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2024-2 디지털유산프로젝트
KHS DH wiki
강좌 개요
- 강좌명 : 디지털유산프로젝트
- 강의실 : 한국전통문화대학교(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C동 통합전산실습실1
- 강의 시간 : 수요일 10:00-13:00
- 담당 강사 : 김현승 (koreandressdhedu@gmail.com)
교육 목표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인문지식을 탐구하고, 이를 디지털 세상에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함께 협업하며 탐구할 수 있는 위키 플랫폼을 통해 각 분야의 인문학 지식 정보 속에서 그 의미적 연관 관계를 추적하여 인문융합 성격의 디지털 콘텐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평가기준
- 총점 : 100점
- 출결 : 10점
- 지각은 -1점. 결석 -2점.
- 수업 시작 후 5분 까지는 제시간으로 출석 인정.
- 질병 또는 개인 사유로 인한 출결은 학교 규정에 의거하여 처리할 예정. 자세한 내용은 조교 선생님에게 문의.
- 실습 : 30점
- 실습은 수업 참여도를 의미함.
- 내용을 완벽하게 수행하지는 않아도 그 과정을 통해 참여도를 파악할 예정.
- 결석자는 해당일의 실습 점수 -1점.
- 기말 : 30점
-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지
- 과제 : 30점
- 자세한 평가기준은 과제 출제시 공지 예정 (ex: 양식 엄수, 정보의 양적 or 질적 평가)
- 토론 : 10점
- 특별점수. 보너스 점수.
- 수업시간에 1회 발언을 할 때마다 1점씩 보너스 점수 부여.
- 매 수업시간마다 1인당 최대 2회, 총 10회 가능.
- 발언 내용은 수업 관련하여 궁금한 점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 대체과제
- 대체과제는 패스/논패스로 처리.
- 제출기한을 넘기면 수업과 마찬가지로 지각 또는 결석으로 처리함.
- 답사(9/11) 미참여자는 1차 대체과제 제출.
- 휴강(9/18, 10/9) 대체과제는 해당일에 공지 예정.
- 1차 대체과제 안내
- 김현·임영상·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 제1편-I.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18쪽)
- 제2편-I. 인문정보학이란 무엇인가? (1~7쪽)
- 제3편-Ⅱ. 디지털 인문학의 한국적 전개 / Ⅱ-1. 한국 디지털 인문학의 성장 배경 (1~25쪽)
- 김지선·장문석·류인태,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6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 2차/3차 대체과제 안내
- 소개하는 영상 2건 + 개인이 뽑은 영상 1건 이상 시청 or 읽고 싶은 논문/단행본 리딩.
- 간략한 소감문과 개인이 뽑은 영상 or 논문/단행본 출처 적어서 제출.
일정
차수 | 날짜 | 교육내용 | 교재/참고자료 |
---|---|---|---|
1 | 2024/09/04 | OT | |
2 | 2024/09/11 | 경주 답사 | |
3 | 2024/09/18 | 휴강(추석 연휴) | |
4 | 2024/09/25 | 콘텐츠 서비스 Platform, 콘텐츠 제작 Framework | |
5 | 2024/10/02 |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대상 자원 탐색 | |
6 | 2024/10/09 | 휴강(한글날) | |
7 | 2024/10/16 | 대상 자원 목록 및 관계성 조사 | |
8 | 2024/10/23 | 아이디어 맵 작성, 검증, 보완 | |
9 | 2024/10/30 | 클래스, 관계성 및 속성 정의 | |
10 | 2024/11/06 | 개체 등록 및 관계성 부여 | |
11 | 2024/11/13 | 온톨로지 설계 기술 응용 | |
12 | 2024/11/20 | 코어 요소 및 문맥 요소 조사 및 제작 | |
13 | 2024/11/27 | 웹 자원의 활용과 공유 | |
14 | 2024/12/04 | 인문지식 데이터베이스 구축 | |
15 | 2024/12/11 | 데이터베이스 적재 데이터의 추출 및 관계망 시각화 | |
16 | 2024/12/18 | 기말 발표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