP 10 진입), 시즌제 제작, ‘괴물’ 디자인 화제, 리액션 영상 다수 생성 |
정년이 (카카오웹툰)
요소 | 내용 |
---|---|
IP 확장 유형 | 드라마화 |
장르 | 시대물, 성장물, 여성서사 |
플랫폼 | tvN, 티빙, 디즈니플러스 |
타겟층 | 30~50대 여성층, 전통문화 관심층 |
효과 | 여성국극 재조명 계기, 여성 서사 콘텐츠 재평가, 교육자료 활용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