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개요) |
(→데이터) |
||
26번째 줄: | 26번째 줄: | ||
− | ===온톨로지=== | + | ===온톨로지 클래스 설계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클래스 별 데이터베이스 목록=== | ||
+ | |||
+ | * [http://dh.aks.ac.kr/~sandbox/cgi-bin/asset/NodeData.py?db=s_jun&project=kmp&key=%EC%B2%98%EB%B0%A9 약재 클래스 목록] | ||
{{clickable button | [[지봉유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샘플|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보기]]}} | {{clickable button | [[지봉유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샘플|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보기]]}} | ||
<sub style="color:red">last update : 2020-01-17</sub> | <sub style="color:red">last update : 2020-01-17</sub> | ||
40번째 줄: | 56번째 줄: | ||
* 총서의 경우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 * 총서의 경우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래프 노드 모양 안내==== | ====그래프 노드 모양 안내==== |
2020년 12월 20일 (일) 00:43 판
목차
개요
본 페이지는 학위논문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을 중심으로'을 통해 제시한 새로운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새로운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 모델은 의안(醫案)이라는 임상 사례를 담은 한의학 자료를 통해 기존의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의학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폭을 확장하고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관계
질병과 처방, 치료효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해당 아카이브는 비단 의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한의학 지식에 적용 가능한 모델이며 네트워크 그래프를 활용해 이용자들에게 가시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위 논문
원문 및 번역문 텍스트
참조 및 인용한 한의학 데이터버이스 목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시맨틱검색
경희대학교 산하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장 생약 up-to-date
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탈
데이터
- 논문을 작성하면서 만든 데이터를 공유합니다.
- 학술적 목적 하에 누구나 이용가능 합니다.
- last update : 2020-02-19, 수정중
온톨로지 클래스 설계표
클래스 별 데이터베이스 목록
last update : 2020-01-17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last update : 2020-01-19
- 각 페이지에 예시와 전체 리스트가 있습니다.
- 번역문의 경우는 저작권 상의 문제로 업로드 하지 않았습니다.
- 총서의 경우는 데이터가 없습니다
그래프 노드 모양 안내
class | section | topic | remarks | quotation | source | text | book | chapter | person | work | crowd |
---|---|---|---|---|---|---|---|---|---|---|---|
name | 부 | 주제 | 논평 | 인용 | 출처 | 인용문 | 문헌 | 편 | 인물 | 작품 | 세설 |
shape | box | ☆ | text | box | △ | text | □ | □ | ○ | □ | ○ |
color | gray | brown | green | orange | blue | black | red | orange | pink | green | green |
지봉유설을 중심으로 그래프 보기
크게 보기 last update : 2020-01-12 틀:SemanticNetworkJi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