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Tuto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igerat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김용수 교수의 발표(디지털 인문학 학부 교육 사례 - 한림대학교 디지털 인문예술 전공)에 관한 토론 참고 자료== 1. 문화콘텐츠 vs 디지...)
 
(워크숍 참여자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1/CulturalInformatics_6-1-3.pdf 인문 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2003. 6. 『인문콘텐츠』 창간호; 인문정보학의 모색』pp. 387~427)]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1/CulturalInformatics_6-1-3.pdf 인문 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2003. 6. 『인문콘텐츠』 창간호; 인문정보학의 모색』pp. 387~427)]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1/DigitalHumanities_3-2-1.pdf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2015. 8.「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국제고려학회; 비엔나 『디지털 인문학 입문』 pp. 311~340)]
+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21/DigitalHumanities_3-2-1.pdf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2015. 8.「한국의 디지털 인문학」, 국제고려학회; 『디지털 인문학 입문』 pp. 311~340)]
  
 
2. 한림대학교 '''디지털 인문예술 전공''' 과정 운영
 
2. 한림대학교 '''디지털 인문예술 전공''' 과정 운영
  
 
☞ '''감사'''와 '''격려'''
 
☞ '''감사'''와 '''격려'''
 
  
 
==박정원 교수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박정원 교수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15번째 줄: 14번째 줄:
 
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향후 많은 변화가 예측됩니다. 발표자께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도하는 인문교육의 목표로서 “기존의 인문교육을 디지털 환경에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인문교육이 하지 못하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것.” 이라고 하셨는데 기존 인문교육이 하지 못했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례를 1-2개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향후 많은 변화가 예측됩니다. 발표자께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도하는 인문교육의 목표로서 “기존의 인문교육을 디지털 환경에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인문교육이 하지 못하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것.” 이라고 하셨는데 기존 인문교육이 하지 못했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례를 1-2개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자기주도적인 탐구과 응용, 그것을 통한 자기표현의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우는 것이 재미있는’ 교육'''
 
+
 
2,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구현 예시: 한양도성 타임머신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축 경험에 기반해서 교육적 활용과 대중적 소통 측면에서 가장 큰 장점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점이 무엇인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2,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구현 예시: 한양도성 타임머신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축 경험에 기반해서 교육적 활용과 대중적 소통 측면에서 가장 큰 장점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점이 무엇인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나의 관심사를 보다 넓은 문맥 속에서 이해하고 지식 심화의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기회. / 입문적 호기심 ⇔ 전문지식 사이의 소통<br/>
 +
☞ '''디지털 큐레이션의 결과에 대한 반성과 보완,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성'''
  
 
3. 발표자께서 주장하시는 “미래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정책 실현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발표자께서 진단하고 계시는 기존 대학에서의 인문융합 교육의 한계와 이를 개선하기 새로운 대안 모색에 대한 정책적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3. 발표자께서 주장하시는 “미래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정책 실현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발표자께서 진단하고 계시는 기존 대학에서의 인문융합 교육의 한계와 이를 개선하기 새로운 대안 모색에 대한 정책적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 '''인내'''와 '''관용'''
  
 
==워크숍 참여자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워크숍 참여자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28번째 줄: 29번째 줄:
 
1. 조세근(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1학년)-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인문학 전공자에게도 코딩에 대한 접근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인문학도 코딩교육의 현재 수준과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설명 듣고싶습니다.
 
1. 조세근(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1학년)-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인문학 전공자에게도 코딩에 대한 접근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인문학도 코딩교육의 현재 수준과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설명 듣고싶습니다.
  
+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 교육: 데이터의 인코딩(인문지식에 대한 이해 / 그 지식을 디지털 세계로) +  프로세스의 인코딩(그 지식의 응용 / 확산)'''
  
 
2. 조현철(문헌정보학과1학년)- 현재 한국학 중앙연구원에서 딥러닝과 연관한 디지털 인문학 연구 진행또는 성과를 알고 싶습니다. 두번째로, 현재까지 논문 게재된 결과들이 대부분 감성 사전에만 집중되어 있는데 이를 벗어나서 자동 번역에도 도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여쭙고 싶습니다.
 
2. 조현철(문헌정보학과1학년)- 현재 한국학 중앙연구원에서 딥러닝과 연관한 디지털 인문학 연구 진행또는 성과를 알고 싶습니다. 두번째로, 현재까지 논문 게재된 결과들이 대부분 감성 사전에만 집중되어 있는데 이를 벗어나서 자동 번역에도 도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여쭙고 싶습니다.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2019_문화재명칭_영문_표기 '''문화유산 용어 시맨틱 데이터 편찬 예시'''] .... 문화유산 해설문 기계번역 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
  
 
3. 김지영(문헌정보학과1학년)- 코로나 19로 인해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보시는지요? 코로나19 이후에 보다 인문학을 포함한 많은 자료가 디지털화되고 온라인으로 공유되고 있으나, 양적인 확장만큼 질적으로 우수한 컨텐츠가 늘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기술적 능력까지 겸비한다면, 현재의 상황이 배우고 나누려는 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3. 김지영(문헌정보학과1학년)- 코로나 19로 인해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보시는지요? 코로나19 이후에 보다 인문학을 포함한 많은 자료가 디지털화되고 온라인으로 공유되고 있으나, 양적인 확장만큼 질적으로 우수한 컨텐츠가 늘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기술적 능력까지 겸비한다면, 현재의 상황이 배우고 나누려는 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인문학 자료 전산화''': 정보처리 기술을 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인문학 연구자와 교육자, 피교육자들을 위해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br/>
 +
☞ '''디지털 인문학''': 인문학 연구자와 교사, 학생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연구와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것.

2021년 1월 28일 (목) 11:43 기준 최신판

김용수 교수의 발표(디지털 인문학 학부 교육 사례 - 한림대학교 디지털 인문예술 전공)에 관한 토론 참고 자료

1. 문화콘텐츠 vs 디지털 인문학

2. 한림대학교 디지털 인문예술 전공 과정 운영

감사격려

박정원 교수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고 또 향후 많은 변화가 예측됩니다. 발표자께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환경에서의 시도하는 인문교육의 목표로서 “기존의 인문교육을 디지털 환경에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인문교육이 하지 못하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것.” 이라고 하셨는데 기존 인문교육이 하지 못했던 것을 디지털 세계에서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례를 1-2개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기주도적인 탐구과 응용, 그것을 통한 자기표현의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우는 것이 재미있는’ 교육

2, “디지털 큐레이션에 의한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구현 예시: 한양도성 타임머신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의 구축 경험에 기반해서 교육적 활용과 대중적 소통 측면에서 가장 큰 장점과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점이 무엇인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나의 관심사를 보다 넓은 문맥 속에서 이해하고 지식 심화의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기회. / 입문적 호기심 ⇔ 전문지식 사이의 소통
디지털 큐레이션의 결과에 대한 반성과 보완,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성

3. 발표자께서 주장하시는 “미래 인문학을 위한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식의 전환과 정책 실현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발표자께서 진단하고 계시는 기존 대학에서의 인문융합 교육의 한계와 이를 개선하기 새로운 대안 모색에 대한 정책적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인내관용

워크숍 참여자의 질의에 관한 답변 참고 자료

1. 조세근(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1학년)- 인문학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인문학 전공자에게도 코딩에 대한 접근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인문학도 코딩교육의 현재 수준과 미래 발전방향에 대한 설명 듣고싶습니다.

인문학도를 위한 코딩 교육: 데이터의 인코딩(인문지식에 대한 이해 / 그 지식을 디지털 세계로) + 프로세스의 인코딩(그 지식의 응용 / 확산)

2. 조현철(문헌정보학과1학년)- 현재 한국학 중앙연구원에서 딥러닝과 연관한 디지털 인문학 연구 진행또는 성과를 알고 싶습니다. 두번째로, 현재까지 논문 게재된 결과들이 대부분 감성 사전에만 집중되어 있는데 이를 벗어나서 자동 번역에도 도입이 가능한지 여부를 여쭙고 싶습니다.

문화유산 용어 시맨틱 데이터 편찬 예시 .... 문화유산 해설문 기계번역 지원 시스템 개발 연구

3. 김지영(문헌정보학과1학년)- 코로나 19로 인해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보시는지요? 코로나19 이후에 보다 인문학을 포함한 많은 자료가 디지털화되고 온라인으로 공유되고 있으나, 양적인 확장만큼 질적으로 우수한 컨텐츠가 늘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입니다. 한편으로는 인문학적 소양과 함께 기술적 능력까지 겸비한다면, 현재의 상황이 배우고 나누려는 자에게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인문학 자료 전산화: 정보처리 기술을 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인문학 연구자와 교육자, 피교육자들을 위해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
디지털 인문학: 인문학 연구자와 교사, 학생들이 디지털 환경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연구와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