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목차
[숨기기]개요
본 페이지는 석사학위청구논문 '한의학의 처방약재와 치료효과의 지식아카이브 구축연구 -『명의경험록』을 중심으로'를 통해 제시한 새로운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새로운 한의학 지식 아카이브 모델은 의안(醫案)이라는 임상 사례를 담은 한의학 자료를 통해 기존의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한의학 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폭을 확장하고 질병과 처방, 치료효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종합적인 한의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모델은 비단 의안 자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한의학 자료에 적용가능한 모델로 향후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길 희망합니다.
학위 논문
원문 및 번역문 텍스트
참조 및 인용한 데이터베이스 목록
- 국가생약정보 생약정보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시맨틱검색
- 경희대학교 산하 한의약융합연구정보센터 생약 up-to-date
- 특허청 한국전통지식포탈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ubMed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PubChem
데이터
- 논문을 작성하며 만든 데이터입니다.
- 학술적인 목적 하에 누구나 이용 가능합니다.
last update : 2020-12-30
종류 총량 노드 데이터 1,598 링크 데이터 3,650 합계 5,248
온톨로지 클래스 설계표
Class Name 한글 클래스 명칭 설명 Prescription 처방 환 또는 탕과 같이 복용 가능한 형태를 지 칭한다.
Material 재료 약재와 정제 및 조제과정에서 첨가되는 재 료들 지칭한다.
Disease 질병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 신체의 비정 상적인 상태를 지칭한다.
Book 문헌 명의경험록을 지칭한다. Method 방법 개량법, 정제법, 조제법, 복용법을 지칭한 다.
Process 과정 약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선후과정을 지칭 한다.
Ingredient 성분 약재에 내재된 성분을 지칭한다.
클래스 별 노드 데이터 목록
온톨로지 관계성 설계표
Relation Domain(A) Range(B) 설명 dcterms:hasPart 과정 과정 B는 A의 일부이다 edm:isNextsequence 과정 과정 A는 순서상 B 다음이다 edm:isRelatedTo 방법 과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ekc:isMentionedIn 처방 문헌 A는 B에 언급되었다 kmp:isIndexIngredient 성분 재료 A는 B의 지표성분이다 kmp:isActiveIngredient 성분 재료 A는 B의 유효성분이다 kmp:isAddedTo 재료 과정 A는 B에 첨가된다 kmp:hasEffectTo 처방, 성분 질병 A는 B에 효과가 있다 kmp:hasMethod 처방 과정 A의 제조법은 B이다
『명의경험록』을 중심으로 그래프 보기
- 예시: 창졸산(倉卒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