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JE24KU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키명함
반갑습니다!
-
이름 정지은
영문명 Jeong Jieun
소속 고려대학교
전공 경영학과
이메일 jje3161@naver.com


인사말

안녕하세요
저는 정지은입니다
경영학과 3학년 학생이고
말티즈 두리를 키우고 있어요

상세정보

덕질하는 것들

  • 클라이밍
  • 드라마
    • 엄마친구아들
  • 게임
    • 쿠키런 킹덤
  • 쇼핑

함께하는 분들

독강입니다.
이름 관계 첫 만남
정지은 2003년

나누고픈 순간

성인이 되고 처음 간 강릉 여행에서 본 바다

잊지못할 구절

Quote-left.png

기대를 하지 않으려 애쓰지 마세요. 당신의 기대는 한 번도 죄였던 적이 없습니다. 당신은 그냥 순수하게 기대했던 것뿐이고 당신의 기대가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은 아무 이유 없이 운 좋게 성취될 때도 있고 그저 아무 이유 없이 무너질 때도 있습니다.
(...)
기대하세요. 내일의 날씨, 이따가의 점심메뉴, 오랜만의 시내 외출, 개봉할 영화와 새로운 드라마. (...) 우리의 취미는 '기대하는 것'. 백 번을 실망한대도.

Quote-right.png
출처: 허지원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1]


  1. 이동 매일이 기대되는 일상을 살아가는 힘을 준 말이다.

좋아하는 영상

자주가는 장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네트워크 그래프


연구 기획

연구 배경과 목적

브랜드의 광고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나이키의 ‘Just Do It’ 광고는 도전과 극복의 가치를 강조하고, 코카콜라의 ‘Share a Coke’ 광고는 사람들 간의 유대감을 강조하는 등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애플의 역대 영상 광고를 분석하면서 애플의 브랜드 이미지 형성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소비자 요구 및 사회적 흐름을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애플의 광고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그 역사적 깊이가 깊고, 소비자 주목도가 높으며, 타 브랜드와 구분되는 아이덴티티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애플이 어떻게 사회적 담론에 기여하고 소비자와의 관계를 형성하는지, 나아가 영상 광고와 시대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사이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과 자료

본 연구에서는 애플의 주요 제품 광고 영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영상 자료는 주로 유튜브를 통해 수집할 예정이며, 최신 광고의 경우 애플 공식 웹사이트나 관련 광고 아카이브를 참조한다. 수백 개의 애플 광고를 모두 조사하기보다는, 애플의 기업 히스토리 중에서 역사적 의미가 있는 광고를 선별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984년 매킨토시 광고를 시작으로 하여, 1992년 PowerBook DUO, 1998년 iMac G3, 2007년 MacBook Air 등 광고 영상을 분석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광고 선정은 기준을 마련하여 추후 진행할 계획이다.

텍스트 분석

1. 텍스트 수집
광고 영상을 직접 시청하면서 수작업으로 텍스트를 추출하거나,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이를 기반으로 수집한다.
2. 주제 및 메시지 파악
텍스트에서 주요 키워드를 표시하고, 기술 혁신, 사회적 메시지, 감정적 요소 등으로 카테고리화한다. 특히 사회적 메시지의 경우, 환경 문제, 다양성, 포용성과 같은 구체적인 주제까지 나누어 분석한다. 각 카테고리에서 나타나는 비율을 파악하여 광고가 중점을 두고 있는 메시지를 분석한다.
3. 플롯 분석
선행 연구(TV 광고에서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내러티브의 의미생성 연구 - 박카스, 초코파이, 핫 초코미떼, 구몬학습 광고를 중심으로-)의 방법을 차용하여, 광고 영상의 줄거리를 그레마스 행위자 모델 및 기호사각형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광고의 주체와 서사적 행위 간의 연결성을 조사할 수 있다.

브랜드 분석

1. 제품 분석
광고에 나타난 제품의 명칭, 종류, 특성 및 기능, 판매 데이터 등을 수집한다. 이후 광고 키워드의 카테고리와 연결성이 있는지 조사한다.
2. 플롯 분석의 행위자 모델 및 기호사각형을 정성적으로 들여다보며 어떠한 방식으로 광고가 의미를 생성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시대별 분석

1. 시대별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파악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로 나누어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배경과 소비 패턴을 정리한다.
2. 키워드 분석과의 연결
시대별로 광고의 각 카테고리에서 키워드 수를 분석하여 어떤 주제가 많이 언급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해 광고 메시지가 어떤 방향으로 변화했는지, 소비자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알 수 있다. 나아가, 키워드 등장 시기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여 광고 메시지가 시대별로 어떻게 적응했는지 알 수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