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란치마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Namdaeranchima.jpg

<사진 1> 남색 대란치마


Daeranchima.jpg

<사진 2> 홍색 대란치마


대란치마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비·빈이 대례복(大禮服: 나라의 큰 의식에 입는 예복)에 입던 치마이다.

다홍이나 남색의 사(紗)나 단(緞)으로 만들고 금박을 찍은 단(段)을 따로 만들어서 두 층으로 붙이는데, 15~17㎝ 너비의 금박단을 치마 아랫단에 붙이고 같은 너비의 공간을 두고 다시 22~25㎝의 넓은 금박단을 붙인다.

길이는 바닥에 한 자 정도 끌리게 하고 폭은 보통 치마보다 한 폭을 더 넓게 한다.

황후는 용 문양, 왕비는 봉황 문양, 공주·옹주는 꽃문양[花紋]을 찍어 직위를 나타냈다.

원삼(圓衫)에 받쳐 입을 때는 남색 대란치마를 입고 그 위에 홍색 대란치마를 입되, 남색 아랫단의 좁은 금박 위에 홍색 대란치마의 끝이 오도록 치마허리를 조절하여 입는다.[1]



관련 지식

관계 대상 문서 설명
기본구성 여자 한복 여자 한복의 기본 구성
포함 신부 예복 여자 예복의 구성 요소


연관 복식

단속곳, 무지기치마, 대슘치마, 당의, 원삼, 웃치마, 족두리



Writer : 김현승


  1. 국립고궁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