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장 시장과 시장 사람들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용인사회문화구술총서 2 [시장과 시장 사람들: 용인의 전통시장]은 2011년 3월부터 2013년 8월까지 한국외대 인문대 문화콘텐츠 전공 교·강사와 학생들, 그리고 오랫동안 용인연구를 수행해온 용인의 향토연구자들이 함께 만든 책이다. 먼저 서설(敍說)인 [용인시 오일장의 형성과 전통시장 활성화: 용인장, 백암장을 중심으로]는 최명환, 정양화 두 분이 함께 집필했다. 용인사람의 정감(情感)이 배어 있는 용인의 오일장인 용인장과 백암장의 활성화를 염두에 두고 쓴 글이다. 책 전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이다.


목차

  • 제1부_ 용인장 사람들과 용인장 이야기

1. 용인시장의 삶, 허선욱 할머니 [김정은]

2. 용인시장의 장승, 금창현 사장 [우초롱·정윤아]

3. 용인시장 지킴이, 전 상인회 박노인 회장 [정서윤]

4. 『용인오일장 사람들』의 저자, 김종경 시인 [최명환·김종경]

5. 용인 김량장의 연원과 김량장동 133번지 이야기 [홍순석·우상표]

6. 용인장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 [김선정 외]

  • 제2부_ 백암장 사람들과 백중문화제

1. 백암의 명물 백암순대의 두 전수자 박애자-김미정 [김효순·박준설]

2. ‘백암’ 알리기에 앞장서온 이장협의회 김주흥 회장 [조아라·송은지]

3. 박세환, 백암 생활과 백중문화제를 말하다 [김성희·이혜임]

4. 백암 백중문화제를 기록하고 있는 사진작가 김명수 [임영상]

5. 백암장과 백중문화제 [김장환]

6. ‘백암장’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 [최명환·김태선 외]


출판사 서평

  • ‘제1부 용인장 사람들과 용인장 이야기’에는 허선욱, 금창현, 박노인 세 분의 시장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3편(학생 필자들), 『용인오일장 사람들』 시화집을 간행한 시인의 작품 및 시인에 대한 글(김종경·최명환), 용인장의 연원(홍순석)과 용인의 대표 골목 김량장 133번지 이야기(우상표)를 한 편으로 묶은 글, 그리고 용인장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김선정 외) 등 총 6편의 글이 실렸다. 용인장 콘텐츠 기획 글은 ‘구술사와 콘텐츠 기획’ 수업시간에 발표된 기획서들을 담당교수인 김선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현대한국학연구소 구술기록관실장이 재구성한 것이다.
  • ‘제2부 백암장 사람들과 백중문화제’에는 먼저, 백암순대의 두 전수자(박애자, 김미정)와 2011년 제1회 백암 백중문화제를 준비해온 김주흥(이장협의회)과 박세환(백암면체육회)의 삶의 이야기 3편(학생 필자들), 백암(사람)과 백중문화제를 사진으로 기록하고 있는 사진작가 김명수의 ‘삶의 이야기’(임영상), 백암장과 백중문화제(김장환), 그리고 백암장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 기획(최명환·김태선 외) 등 총 6편의 글이 실렸다. 백암장 콘텐츠 기획 글은 ‘구술사와 콘텐츠 기획’ 수업시간에 발표된 기획서들을 전통장 관련 연구를 해온 최명환 박사와 백암에 살고 있는 문화콘텐츠 전공 김태선 군이 공동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연계정보

S (객체1) V (관계) O (객체2) 설명
용인시장_시장과 시장 사람들 isCreatedBy 임영상 저자
용인시장_시장과 시장 사람들 mentions 허선욱 할머니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