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정보화기획 202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평가 방법) |
(→설송이) |
||
(4명의 사용자에 의한 2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강의 일정'''== | =='''강의 일정'''==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
− | !style="width:5%"|차수|| style="width:5%"|날짜|| style="width:20%" | 학습목표 || style="width: | + | !style="width:5%"|차수|| style="width:5%"|날짜|| style="width:20%" | 학습목표 || style="width:20%"|내용 || style="width:30%"|강의자료 |
|- | |- | ||
|1 || 03/06 || 오리엔테이션 || 수업 일정 및 진행방식 소개 || [[파일:pdf-file.png|30px|link=https://dh.aks.ac.kr/~khw/tutor/2025_KNUH/01_오리엔테이션_20250306.pdf]] | |1 || 03/06 || 오리엔테이션 || 수업 일정 및 진행방식 소개 || [[파일:pdf-file.png|30px|link=https://dh.aks.ac.kr/~khw/tutor/2025_KNUH/01_오리엔테이션_20250306.pdf]]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파일:ted.png|30px|link=https://www.ted.com/talks/jimmy_wales_the_birth_of_wikipedia?subtitle=ko]] : The Birth of Wikipedia - Jimmy Wales (Founder of Wikipedia), 2005. | [[파일:ted.png|30px|link=https://www.ted.com/talks/jimmy_wales_the_birth_of_wikipedia?subtitle=ko]] : The Birth of Wikipedia - Jimmy Wales (Founder of Wikipedia), 2005. | ||
|- | |- | ||
− | |5 || 04/03 || | + | |5 || 04/03 || 방법론 및 기술 운용 2 || 온톨로지 설계 방법론,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 그래프 || |
+ | [[파일:pdf-file.png|30px|link=https://dh.aks.ac.kr/~khw/tutor/2025_KNUH/BH_ontology.pdf]] : 온톨로지 설계 사례 <br/> | ||
+ | [[파일:pdf-file.png|30px|link=https://dh.aks.ac.kr/~khw/tutor/2025_KNUH/04_네트워크그래프_20250403.pdf]] : 네트워크 그래프<br/> | ||
+ | [[Network Graph in Wiki|위키 문서로 네트워크 그래프를 만드는 방법]] | ||
|- | |- | ||
− | |6 || 04/10 || | + | |6 || 04/10 || 사례 연구 2 || 국가유산청 한양도성 타임머신<br/>한국유교문화진흥원 충청국학 디지털 아카이브 || |
|- | |- | ||
|7 || 04/17 || 사례 연구 3 ||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 | |7 || 04/17 || 사례 연구 3 ||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 | ||
51번째 줄: | 54번째 줄: | ||
|15 || 06/12 || 기말고사 || 결과물 발표 || | |15 || 06/12 || 기말고사 || 결과물 발표 || | ||
|} | |} | ||
+ | |||
+ | =='''수강생'''== | ||
+ | ===김화평=== | ||
+ | * 위키문법 실습: [[사용자:김화평|내 페이지]], [[전통주|프로젝트]] | ||
+ | |||
+ | ===이예은=== | ||
+ | * 위키문법 실습: [[사용자:이예은|내 페이지]], [[인류무형문화유산 |프로젝트]] | ||
+ | |||
+ | ===설송이=== | ||
+ | *위키문법 실습: [[사용자:설송이|내 페이지]], [[고대 제철|프로젝트]] | ||
=='''평가 방법'''== | =='''평가 방법'''== |
2025년 4월 2일 (수) 20:03 판
목차
[숨기기]강좌 개요
- 강좌명: 문화유산정보화기획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전문대학원 디지털헤리티지학과 2025년 1학기 수업
- 담당 교수: 강혜원
- 내용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의 이론적 배경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사례 연구
- 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
- 시맨틱 데이터 기반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강의 일정
차수 | 날짜 | 학습목표 | 내용 | 강의자료 |
---|---|---|---|---|
1 | 03/06 | 오리엔테이션 | 수업 일정 및 진행방식 소개 | ![]() |
2 | 03/13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 디지털 큐레이션과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한국고고학사전의 디지털 전환 사례 |
![]() |
3 | 03/20 | 휴강 |
| |
4 | 03/27 | 방법론 및 기술 운용 1 | 미디어위키 |
|
5 | 04/03 | 방법론 및 기술 운용 2 | 온톨로지 설계 방법론,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 그래프 |
|
6 | 04/10 | 사례 연구 2 | 국가유산청 한양도성 타임머신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충청국학 디지털 아카이브 |
|
7 | 04/17 | 사례 연구 3 |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 |
8 | 04/24 | 중간고사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기획서 발표 | |
9 | 05/01 | 시맨틱 모델링 실습 1 | 문화유산 시맨틱 모델링 및 시맨틱 데이터 제작 실습 | |
10 | 05/08 | 시맨틱 모델링 실습 2 | 실습 결과물 검토 및 피드백 | |
11 | 05/15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1 | 주제 발표 및 피드백 큐레이션 콘텐츠 구조화 전략 논의 |
|
12 | 05/22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2 | 진행 상황 발표 및 토론 | |
13 | 05/29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3 | 진행 상황 발표 및 토론 | |
14 | 06/05 | 문화유산 디지털 큐레이션 실습 4 | 완성도 점검 최종 발표 준비 방향 설정 |
|
15 | 06/12 | 기말고사 | 결과물 발표 |
수강생
김화평
이예은
설송이
평가 방법
평가항목 | 중간고사 (기획서 발표) |
기말고사 (결과물 발표 및 기말 레포트) |
출석 | 과제 (위키문법 및 시맨틱 모델링 실습 과제) |
---|---|---|---|---|
배점 | 30% | 40% | 10% | 20% |
Basic Technology References
온톨로지(Ontology)
- 온톨로지의 이해
- 온톨로지의 설계
-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
-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데이터 모델은 한국의 전통문화 속의 역사적 사실 관계 및 그 사실의 문헌적 근거에 관한 지식을 데이터화 하기 위해 개발한 온톨로지 스키마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2016년에 처음 제정하였고, 매년 유관 분야 연구를 통해 확장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