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이수현 연구 기획
KHS DH wiki
목차
주제: 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기획의도
백제시대 공예품을 살펴보면 백제인들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당시 공예 기술의 우수성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제금동대향로에 새겨진 다양한 도상을 통해 백제인들이 꿈꾼 이상적인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제작 당시 수은 아말감 기법을 활용하여 제작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더 나아가 현재 해당 공예 기술 관련 무형유산과 접목하여 살펴보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무형유산 분야에서 보다 넓은 시야로 백제시대 공예품을 접하기 위해 백제시대 주요 공예품과 현재 전승되고 있는 공예 분야 무형유산과 연결 짓는 시도를 해보고자 한다.
내용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주요 유물, 공예품의 재질과 특징을 살펴본 뒤, 어떤 공예 기술을 사용해 제작하였는지, 더 나아가 그 공예 기술은 현재 어떤 무형유산 장인이 전승하고 있는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관계망을 구축하고자 한다.
대상 자원
유물
무형유산
Class
- 유물(공예품)
- 시대
- 출토지
- 재질
- 문양
- 용도
- 소장처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종교
- 공예기술
Relation
- A의_소장처는_B다
- A는_B에_위치한다
-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A는_B의_부분이다
- A는_B와_관계가_있다
- A는_B로_지정되다
- A는_B에_쓰인다
- A는_B로_만들었다
- A는_B문양이_있다
Nodes
- 백제금동대향로
- 백제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 금속
-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국립부여박물관
- 봉황문
- 의례생활
- 박산향로
- 도교
- 불교
-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 국보_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보물_백제_무늬벽돌
- 보물_부여_석조
- 국가무형유산_금박장
- 국가무형유산_두석장
- 국가무형유산_유기장
- 국가무형유산_금속활자장
- 국가무형유산_석장
- 국가무형유산_제와장
- 국가무형유산_사기장
- 금박장
- 두석장
- 유기장
- 금속활자장
- 석장
- 제와장
- 사기장
- 석재
-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부여군_규암면_규암리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부여군_규암면_신리
- 청동제_사리함
- 은제_사리호
- 금제_사리병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
- 유리
- 백제_무늬벽돌
- 부여_외리_절터
- 흙
- 건축부재
- 산수문
- 귀신문
- 연꽃문
- 부여군_부여읍_관북리_추정왕궁터
연구 데이터
Nodes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infoUrl | iconUrl | note |
---|---|---|---|---|---|---|---|
백제금동대향로 | 유물(공예품) | 백제금동대향로 | https://buyeo.museum.go.kr/rprsPsn/view.do?rprsPsnCmdtyMngSn=2001010001&key=2302150017 | 이수현 | |||
백제 | 시대 | 백제 | 이수현 |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 출토지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 이수현 | ||||
금속 | 재질 | 금속 | 이수현 |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유물(공예품)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https://buyeo.museum.go.kr/rprsPsn/view.do?rprsPsnCmdtyMngSn=2001010002&key=2302150017 | 이수현 | |||
국립부여박물관 | 소장처 | 국립부여박물관 | https://buyeo.museum.go.kr | 이수현 | |||
봉황문 | 문양 | 봉황문 | 이수현 | ||||
의례생활 | 용도 | 의례생활 | 이수현 | ||||
박산향로 | 유물(공예품) | 박산향로 | 이수현 | ||||
도교 | 종교 | 도교 | 이수현 | ||||
불교 | 종교 | 불교 | 이수현 | ||||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 이수현 | ||||
국보_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보_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 이수현 | ||||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이수현 | ||||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이수현 | ||||
보물_백제_무늬벽돌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보물_백제_무늬벽돌 | 이수현 | ||||
보물_부여_석조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보물_부여_석조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금박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금박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두석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두석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유기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유기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금속활자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금속활자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석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석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제와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제와장 | 이수현 | ||||
국가무형유산_사기장 | 국가유산/무형유산/보물 | 국가무형유산_사기장 | 이수현 | ||||
금박장 | 공예기술 | 금박장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8%88%EB%B0%95&searchCondition2=&ccbaKdcd=17&ccbaAsno=01190000&ccbaCtcd=11&ccbaCpno=127310119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17 | 이수현 | |||
두석장 | 공예기술 | 두석장 | 이수현 | ||||
유기장 | 공예기술 | 유기장 | 이수현 | ||||
금속활자장 | 공예기술 | 금속활자장 | 이수현 | ||||
석장 | 공예기술 | 석장 | 이수현 | ||||
제와장 | 공예기술 | 제와장 | 이수현 | ||||
사기장 | 공예기술 | 사기장 | 이수현 | ||||
석재 | 재질 | 석재 | 이수현 | ||||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유물(공예품) |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 이수현 | ||||
부여군_규암면_규암리 | 출토지 | 부여군_규암면_규암리 | 이수현 |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유물(공예품)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이수현 | ||||
부여군_규암면_신리 | 출토지 | 부여군_규암면_신리 | 이수현 | ||||
청동제_사리함 | 유물(공예품) | 청동제_사리함 | 이수현 | ||||
은제_사리호 | 유물(공예품) | 은제_사리호 | 이수현 | ||||
금제_사리병 | 유물(공예품) | 금제_사리병 | 이수현 |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 | 유물(공예품)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공양구 | 이수현 | ||||
유리 | 재질 | 유리 | 이수현 | ||||
백제_무늬벽돌 | 유물(공예품) | 백제_무늬벽돌 | 이수현 | ||||
부여_외리_절터 | 출토지 | 부여_외리_절터 | 이수현 | ||||
흙 | 재질 | 흙 | 이수현 | ||||
건축부재 | 용도 | 건축부재 | 이수현 | ||||
산수문 | 문양 | 산수문 | 이수현 | ||||
귀신문 | 문양 | 귀신문 | 이수현 | ||||
연꽃문 | 문양 | 연꽃문 | 이수현 | ||||
부여군_부여읍_관북리_추정왕궁터 | 출토지 | 부여군_부여읍_관북리_추정왕궁터 | 이수현 |
※ 주의: URL에 특수 문자 코드 사용시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콜론(:) 등)
※ 노드의 아이콘 이미지는 컴퓨터 내 폴더에 모아두었다가 zip 파일로 만들어 메일 보내기.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description |
---|---|---|---|
백제금동대향로 | 국립부여박물관 | A의_소장처는_B다 | '백제금동대향로'의 소장처는 '국립부여박물관'이다. |
백제금동대향로 | 백제 | A는_B시대에_만들어졌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백제'시대에 만들어졌다. |
백제금동대향로 | 부여군_부여읍_능산리사지 |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되었다. |
청동제_사리함 |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 A는_B의_부분이다 | '청동제 사리함'은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의 부분이다. |
백제금동대향로 | 박산향로 | A는_B와_관계가_있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박산향로'와 관계가 있다. |
금속 | 금박장 | A는_B와_관계가_있다 | '금속'은 '금박장'과 관계가 있다. |
백제금동대향로 | 국보_백제금동대향로 | A는_B로_지정되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국보 백제금동대향로'로 지정되었다. |
백제금동대향로 | 의례생활 | A는_B에_쓰인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의례생활'에 쓰인다. |
백제금동대향로 | 금속 | A는_B로_만들었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금속'으로 만들었다. |
백제금동대향로 | 봉화문 | A는_B문양이_있다 | '백제금동대향로'는 '봉황문'문양이 있다. |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