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이(영화, 2006)
| 황진이 | |
| 작품명(국문) | 황진이 |
|---|---|
| 작품명(영문) | Hwang Jin-yi |
| 제작연도 | 2007 |
| 국가 | 한국 |
| 감독 | 장윤현 |
| 각본 | 김현정 |
| 각색 | 김은정 |
| 원작 | 홍석중 |
| 개봉일 | 2007.06.06 |
|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 장르 | 시대, 로맨스 |
| 러닝타임 | 141분 |
| 관객수 | 119만 |
시놉시스
여자는 땅, 천민은 짐승이던 16세기. 양반가의 딸로 자란 진이(송혜교)는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자 가장 천한 ‘기생’의 신분을 스스로 선택한다. 인간으로서 가장 밑바닥으로 추락했으나 사대부조차 동경하는 최고의 여인이 된 ‘진이’. 그녀 곁에 벗이었고, 노비였으며, 첫 남자인 놈이(유지태)가 있다. 시대의 격랑 속에서 놈이는 반역자로 수배되고, 이제 진이는 자신의 전부를 건 운명의 선택을 한다.[1]
등장인물
- 주연
놈이(유지태)
- 조연
- 희열(류승룡)
- 이금(정유미)
- 장덕(김부선)
- 화담 서경덕(김응수)
- 매향(송민지)
- 벽계수(조승연)
- 황진사(박철호)
스틸컷
관련 동영상
황진이 요약 영상
명대사
| |
바람으로 오세요. 비가 되어 내리세요. 당신따라 바람으로 지내렵니다. 당신 품에서 잠들고 깨어나렵니다. 사랑합니다. | |
| - 황진이 | ||
| |
저는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남자입니다. 보십시오, 아씨의 절 보는 눈빛이 말하고 있지 않습니까.. 사랑한다구요, 이 못난 놈을 | |
| - 놈이 | ||
수상내역[2]
촬영지 정보[3]
- 파주 세트장
- 양수리 세트
- 용인 민속촌
- 담양 소쇄원
- 남원 광한루
- 순천 선암사
- 남산 한옥마을
- 양평 설매재
- 금강산
역사적 배경[4]
황진이의 생애
조선 전기 시서와 음률에 뛰어났던 개성의 기녀이다. 여류시인으로 허난설헌과 병칭된다. 서화담·박연폭포와 함께 송도삼절이라 일컫는다. 그의 전기에 대하여 상고할 수 있는 직접사료는 없다. 따라서 간접사료인 야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 계통의 자료는 비교적 많은 반면에 각양각색으로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그리고 너무나 신비화시킨 흔적이 많아서 그 허실을 가리기가 매우 어렵다.
서경덕과의 일화
당대의 대학자 서경덕을 유혹하려 하였으나 실패한 뒤에 사제관계를 맺었다.
작품 활동
황진이가 지은 한시에는 「박연폭포(朴淵瀑布)」·「만월대회고(滿月臺懷古)」·「봉별소판서세양(奉別蘇判書世讓)」 등이 전하고 있다. 시조 작품으로는 6수가 전한다.
이 중에 「청산리 벽계수야」·「동짓달 기나긴 밤을」·「내언제 신이없어」·「산은 옛산이로되」·「어져 내일이여」의 5수는 진본(珍本) 『청구영언』과 『해동가요』의 각 이본들을 비롯하여 후대의 많은 시조집에 전하고 있다.
황진이의 작품 평가
현전하는 작품은 5, 6수에 지나지 않으나 기발한 이미지와 알맞은 형식과 세련된 언어구사를 남김없이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평점과 한줄평
| 작성자 | 별점 | 한줄평 |
|---|---|---|
| 이동진 | ★★☆☆☆ | 소극적인 연출. 액센트가 없는 리듬.[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