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신병 플루토
인물 | |
---|---|
![]()
| |
이름 | 거신병 플루토 |
소속 | 명계 |
분류 | 성좌 외 |
진명 | 김남운 |
목차
[숨기기]개요(정의)
잠자는 거신을 베기 위해 벼려진 검이여. 지금, 이곳에 강림하라.
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에 등장하는 설화병기 중 하나.
내용[1]
특징
명계의 명왕 하데스가 기간토마키아를 준비하기 위해 만든 설화병기의 일종으로 30m의 거대 로봇이다. 기동을 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개연성의 소비를 요구하기 때문에 기간토마키아급의 시나리오가 아니라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어렵다.
김남운과의 관계
설화병기는 설화를 동력 삼아 작동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거신병 플루토의 설화는 영혼이다. 이 거신병에는 김남운의 영혼이 동력원으로 사용되어 김남운의 자아가 들어가 있다.
작중행적[2]
거대한 크기와 막대한 개연성 소비로 인해 작중에 등장하는 빈도가 적다. 크게 김독자의 첫 번째 명계 방문, 혁명가 시나리오, 기간토마키아 시나리오를 들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 활약한 에피소드는 기간토마키아 에피소드이다. 김독자의 명계 방문 당시에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모습이었고 이후 김독자가 김남운에게 제공한 힌트로 인해 완성된다. 공단 에피소드에서는 긴고아의 죄수가 개연성을 빌려줘 소환될 수 있었으나 1분 남짓이었다. 그럼에도 세이스비츠 공작의 공장이 제구실을 못할 정도로 만들어, 그 위력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간토마키아 에피소드에서는 김독자와 유중혁이 기간토마키아를 준비하기 위해 명계에 온 초반부터, 올림포스와 본격적인 전투를 벌이는 중반까지 등장한다. 전투에서 김독자의 조종아래 상대편의 거신병 헤라클레스를 부수는 데 성공한다.
회차 정리
회차 | 에피소드 |
---|---|
1부 113화 | Episode 22. 세가지 약속(5) |
2부 219화 | Episode 41. 진짜 혁명가(5) |
2부 220화 | Episode 41. 진짜 혁명가(6) |
2부 220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1) |
3부 321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2) |
3부 322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3) |
3부 323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4) |
3부 324화 | Episode 61. 기간토마키아(5) |
3부 330화 | Episode 62. 신의 천적(3) |
3부 331화 | Episode 62. 신의 천적(4) |
3부 336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3) |
3부 337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4) |
3부 339화 | Episode 63. 신화의 종말(6) |
시맨틱 스토리텔링
모티브(문화원형)
플루토
플루토의 문화원형으로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는데 공식적인 언급이 없었기 때문에 가능성이 높은 것 근거위주로 정리.
- 플루토(Pluto)[3]
고대 그리스 신화와 종교에 등장하는 저승을 지배하는 신. 이 신의 초기 이름은 하데스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하데스와 신화를 공유하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인물이라 여기기 어렵다.
거신병 플루토가 명왕 하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병기라는 점, 하데스라는 캐릭터가 속한 명계는 그리스 로마 신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가장 깊은 문화원형이라 할 수 있다.
- 플루토(PLUTO)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플루토(PLUTO)>에 등장하는 로봇.
문화 원형 자체는 고대 신인 플루토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를 거신병과 엮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을 지도 모르는 캐릭터이자 작품. 만화<플루토(PLUTO)>는 데즈카 오사무의 <우주소년 아톰>의 파생작으로 <우주소년 아톰>은 애니메이션계의 대표적인 고전 걸작이다. 문화 콘텐츠, 특히 애니메이션 계에서 로봇하면 아톰이라 할 정도로 뺴놓을 수 없는 영향력이 강한 작품이기도 하다.
거신병
- 거신병(巨神兵)[4]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 등장하는 소재. 인간형 반생물 병기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거신병이라는 소재 자체가 이 작품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기도 했고, 작중 거신병 플루토의 묘사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거신병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거인의 형체를 닮은 외양. 검은 광택이 도는 금속으로 마감한 거병은,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천천히 호흡하고 있었다. 신화상 가장 끔찍했던 전쟁을 준비하는 병기. 거신병(巨身兵).
-전지적 독자 시점 116화 Episode 23. 버려진 세계(1)
인용문에서 알 수 있듯이 단순한 병기가 아니라 일종의 살아있는 생물이다. 이는 영혼이 들어가 동력원이 된다는 설정에서도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한자같은 경우 神(귀신 신)이 아니라 身(몸 신)을 사용했는데 하데스가 소유하는 '병기'라는 속성을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