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아티스트 네트워크 그래프: 팬덤 활동을 위한 시각적 위키
목차
기획의도
이 프로젝트는 하이브(HYBE)와 그 산하 레이블 및 소속 아티스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K-POP 산업 내에서 형성되는 협업과 상호작용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시각화한다. 단순한 아티스트 소개나 곡 목록을 넘어, 콜라보레이션, 유닛 활동, 커버 무대, 방송 출연 등 다양한 교차 지점을 통해 하이브 콘텐츠 생태계의 유기적인 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네트워크 시각화 도구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K-POP이 하나의 산업 네트워크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중심으로, 그와 연관된 다른 아티스트나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시각화 기반 정보 플랫폼을 지향한다. 하이브 소속 아티스트 간의 협업, 외부 아티스트와의 콜라보, 방송·공연에서의 상호작용 등을 네트워크 그래프로 구성해, 아티스트 간의 관계 흐름과 콘텐츠의 연결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팬들은 콜라보 무대, 유닛 활동, 수상 이력 등 다양한 활동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더 깊이 있는 팬덤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 분석은 팬들에게는 ‘덕질을 위한 시각화 도구’로, 나아가 문화기획자에게는 ‘콘텐츠 전략을 읽는 인사이트’로, 연구자에게는 ‘K-POP 산업 구조를 해석하는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아티스트 콜래보레이션 - 세븐틴X이영지, 아티스트 콜래보레이션 - 방탄소년단X콜드플레이와 같은 협업 사례를 통해 그 배경과 관계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시각화함으로써 관계 중심의 K-POP 이해를 돕는다.
내용
하이브 엔터테인먼트
역사
하이브의 성장 서사: K-POP 산업을 재정의한 기업 이야기
1) 창립: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시작 (2005)
하이브(HYBE)의 전신은 2005년 방시혁 대표가 설립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다. 당시 그는 JYP엔터테인먼트의 유명 작곡가 출신으로,“아티스트 중심의 콘텐츠 제작”이라는 철학 아래 독립했다. 설립 초기에는 K.Will, 8eight, 이현 등 실력파 보컬리스트들을 중심으로 한 음악 레이블이었다.
2) 초기 성장: BTS의 데뷔와 저예산에서 시작된 실험 (2013~2016)
2013년, 빅히트는 힙합을 기반으로 한 보이그룹 BTS(방탄소년단)를 데뷔시켰다. 대형기획사 소속이 아니었기 때문에 TV 출연이나 홍보 채널은 제한적이었지만, 트위터, 유튜브 등 SNS를 활용한 글로벌 팬 소통 전략으로 점차 주목을 받았다. 2015년부터는 '화양연화 시리즈'를 통해 성장 가도를 달렸고, 2016년엔 WINGS 앨범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3) 폭발적 성장: 빌보드 정복과 상장 (2017~2020)
- 2017년: BTS, Love Yourself 承 'Her' 앨범으로 빌보드 200 차트 진입
- 2018~2019년: BTS가 연속으로 빌보드 1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슈퍼스타 반열에 오름
- 2020년: Dynamite 발매 →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Hot 100 1위 달성
이 시기 빅히트는 TXT(투모로우바이투게더)를 추가로 데뷔시키며 아티스트 라인업을 확장했고, 플랫폼 기업인 위버스컴퍼니를 설립하여 팬 플랫폼 'Weverse'를 출시함으로써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2020년 10월에는 코스피 상장에 성공, 'K-POP 최초 상장 기획사'로 기록되며 시가총액 수조원대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4) 체계화된 운영: HYBE로의 전환과 레이블 구조 도입 (2021~2023)
- 2021년, 회사명을 빅히트 → HYBE로 변경하며 "엔터테인먼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을 표방.
- 동시에 다중 레이블 체제 도입 → 각 레이블이 독립적 운영을 하면서도 HYBE 산하로 통합
- 주요 인수 및 산하 레이블: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세븐틴, 뉴이스트)
- 쏘스뮤직 (여자친구 → 르세라핌)
- KOZ 엔터 (지코)
- 어도어 (민희진 대표, 뉴진스)
HYBE는 미국 음악 시장 진출을 위해 이타카 홀딩스(Ithaca Holdings)를 인수했고, 이를 통해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글로벌 아티스트들과의 네트워크도 확보했다.
5) 최근 동향: 뉴진스·르세라핌의 글로벌 성공과 팬덤 플랫폼 경쟁 (2023~2025)
- 뉴진스 (2022 데뷔) → 2023년 Super Shy, ETA 등의 히트로 빌보드 HOT 100 진입
- 르세라핌 (2022 데뷔) → 2024년 미국 투어, EASY 등으로 글로벌 입지 강화
- 팬 플랫폼 Weverse는 여전히 HYBE의 핵심 플랫폼으로 운영되며, SM·YG 등 일부 아티스트들도 합류
또한, 하이브는 팬덤과 콘텐츠 중심의 IP 사업을 강화하며 웹툰, 소설, 굿즈, 게임, 공연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25년 현재 HYBE는 "아티스트 중심의 글로벌 IP 확장"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음악 산업을 넘어서는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레이블
레이블 | 대표이사 | 설립일 | 소속 아티스트 |
---|---|---|---|
빅히트 뮤직 | 신선정[1] | 2021.07.01 | 이현, 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외 |
빌리프랩 | 김태호 | 2018.09.17 | 엔하이픈, 아일릿 |
쏘스뮤직 | 소성진 | 2009.11.17 | 여자친구[2], 르세라핌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김연수 | 2010.07.05 | 범주, 황민현, 세븐틴, 투어스 |
KOZ 엔터테인먼트 | 우지호[3] | 2018.11.26 | 지코, 보이넥스트도어 |
ADOR | 김주영 | 2021.11.02 | 뉴진스[4] |
하이브 아티스트 공식 응원법
아이돌 응원법의 특징
아이돌 공식 응원법은 팬덤이 콘서트나 음악 방송 등에서 아티스트의 무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소속사가 제시하는 정해진 응원 구호나 구절이다. 이는 아티스트와 팬 간의 결속을 강화하는 의식적 퍼포먼스의 일환이자, K-POP 팬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다.
- 구성방식
- 주로 노래 도입부, 후렴, 간주에 맞춰 멤버 이름이나 특정 구호를 외치도록 구성됨
- 응원법은 가사 일부, 아티스트 구호, 팬덤명 등을 포함
- BTS의 경우: "김남준! 김석진! 민윤기! 정호석! 박지민! 김태형! 전정국! BTS!"와 같은 이름 일괄 암기형 구호가 대표적
- 팬덤 통일성 강조
- 팬들은 공식 응원법 가이드를 사전에 학습하고 공연 현장에서 통일된 타이밍과 톤으로 구호를 외침
- 이는 K-POP 공연의 집단 퍼포먼스적 특성을 강화하며, 팬 스스로를 무대 일부로 인식하게 함
- 아티스트와의 상호작용
- 무대 위 아티스트는 팬들의 응원 타이밍을 인식하며 퍼포먼스 중 리액션, 아이컨택, 제스처 등으로 화답하는 경우가 많음
- 특히 팬들이 완벽하게 응원법을 맞췄을 때, 이를 "총공(총력 응원)"이라 부르며 팬덤 자긍심의 상징으로 여김
- 팬덤별 문화 차이
- 그룹마다 응원법의 분위기와 구성은 차이를 보임
- 예: 뉴진스 – 간결하고 반복적인 구호 / 세븐틴 – 유쾌하고 드라마틱한 전개 / 스트레이키즈 – 파워풀하고 군중성 강조
- 디지털 시대의 응원
오프라인 공연 외에도 유튜브 응원 가이드 영상, AR 응원봉 연동, 온라인 스트리밍 이벤트 응원 타이밍 등 비대면 환경에 맞춘 진화된 형태도 활발히 활용됨
방탄소년단(BTS) – “Dynamite” 응원법
응원법(일부):
Intro ~ 1절 시작 전: “방! 탄! 소! 년! 단!”
Chorus (I’m in the stars tonight~) 구간: 후렴 끝에 "방! 탄! 소! 년! 단!"을 외침
브릿지 전 (Light it up like dynamite~): 따라 부르기 + 응원봉 웨이브
후렴마다 “방탄소년단” 외치기
리듬에 맞춰 박수 + 응원봉 흔들기
브릿지나 간주에서는 이름 떼창 (예: RM! 진! 슈가! 제이홉! 지민! 뷔! 정국!)
실제 공식 응원법 PDF는 BigHit 콘서트 자료나 BTS Official 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됨. 곡마다 응원 구성이 다름.
르세라핌(LE SSERAFIM) – “UNFORGIVEN” 응원법
응원법(일부):
인트로 ~ 1절 시작: “LE! SSERA! FIM!” (리듬에 맞춰 세 번 반복)
Chorus (Unforgiven I'm a villain~) 후렴 직후 이름 떼창: “사쿠라! 김채원! 허윤진! 카즈하! 홍은채!”
간주 구간: 응원봉 흔들며 "르세라핌!" 연호 반복
마지막 후렴: “Unforgiven girls!” → 팬들도 함께 떼창 가능
도입부와 후렴 직후 이름 떼창
후렴 직전 “르세라핌!” 외치기
응원봉은 강약에 따라 리듬 맞춰 흔들기
르세라핌 UNFORGIVEN 공식 응원법 – 위버스 공지
투모로우바이투게더(TOMORROW X TOGETHER) – “Over The Moon” 응원법
응원법(일부): 강조된 글씨체 떼창
(00:09~)
최수빈 최연준 최범규 강태현 휴닝카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떼창
너는 나의 미래
내 시공의 질서
Let me hold you
Let me hold you closer
널 안고 입 맞출 때
내 겨울이 녹아내려
You’re the sunlight
데려가 줘 더
저 달을 넘어 더 멀리
꿈을 건너 sanctuary
찬란한 저 약속의 우주로
나를 살게 했듯이
너를 웃게 할 테니
Promise that I’ll always be anywhere you are
For you (Yeah Yeah)
For you (Yeah Yeah)
이곳 영원의 대지
영원의 대지
For you (Yeah Yeah)
For you (Yeah Yeah)
지금 땅 위를 박차 baby
땅 위를 박차 baby
Over the moon (Over the moon)
Over the stars (Over the stars)
날아올라 when you’re in my arms
Over the moon (Over the moon)
Over the stars (Over the stars)
속삭여 줘 나의 이름을
투모로우바이투게더 Over The Moon 공식 응원법 – 위버스 공지
팬덤 용어
입덕: 특정 대상의 팬이 되어 덕질을 시작하는 것.
갓기: 갓 태어난 아기처럼 어린 멤버나 데뷔 초 아이돌을 귀엽게 부르는 말.
플미: 티켓이나 굿즈를 원가보다 비싸게 되파는 것.
빠순이: 아이돌 팬을 비하하거나 자조적으로 부르는 말.
머글: 팬덤 밖 일반 사람을 뜻하는 말 (해리포터에서 유래).
성덕: 좋아하던 대상을 실제로 만나거나 함께 일하게 된 성공한 덕후.
악개: '악성 개인 팬'이라는 뜻으로, 같은 그룹 팬이지만 특정 멤버만 응원하며 다른 멤버를 비난하는 팬.
조공: 팬이 연예인에게 주는 선물이나 응원 물품.
역조공: 연예인이 팬들에게 주는 선물이나 감사 이벤트.
본진: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최애 그룹이나 캐릭터.
스밍: ‘스트리밍’의 줄임말로, 음원 차트를 올리기 위해 반복 재생하는 것.
일코: ‘일반인 코스프레’의 줄임말로, 팬이라는 걸 숨기고 평범한 척하는 것.
총공: '총공격'이라는 뜻으로, 팬덤이 정해진 시간에 동시에 음원·글·투표 등을 집중적으로 올리는 것.
시맨틱 스토리텔링
아티스트 콜래보레이션 - 세븐틴X이영지
아티스트 콜래보레이션 - 방탄소년단X콜드플레이
온톨로지
CLASS
Class | Definition | Remarks | ID 부여 규칙 | Example |
---|---|---|---|---|
Entertainment | 기업 | 모든 관계와 연결의 중심축 역할 | 단일 엔터티로 사용 | HYBE |
Label | HYBE 산하 레이블 | HYBE의 멀티 레이블 | 레이블명 그대로 사용 | 빅히트 뮤직,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Artist | HYBE 소속 아티스트 | 콘텐츠 중심축이며 다양한 관계를 형성 | 아티스트명 그대로 사용 | 정국, 허윤진 |
Song | 아티스트의 노래 | 대표곡, 히트곡, 커버 관계 강조 | "곡명(가수)" 형식 | Dynamite(BTS), FEAR(세븐틴) |
Broadcast | ||||
Platform | HYBE가 운영하는 플랫폼 | 팬과의 소통 중심 앱 | 플랫폼명 그대로 사용 | Weverse, V LIVE |
Project | HYBE 기획 프로젝트 | 주로 오디션 프로그램 | 프로그램명 그대로 사용 | R U Next?, The Debut |
Person | HYBE와 관련된 핵심 인물 | 창립자, 제작자, 프로젝트·플랫폼 참여 인물 포함 | 인명 그대로 사용 | 방시혁 |
MusicChart | 음악 차트 | 성과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 | 차트명 그대로 사용 | Billboard Hot 100, Global 200 |
Group | HYBE와 소속 그룹 | 아티스트들이 포함된 그룹 | 그룹명 그대로 사용 | BTS, 르세라핌 |
Youtube_Program | 유튜브 자체제작 프로그램 | 콜라보 관계를 강화하는 콘텐츠 | 프로그램명 그대로 사용 | 차린건쥐뿔도없지만 |
TV_Program | TV 방송 | 관계 강화 및 홍보 효과의 콘텐츠 | 프로그램명 그대로 사용 | 이영지의레인보우, MCOUNTDOWN |
Item | 관련된 사물 | 콜라보 관계를 강화하는 물건 | 사물 이름 그대로 사용 | 마이크 |
릴레이션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Example |
---|---|---|---|---|
isLabelOf | Label | Entertainment | 레이블 A는 엔터테인먼트 B의 레이블이다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 isLabelOf → 하이브 |
isArtistOf | Group / Artist | Label | 그룹/가수 A는 레이블 B의 가수이다 | 르세라핌 → isArtistOf → 쏘스뮤직 |
isFounderOf | Person | Entertainment | 사람 A는 엔터테인먼트 B의 설립자이다 | 방시혁 → isFounderOf → 하이브 |
uses | Artist | Platform | 가수 A는 플랫폼 B를 사용한다 | 엔하이픈 → uses → 위버스 |
isRelatedTo | Anything | Anything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방탄소년단→ isRelatedTo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producedBy | Song | Person / Artist | 곡 A는 사람/가수 B에 의해 프로듀싱됐다 | 방탄소년단 → producedBy → 방시혁 |
distributesThrough | Artist | Platform | 가수 A는 플랫폼 B를 통해 유통된다 | 방탄소년단 → distributesThrough → 위버스샵 |
coveredBy | Song | Group / Artist | 곡 A는 그룹/가수 B가 커버했다 | Dynamite → coveredBy → 트레저 |
becameGlobalLeaderThrough | Entertainment | Label | 엔터테인먼트 A는 레이블 B를 통해 글로벌 리더가 되었다 | 하이브 → becameGlobalLeaderThrough → HYBE AMERICA |
isMemberOf | Artist | Group | 가수 A는 그룹 B의 멤버이다 | 지민 → IsMemberOf → BTS |
isUnitOf | Group | Group | 그룹 A는 그룹 B의 유닛이다 | 부석순 → IsUnitOf →세븐틴 |
chartedOn | Song | MusicChart | 곡 A는 차트 B에 올랐다 | EASY → ChartedOn → Billboard |
isSongOf | Song | Group / Artist | 곡 A는 그룹/가수 B의 곡이다. | ASAP → IsSongOf → 뉴진스 |
collaborateWith | Group / Artist | Group / Artist | 그룹/가수 A는 그룹/가수 B와 콜라보했다 | IU → collaborateWith → 슈가 (BTS) |
belongs_to | Group / Artist | Group | 그룹/가수 A는 그룹 B에 소속돼있다 | 부석순 → belongs_to → 세븐틴 |
releases | Group / Artist | Song | 그룹/가수 A는 곡 B를 발매했다 | 방탄소년단 → releases → Dynamite |
features | Group / Artist | Song | 그룹/가수 A는 곡 B를 피처링했다 | 이영지 → features → 파이팅해야지 |
come_out_as_a_host_in | Artist | Youtube_Program / TV_Program | 가수 A는 프로그램 B의 호스트이다 | 이영지 → come_out_as_a_host_in → 차린건쥐뿔도없지만 |
come_out_as_a_guest_on | Group / Artist | Youtube_Program / TV_Program | 그룹/가수 A는 프로그램 B의 게스트로 출연했다 | 호시 → come_out_as_a_guest_on → 차린건쥐뿔도없지만 |
performs_at | Group / Artist | TV_Program / Broadcast | 그룹/가수 A는 TV 프로그램 B에서 공연했다 | 부석순 → performs_at → AsiaArtistAward |
appear_together | Group / Artist | Group / Artist | 그룹/가수 A는 그룹/가수 B와 함께 등장한다 | 이영지 → appear_together → 부석순 |
give_a_present | Group / Artist | Item | 그룹/가수 A는 아이템 B를 선물했다 | 부석순 → give_a_present → 마이크 |
receive_a_present | Group / Artist | Item | 그룹/가수 A는 아이템 B를 선물받았다 | 이영지 → receive_a_present → 마이크 |
participatedIn | Group / Artist | Performance | 그룹/가수 A는 공연 B에 참여했다 | 진 → participatedIn → MTV Unplugged |
composer | Artist | Song | 가수 A는 곡B를 작곡했다 | 콜드플레이→ is composer of → The Astronaut |
formedFriendshipWith | Group / Artist | Group / Artist | 그룹/가수 A는 그룹/가수 B와 우정을 쌓았다 | 콜드플레이 → formed Friendship with → 방탄소년단 |
performedAt | Song | Place | 곡 A는 B에서 공연되었다 | My Universe → PerformedAt → Coldplay Goyang |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스크립트
참고문헌
- 하이브
- 빅히트
- 위버스
- 위버스샵
- 쏘쓰뮤직
- yx labels
- KOZ 엔터테인먼트
- 어도어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 투어스
- 세븐틴
- 르세라핌 공식 스토어
- 빌리프랩
- 방탄소년단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 제니
- 이영지
- 찰리푸스
- 앤 마리
- 스티브아오키
- 할시
- 라우브
- 콜드플레이
- 메간
- 기사'방탄소년단 '다이너마이트', K팝 그룹 최초 스포티파이 20억 스트리밍'
- 기사'민희진 뉴진스 '하이프 보이' 뮤비, 폰 이미지 이유 있었네…'포닝
주석
- ↑ 前 빅히트 신인개발팀으로, 방탄소년단의 데뷔 준비 시기에도 근무했다.
- ↑ 멤버들은 쏘스뮤직과 2021년 5월 22일부로 전속계약이 종료된 상태
- ↑ 블락비의 ZICO(지코)
- ↑ 2024년 11월 29일 00시 이후로 NewJeans는 ADOR의 전속계약 해지사유를 원인으로 한 전속계약 해지를 통해 ADOR와의 전속계약이 해지되었다는 입장을 밝혔고 2024년 12월 5일 ADOR는 전속계약확인의 소를 제기하여 ADOR측은 전속계약 해지사유를 범한 적이 없고 이에 따라 ADOR와 NewJeans의 전속계약은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확실한 결과는 본안 재판이 종결된 이후에야 알 수 있기에 그전까지는 NewJeans가 ADOR 소속이라고, 혹은 ADOR 소속이 아니라고 단언할 수 없었으나 2025년 3월 21일부로 어도어가 제기한 소속사 지위보전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고 멤버들의 독자 활동이 막히면서 본안 판결 전까지는 어도어가 소속사 지위를 가진다.참고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