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무령왕 금제 뒤꽂이

KHS DH wiki

이동주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19일 (화) 23:46 판 (새 문서: {{명함:물품 |사진=금뒤꽂이-왕.jpg |한글=무령왕 금제 뒤꽂이 |한자=武寧王 金製 釵 |영어=Gold Hairpin of King Muryeong |이칭=금뒤꽂이(왕) |제작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무령왕 금제 뒤꽂이
(武寧王 金製 釵)
금뒤꽂이-왕.jpg
한글 무령왕 금제 뒤꽂이
한자 武寧王 金製 釵
영어 Gold Hairpin of King Muryeong
이칭 금뒤꽂이(왕)
시대 백제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유형 장신구
크기 길이 18.4㎝, 상단 폭 6.8㎝
국가유산 종목 국보
국가유산 지정일 1974.07.09




정의

금제 뒤꽂이(武寧王 金製釵)는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다.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74년 7월 9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59호로 지정되었다.


내용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금으로 만든 뒤꽂이 일종의 머리 장신구이다. 무령왕릉 나무널(목관) 안 왕의 머리에서 발견되었으며, 길이는 18.4cm, 상단의 폭은 6.8cm이다.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역삼각형 모양이며, 밑은 세가닥의 핀 모양을 이루고 있어 머리에 꽂았던 것으로 보인다. 역삼각형의 윗부분은 새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고, 3가닥으로 갈라진 꽂이 부분은 긴 꼬리처럼 되어 있어 마치 날고 있는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 양 날개쪽 좌우에는 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찍었고, 그 아래는 서로 대칭으로 덩굴무늬를 빈틈없이 메꿔 놓았다. 새의 머리와 날개 부분의 테두리는 끌 끝으로 찍은 작은 점들이 열지어 있다. 여기서 사용된 문양은 모두 뒤에서 두들겨 솟아 나오게 한 타출법(打出法)을 사용하였고 ,세부 표현에는 선으로 새기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왕의 머리부분에서 발견되었고, 끝이 3개로 갈라진 점으로 보아 의례 때 쓰인 머리 장식품으로 보인다.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무령왕_금제_뒤꽂이 유물 무령왕_금제_뒤꽂이

공간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4657682 127.112444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각자료

갤러리

참고문헌

  1. "무령왕 금제 뒤꽂이",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위키백과 무령왕 금제 뒤꽂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