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W23KU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별과제: 연구 기획


연구 배경과 목적

대한민국은 점점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사실 처음에는 저출산 문제 해결방안 쪽으로 연구방향을 잡아볼까 했는데 너무 뜬구름 잡는 이야기가 될 거 같다는 생각에 주제를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문제 해결방안 쪽으로 생각해 보았다. 점점 노인인구가 증가할 것이고 이것을 해결하거나 혹은 노인들에게 더 좋은 삶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까?를 고민하던 도중 그렇다면 노인들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이 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보게 되었다. 노인들의 사망 원인은 질병이 가장 큰 원인이 된다. 그렇다면 매번 아플 때마다 찾을 수 있는 병원이나 노인의료 시설의 중요성을 고민하게 되었고, “서울의 인구 대비 병원이나 노인의료 시설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여 어느 구(또는 동)에 얼마나 많은 시설들이 필요할까?”를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연구 대상과 자료

서울특별시_사망원인별 사망(성별/구별) 통계

서울특별시_인구밀도(구별) 통계

서울특별시_의료기관 (구별),(동별) 통계

국토교통부_노인복지시설

등의 자료를 활용하면 시각화 및 분석이 용이할것으로 예상



정의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다산초당 앞뜰에 서서 사색하는 모습을 담은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

내용

작품의 소재는 정약용(丁若鏞, 1762~1836)으로, 해당 작품에서 다산초당(茶山草堂) 왼쪽에 서있는 ⑤ 다산(茶山)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신유박해로 인해 전남 강진(康津)에 유배된 다산은 1808년에서 1818년까지 십여년간 다산초당에서 머물며, 제자들을 가르쳤다.[1] 또 목민심서(牧民心書)[2],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 등 500여권의 저서를 이곳에서 집필하였다.

각주

  1. 이동 양반 18명, 중인 6명.
  2. 이동 목민심서에 관해서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민심서 항목을 참조할것

참고문헌

정민, 『삶을 바꾼 만남(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2011년.

인사말

안녕하세요 정진욱입니다 한 학기동안 같이 공부하며 즐겁게 보내고싶습니다. 맡은 내용은 기한내에 잘 끝낼 수 있습니다

기본정보

통계학과 20학번 현재 3학년입니다.

통계학과이다보니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시각화하거나 가설 설정 및 검정을 할수있고,

현재 데이터분석에 관심이 있어 여러가지 공부중입니다.(전처리,머신러닝)

R,PYTHON을 어느정도 다룰 수 있습니다.

상세정보

관심과 취미

  • 운동
    • 헬스를 시작한지 반년된 헬린이입니다.
  • 웹툰,웹소설 보기
  • 한국영화,드라마보기
  • 롤토체스 하기

함께하는 분들

이름 관계 첫 만남
강현민 옆학우 데이터인문학강의실
노하윤 앞학우 데이터인문학강의실
정진현 앞앞학우 데이터인문학강의실

나누고픈 순간

기억하는 공간

좋아하는 영상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