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Lecture 2022 Jan 5

Digerati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월 5일 (수) 07:5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사전학센터] 제5기 디지털 큐레이션 아카데미 2022. 1. 5.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디지털 큐레이션(Dital Curation)

디지털 큐레이션이란?

☞ 디지털 환경에서 수행하는 자기주도적 지식의 탐구와 표현

이성적인 이해나 감성적인 체험의 가치가 있는 대상을 발견했을 때, 그 발견을 홀로 즐기기보다는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고 공감하는 것을 더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의 모든 문화적 활동의 저변에 놓인 사고이다. 큐레이터의 큐레이션이나 인문학자들의 저술 활동은 모두 자신이 얻은 앎과 느낌을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는 노력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아울러 그 활동들은 단편적인 사물이나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나열하기보다는 그 요소들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맥락이 있는 이야기를 만듦으로써 잘 이해하고 더 많이 공감하게 하려 하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그 이야기의 구성 요소가 역사적인 유물이나 미술작품과 같은 유형의 실물 위주인 경우 그 이야기 구성의 행위를 큐레이션이라고 불렀고, 언어로 기술된 정보와 지식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 ‘저술’이나 ‘강의’ 등의 이름으로 차별화 했을 뿐이다.[1]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의 목표

☞‘의미있는’ 데이터의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키워가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능력의 배양 ☞ 미래의 인문학 교육·연구자, 데이터 기반 지식 세계의 큐레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 교육.

디지털 큐레이션 예시: 나의 생활 속의 인문학

나의 인문학이란?

‘나의 인문학’이란 ‘자신의 관심사를 좇아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을 탐구하고 자기의 관점에서 그 결과를 체계화하는 생활’, 다시 말해 일상 속에서 인문적 교양을 증진시키며 스스로 즐기는 삶의 방식과 그럴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대학에서 디지털 인문학 교육이 요청되는 이유는 그것이 디지털 원어민인 젊은이들에게, 디지털 환경에서 ‘나의 인문학’을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앎’에 대한 호기심과 자기가 찾은 ‘앎’을 표현하려는 욕구를 좀 더 체계적이고, 정확하고, 세련된 지식의 탐구로 고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접할 때 그것을 고립된 실체가 아닌, 다른 많은 것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고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 관계를 더듬어 가는 지적 탐구의 여정을 시작하게 된다. 인터넷 상에서 내 호기심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정보를 찾고, 그 정보를 무턱대고 베끼기보다는 그 출처를 검증하고, 그 내용의 문맥을 이루는 지식 요소들을 더 깊게 조사하여 남들에게 자신 있게 보일 수 있는 자기의 콘텐츠로 만들기까지……. 이와 같은 일련의 지식 탐구 능력은 실제로 그러한 류의 지식 콘텐츠 편찬 작업을 해 보는 교육을 통해서 올바른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다.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관심을 두는 대상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그릴 수 있게 한다. 그냥 옮기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좀 더 바르게 이해하고, 좀 더 창의적으로 재현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것이다.[2]

디지털 파빌리온: 나의 생활 공간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백과사전적 아카이브란?

  • 백과사적 아카이브(Encyclopedic Archives), 약칭 엔사이브(Encyves)
  • (인문학 교육·연구 활동으로서의) 인문지식 디지털 큐레이션의 산출물이자, 새로운 교육과 연구의 도구로 쓰일 수 있는 지식 공유 환경
  • 아카이브 콜렉션의 디지털 사본과 그 유물들의 사회적·문화적 문맥을 알려 주는 백과사전적 지식 정보를 긴밀하게 연계시키는 융합적 시스템
Encyves.jpg
아날로그 시대에는 두 가지(박물관의 큐레이션과 학자들의 강의·저술)를 전혀 다른 일로 취급할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박물관의 수장고와 전시실, 대학의 연구실과 강의실은 서로 다른 독립된 공간이었고, 그 각각의 공간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일을 하는 전문가로 취급되었다. 지식의 성격과 내용은 유관한 것일지라도, 들여다보는 대상물이 다르면 연구방법이 달라지고, 그래서 그 일은 서로 다른 일이었다. 고객들도 그들의 분업 체계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을 것이다. 유물을 보기 위해서는 박물관으로, 문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록관으로, 그 증거들을 학술적으로 설명하는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대학의 강의실로 가야 했다.

하지만 그 모든 지적 감성적 경험의 세계에 ‘디지털’이라고 하는 새로운 변수가 등장하면서 상황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현대의 지식 고객들은 박물관의 유물이든, 아카이브의 문헌기록이든, 그것들을 가지고 역사를 탐구한 인문학자들의 논술이든, 이 모든 것들을 사이버 공간에서 디지털화된 콘텐츠로 접하는 데 점점 익숙해져 가고 있다. 이 세계에서는 박물관과 강의실이 분리된 공간일 필요가 없다. 유물의 형상과 색체를 보이는 이미지 자료와 그것의 제작기법이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는 연구논문이 다 같이 디지털 데이터로 존재하는 곳에서 두 세계를 넘나드는 행위는 한 번의 마우스 클릭이면 족하다. [3]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

  • 백과사전적 아카이브는 어느 한 곳의 박물관이나 기록관을 그런 형태로 만들자는 제안이 아니라, 백과사전적 지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중개자로 삼아 수많은 디지털 아카이브의 실물 정보들이 의미적 관계를 좇아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하자는 것.
  • 백과사전적 아카이브의 구현은 학계와 아카이브계 양쪽에서 추구되어야 할 과제이지만, 그 실현의 관건이 되는 첫 번째 과제는 분산된 자료와 지식정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지식 요소의 시맨틱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이것을‘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이라고 명명)를 편찬하는 것.
  • 데이터 기반 인문지식 백과사전의 성격

① 분과학문적 전문지식의 내용들이 그것이 다룬 사실과 문맥의 연관성에 따라 다방면으로 이어지고 확장될 수 있는 다학문적 지식의 네트워크
② 지식의 사실적 증거(문화유적, 박물관 유물, 문헌기록, 현장조사 기록 등)와 그 증거에서 파생한 이론과 해설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게 하는 융합 콘텐츠
③ 탐구의 대상과 관련이 있는 현장의 장소감을 공유하고, 그와 관련이 있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하이퍼미디어 콘텐츠.
④ 디지털 자원을 접하는 지식의 소비자가 곧바로 서울에 관한 새로운 지식의 생산자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개방적인 소통 및 재이용가능(reusable) 지식 자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입문 단계의 디지털 큐레이션 교육 과정

  • 전통적인 인문학 공부와 내용적으로 상응하는 스몰 데이터(Small Data)의 편찬
  • 이것이 다수의 협업 공간에서 빅 데이터(Big Data)로 발전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모델(온톨로지, Ontology)의 설계
  • 데이터로 전환된 인문지식을 시각화여 그 정확성과 명시성을 검증하는 데이터 시각화 기술
  • 학술적 이론과 아카이브의 유물, 현장의 활동을 하나의 가상 공간에서 융합하고 감성적으로 체험하게 할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 응용 기술

온톨로지 설계 교육

  •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할 대상 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균형적으로 조직화하는 능력을 배양
  • 온톨로지로 표현할 대상 세계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인문 지식 교육
온톨로지교육.jpg

위키 콘텐츠 편찬

  • 저작물을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도구로뿐 아니라,
  • 각자의 조사·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종합해 가는 협업의 수단으로 위키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
위키교육.jpg

데이터의 시각화

  • 인문 연구의 분야에서 탐구하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
  • 온톨로지 설계 과정에서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그 관계성을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
시각화교육.jpg

하이퍼미디어 콘텐츠 제작

  • 사진과 동영상, 파노라마 영상, 3D 모델, 전자지도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인문지식 스토리의 문맥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교육
하이퍼미디어2.jpg

실습

  • 위키 콘텐츠 편찬과 데이터 시각화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강의 참여자 명단


미래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우리는 왜 현실 세계의 많은 것을 디지털 세계에 옮겨 놓으려 하는가?

☞ 현실 세계에는 그 많은 것 사이 사이에 넘어서기 어려운 장벽이 존재하지만, 디지털 세계에서 한 번의 클릭으로 그 벽을 넘나들 수 있기 때문에 ......

  • 인문지식 탐구의 과정에서 그 지식을 ‘데이터’로 기술하여 소통시키는 것, 그렇게 해서 그 지식이 인간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가치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디지털 인문학이 인식하는 미래 인문학의 과제.
  • 이러한 점에서, 디지털 인문학의 1차적인 주안점은 분과학문적 전문성의 심화보다는 지식 영역간의 소통, 지식의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쌍방향 교류를 촉진하여 인문학의 사회적 기여를 높이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분과학문에서 추구하는 지식 심화의 노력이 병존하지 않으면, 디지털 인문학이 추구하는 지식의 소통과 활용도 그 깊이와 가치를 잃어갈 것.
  • 디지털 인문학 교육은 소통과 협업의 환경 속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관심을 갖는 지식이 어떠한 맥락 속에 있는지 깊이 있게 이해하고, 그 토대 위에서 자기 공부의 주제를 찾고, 전문적 지식을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학생들을 인도하는 것.
  • 인문학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큐레이션의 방법으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를 편찬하는 과업의 목표 역시

- 지식세계의 다양성을 맹목적으로 좇는 것이 아니라,
- 그 다양한 것들의 문맥을 이해하는 가운데, 무엇인가를 좀 더 전문적으로 탐구해야 할 동기를 얻어서,
- 그 방면으로의 지식의 심화를 이루어 갈 수 있게 하고,
- 자신이 탐구한 것의 결실이 자기만의 앎으로 고립되지 않고, 더 발전된 소통과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는 것.

주)

  1. 金炫,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 국학진흥원
  2. 김현 외, 『디지털 인문학 입문』, 2016. 5. HUEBooks. pp. 54~55.
  3. 金炫, 「유교문화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디지털 아카이브 마스터플랜 연구, 2020. 3. 국학진흥원


참고

참고문헌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