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엄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충처: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주 신중엄 신도비'

신중엄 (1522~1604)은 조선의 문신으로 일찍 부모를 여의고, 계모에게 효도하고 동생을 잘 돌본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수령을 지내면서 백성들을 교화하였고, 임진왜란 때는 부족한 군량미를 개인 재산으로 군량미로 조달하는 등 국란 극복에 노력하였다.

자는 희범(希范), 본관은 고령으로 일찍이 4살 때 어머니를, 16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계모 슬하에서 성장했다. 종조부의 덕택으로 음보로서 동궁의 하급관리로 나갔고 경복궁의 중수역을 맡았다. 그 뒤 군자감 직장, 예빈시 주부, 사헌부 감찰 등을 지내다가 1561년 용담현(龍潭縣)에서 지방관으로 5년 재임했고 1571년 다시 상주로 나갔다. 서울로 돌아와 종부시 주부, 상서원 판관, 장예원 사의를 지낸 뒤 순천군수로 나갔고, 1584년 사옹원 판관을 지내다가 수안군수로 나갔다. 다시 돌아와 상방 판관을 지내다 이듬해 작은 일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1591년부터 계모와 계조모의 상을 치른 뒤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1598년 명나라 원군이 식량이 떨어지자 집안의 곡식을 내어주었는데 이 일이 조정에 알려져 통정대부의 품계를 받았다. 1601년에는 80세의 나이로 첨추(僉樞)가 되어 가선대부에 올랐으며 이어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604년 2월 사망했고, 42년 뒤에 자손의 공로로 좌찬성에 추증되었다.[1]

관련기사 Related Entries

본 기사 Current Entry 관계 Relation 관련 기사 Related Entry
신중엄 hasStele 청주 신중엄 신도비
wasBornIn 1522
DiedIn 1604
isPartOf 고령신씨
hasType 문신
wasInvolvedIn 임진왜란

주석 References

  1. 이동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주 신중엄 신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