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png

"DH Lecture 2019 Dec 1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igerat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디지털 스토리텔링 예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indicator name="music">[[File:text.png|40px]]</indicator>
 
<indicator name="music">[[File:text.png|40px]]</indicator>
'''인천예일고등학교 강연''' 2019. 12. 6
+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2019년 2학기 종강 총회''' 2019. 12. 17, 명진관 121호
 
+
 +
[[파일:jpc2019.jpg|120px|center]]
 
<center>
 
<center>
[[File:text2.png|60px]] <font size="6">초연결 시대의 인문학</font><br/>
+
<font size="6">디지털 인문학 - 데이터 시대의 인문학 교육</font>
<font size="4">- 인공지능과 인문학은 어떻게 만날까? -</font>
 
 
</center>
 
</center>
 
+
[[파일:DHLecture2019Dec17QR.png|300px|center]]
[[파일:DHLecture2019Oct30QR.png|300px|center]]
 
<br/>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align="right"  
19번째 줄: 17번째 줄:
 
__TOC__
 
__TOC__
  
==강연 자료==
+
==인공지능의 시대, 미래 인문학의 과제==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9/2019-10-30한빛고.pdf '''초연결 시대의 인문학 - 인공지능과 인문학은 어떻게 만날까? -''' 발표 자료(PDF) ]
+
* [[DH Lecture AI and DH | 인공지능의 시대, 미래 인문학의 과제]]
  
 
==디지털 큐레이션과 인문지식 콘텐츠==
 
==디지털 큐레이션과 인문지식 콘텐츠==
 +
 +
===디지털 큐레이션이란?===
 +
[[파일: DigitalCuration.jpg|600px]]
 +
 +
*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전시를 위해 유물 하나 하나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고,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아 그 유물의 문화적 가치를 설명하는 이야기를 만들듯이,
 +
*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자와 학생들은 디지털 세계에서 유의미한 지식의 조각을 탐색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대상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Gallery.htm 가상 박물관 디지털 큐레이션(예시)]===
 
===[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Gallery.htm 가상 박물관 디지털 큐레이션(예시)]===
59번째 줄: 63번째 줄:
 
{{SemanticNetwork2 | db=Class2019B | project=song | key=송상현}}
 
{{SemanticNetwork2 | db=Class2019B | project=song | key=송상현}}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http://dh.aks.ac.kr/Edu/wiki/index.php/나의_인문학 나의 인문학]'''==
  
 
===[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02.py?db=tutor&project=concert&key=PokarekareAna ‘연가’와 ‘Pokarekare Ana’]===
 
===[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02.py?db=tutor&project=concert&key=PokarekareAna ‘연가’와 ‘Pokarekare Ana’]===
67번째 줄: 71번째 줄:
 
</html>
 
</html>
  
===[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Line.py?db=tutor&project=narrative&key=S190429K  디지털 스토리텔링 예시]===
+
* [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Line.py?db=tutor&project=narrative&key=S190429K  디지털 스토리텔링 - Storyline]
<html>
+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frame width="96%" height="600px" src="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Line.py?db=tutor&project=narrative&key=S190429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96%" height="600px" src="http://dh.aks.ac.kr/cgi-bin/encyves/StoryLine.py?db=tutor&project=narrative&key=S190429K"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
 +
 
 +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Curriculum_2018-2019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인문정보학 커리큘럼]
 +
 
 +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
 
 +
* [http://dhlab.aks.ac.kr/Edu/wiki/index.php?title=인문정보학_튜토리얼 인문정보학 튜토리얼]
  
 
==참고 자료==
 
==참고 자료==
82번째 줄: 94번째 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신대동사회론  金炫,  「新‘大同社會’論」, 『전통문화』 44호, 2018. 4.]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신대동사회론  金炫,  「新‘大同社會’論」, 『전통문화』 44호, 2018. 4.]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4차_산업혁명_시대의_인문학  金炫,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전통문화』 42호, 2017. 5.]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4차_산업혁명_시대의_인문학  金炫,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전통문화』 42호, 2017. 5.]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 [http://dhlab.aks.ac.kr/Edu/wiki/index.php?title=인문정보학_튜토리얼 인문정보학 튜토리얼]
 

2019년 12월 17일 (화) 08:19 기준 최신판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2019년 2학기 종강 총회 2019. 12. 17, 명진관 121호

Jpc2019.jpg

디지털 인문학 - 데이터 시대의 인문학 교육

DHLecture2019Dec17QR.png

인공지능의 시대, 미래 인문학의 과제

디지털 큐레이션과 인문지식 콘텐츠

디지털 큐레이션이란?

DigitalCuration.jpg

  • 박물관의 큐레이터가 전시를 위해 유물 하나 하나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지식 정보를 찾아내고,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아 그 유물의 문화적 가치를 설명하는 이야기를 만들듯이,
  • 디지털 인문학의 연구자와 학생들은 디지털 세계에서 유의미한 지식의 조각을 탐색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 대상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가상 박물관 디지털 큐레이션(예시)

인문지식 데이터의 소통과 확장: 스몰 데이터에서 빅 데이터로(예시)

의미를 담은 작은 데이터

문화유산 해설문 네트워크 그래프
청주 송상현 묘소 및 신도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여산송씨 정려각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충렬사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신항서원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청주 신항서원 묘정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보물 동래부순절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보물 부산진순절도 문화재 안내판 설명문 Network Graph

데이터의 연결 ⇒ 지식의 확장 ⇒ 새로운 지식의 발견



데이터로 이야기하는 나의 인문학

‘연가’와 ‘Pokarekare Ana’

디지털 인문학 교육 교과목 예시

디지털 인문학 교육 실습을 위한 Open-source curriculum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