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제조원가의 분류와 흐름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원가의 정의와 개념

  • 원가란?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해 정상적인 상태에서 사용된 재화와 용역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금액으로 측정한 것
  • 원가는 체중처럼 원래 숫자가 아니다. 원가계산은 원가를 화폐가치로 측정하는 과정이다. 원가수치는 체중계에 나오는 결과처럼 원가계산의 결과로 통상적으로 원가와 원가수치를 동일한 개념으로 파악한다.
  • 원가계산이 필요한 이유는? 전략 수립의 첫 단계이기 때문이다. 원가우위 전략을 사용할 것 인지 혹은 차별화 전략을 사용할 것 인지에 따라 그에 맞는 원가계산이 필요하다.

제조원가와 비제조원가

  • 제조원가 : 회사의 자원을 생산활동에 사용, (예) : 재료비, 노무비, 경비
  • 비제조원가 : 회사의 자원을 비생산활동에 사용, (예) : 판매비와 관리비

노무비 : 생산에 투입한 노동자 및 관리자 인건비 등 노동력의 원가 재료비 : 생산에 투입한 재료의 원가 경비 : 건물, 기계, 전력 등 재료 및 노동력 이외의 자원을 투입한 것의 원가

원가계산 목적 제조원가 분류

  • 제조원가에는 직접비와 간접비 존재
 직접비 -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경비 => 생산활동에 직접 사용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 
 간접비 - 간접재료비, 간접노무비, 간접경비 => 생산활동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 3가지 종류의 간접비가 묶여 제조간접비라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됨.
 -직접노무비 : 생산라인 노동력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가
 -직접재료비 : 제품을 만들기 위해 주요 원·재료 및 부품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원가
 -직접경비 : 외주가공비, 특허권 -> 이외에는 전부 다 간접경비, 직접 경비가 없는 기업이 많음
 -제조간접비 : 직접재료비와 직접노무비 이외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원가

재료비

  • 재료비의 발생 : 재료가 창고로부터 출고되어 생산과정에 사용
  • 재료비 = 재료소비량(출고량) * 구입단가

-직접재료비 : 재료출고청구서에 작업지시서 또는 제조지시서 번호가 기입되어 있는 것
-간접재료비 : 제조지시서번호는 없고 사용부분만이 기입되어 있는 것

노무비

  • 제품의 생산과정에 사용되는 노동력의 가치를 화폐금액으로 측정한 것
  • 노무비 = 작업시간 * 임률 => 종업원 1인당 1시간당 노무비
  • 제품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직접노무비와 간접노무비로 나눔

제조경비

  • 제조원가 중에 재료비와 노무비를 제외한 일체의 원가요소

-제조직접경비 : 특정 제품의 제조와 관련된 외주가공비와 특허권사용료
-제조간접경비 : 공장의 전기 및 수도료, 감가상각비, 임차료, 보험료, 복리 후생비, 수선유지비, 통신비 등

제조원가의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