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png

"DH Lecture 2020 Jan 2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igerat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69번째 줄: 69번째 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시절을_노래하다._세시봉 시절을_노래하다. 세시봉]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시절을_노래하다._세시봉 시절을_노래하다. 세시봉]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카나가와현에_여행을_떠나자 내 고향 카나가와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카나가와현에_여행을_떠나자 내 고향 카나가와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CHS-2019-S09 조선시대의 천주교 박해]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CHS-2019-S09 조선시대의 천주교 박해]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CHS-2019-S08 신라왕과 왕릉 이야기]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2020년 1월 29일 (수) 08:35 판

전남대학교 철학과 세미나 2020. 1. 29.

Jpc2019.jpg

디지털 인문학 - 초연결 시대의 인문학 공부

DHLecture2019Dec17QR.png

인공지능의 시대, 미래 인문학의 과제

디지털 큐레이션과 인문지식 콘텐츠

디지털 큐레이션이란?

DigitalCuration.jpg

  •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전시를 위해 유물 하나 하나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고,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아 그 유물의 문화적 가치를 설명하는 이야기를 만들듯이,
  •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자와 학생들은 디지털 세계에서 유의미한 지식의 조각을 탐색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대상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가상 박물관 디지털 큐레이션(예시)

인문지식 데이터의 소통과 확장: 스몰 데이터에서 빅 데이터로(예시)

의미를 담은 작은 데이터

문화유산 해설문 네트워크 그래프
청주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여산송씨 정려각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충렬사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신항서원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신항서원 묘정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보물 동래부순절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보물 부산진순절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데이터의 연결 ⇒ 지식의 확장 ⇒ 새로운 지식의 발견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