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재료정보 |
|사진=광목솜저고리 1920년대.jpg | |사진=광목솜저고리 1920년대.jpg | ||
|사진출처= <big>'''광목 솜저고리'''</big><br>단국대학교석주선박물관,『석주선박사의 우리옷 나라』,<br> 단국대학교출판부, 2016, 96쪽 | |사진출처= <big>'''광목 솜저고리'''</big><br>단국대학교석주선박물관,『석주선박사의 우리옷 나라』,<br> 단국대학교출판부, 2016, 96쪽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분류:편나영]] | + | |
+ | |||
+ | |||
+ |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
+ | [[분류:object]] [[분류:object-직물]] | ||
+ | [[분류:복콘2020-object-직물]] | ||
+ | [[분류:근대면직물]] | ||
+ | [[분류:편나영]] |
2020년 12월 14일 (월) 19:49 기준 최신판
광목 (廣木) |
|
대표명칭 | 광목 |
---|---|
한자표기 | 廣木 |
이칭별칭 | 조포(粗布), 생조포(生粗布), sheeting |
구분 | 근대 면직물 |
소재 | 겉감: 광목, 안감: 목면 |
광목
- 광목(廣木, sheeting)은 문헌에 따라 시칭그, 조포(粗布), 생조포(生粗布)로 불리며, 조선인의 기호에 맞게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있어 서민들의 옷감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1] 소폭목면(小幅木綿)과 금건(金巾)의 중간에 위치하는 품질과 내구력을 가지고 도시시장을 중심으로 소비지역을 넓혀갔다.[2] 경위사 모두 24번수의 단연사를 이용하여 직조한 평직의 조포로 폭36촌 1필의 길이 40마이다.[3]
- 일본 도요보(東洋紡)에서 생산한 삼에이(3A)표 광목은 1910년대에 이미 수입이 시작되어 당시 우리나라 시장 중 삼남지방(충청도,전라도, 경상도)을 독점한 상태에서 조선산으로는 경성방직회사(경성방직주식회사)에서 1923년에 처음으로 직조한 광목 브랜드인 삼성표와 삼각산이 생산된다. 그 이후 불로초, 천도, 산삼, 태극성 등 여러 상표의 광목이 생산되게 된다.
- 『궁중발기』중 1917년 「뎡ᄉᆞ츄(秋)졍화당 의복ᄎᆞᄇᆞᆯ긔」에서 '광목2필'이 기록되고 있다.
- 평직의 면직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