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Main

KHS DH wiki

Hyunseung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3월 22일 (월) 10:53 판 (복식요소 정리)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에 나타난 복식의 고증과 시각화 연구

조선시대 복식 고증 시각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연구 방법

  • ~7월 말까지
  1. 궁중의례 중 오례(五禮)에 해당하는 반차도(班次圖)와 궁중행사도를 각 하나씩 선별한다.
    1. '2020년 한양도성 타임머신' 사업이 경복궁과 육조거리 등의 재현을 목표로 하는 만큼 궁중의례 선별도 경복궁에서 열린 행사를 위주로 이루어지면 좋겠지만, 현존하는 반차도와 관련한 행사는 주로 이외의 궁에서 행해졌으므로 장소에 대한 제한 없이 '한국 기록유산 Encyves'사업에서 연구된 의궤반차도 자료를 토대로 정리하도록 한다.
    2. 예시1) 가례:등극-고종대례의궤
    3. 예시2) 가례:혼인-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4. 예시3) 빈례-영접도감사제청의궤
    5. 예시4) 군례-대사례의궤
    6. 예시5) 흉례-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2. 의례 참여자들의 복장/복식 및 물품을 목록화 한다.
  • 8월 초
  1. 복식 일러스트와 3D 모델링 제작에 필요한 실물 자료를 모아 정리한다.
  • 일러스트 작업은 Adobe Illustrator CC, Adobe Photoshop CC을 사용한다.

『정해진찬의궤』 복식 고증 및 시각화 연구

  1. 연구배경
  2. 연구목표
  3. 연구방법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복식 고증 및 시각화 연구

  1. 연구배경
  2. 연구목표
  3. 연구방법


2021 한양도성 계획

사건순서 정리

(출처: Encyves wiki)

사건 시간 장소 내용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2일 새벽 환구단(圜丘壇) ① 고종은 백관들과 더불어 에서 환구단에서 '환구고제(圜丘告祭)'를 올리고 황금색 의자에 앉아 국새를 받았다.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2일 경운궁 태극전 ② 경운궁으로 돌아와 태극전에서 백관의 축하를 받고, 왕후 민씨를 황후로, 태자를 황태자로 책봉하였다.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3일 새벽 황후의 빈전 ③ 황제는 황후의 빈전에 가서 제사를 올렸다.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3일 경운궁 태극전 ④ '대한'이라는 국호를 선포하면서 13개의 대사령을 반포했다.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4일 명헌태후(明憲太后)에게 옥보(玉寶)를 전했다.
고종황제즉위식 1897년 10월 14일 황태자비를 책봉하였다.
  • 대한제국의 탄생과정을 정리한 이 의궤는 도감에서 편찬한 것이 아니고 태복사(太僕司) 산하에 보책조성소라는 기구를 설치해 책문과 금보 등을 만들었다. 36면의 채색 반차도가 실려 있는데, 향과 보책을 싣고 가는 가마가 황제를 상징하는 황금색으로 그려져 있는 점이 특징이다.
  • 대한국새, 황제지새, 황제지보, 칙명지보, 제고지보, 시명지보, 명헌태후지보, 황후금책, 황후지보, 황태자금책, 황태자보, 황태자비금책, 황태자비지보, 창벽, 황종, 금절

복장 정리

연대 의궤 반차도 인물 복장 비고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 황제의 대례복-제례
1898 고종대례의궤 고종 황제의_조복
1897 고종대례의궤 명헌태후 황후의 대례복
1897 고종대례의궤 황태자비(민씨) 황태자비의 대례복
1897 고종대례의궤 백관 백관의 제복 4품 이상
1897 고종대례의궤 백관 백관의 조복 4품 이상
1897 고종대례의궤 백관 백관의 상복 5품 이하
1897 고종대례의궤 상궁 길복
1897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황제옥보 내출 예원구단반차도 당서경무관·경무관·순검 경찰복
1897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황후책보 예궐반차도 당서경무관·경무관·순검 경찰복
1897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황제옥보 황태자책보 예궐반차도 당서경무관·경무관·순검 경찰복
1897 고종대례의궤 대례시 명헌태후옥보 황태자비책보 예궐반차도 당서경무관·경무관·순검 경찰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순종 황태자의_대례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순종 황태자의_조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순종 황태자비의_대례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백관 백관의 조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백관 백관의 상복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친영반차도 경무청: 순검
지서: 당서경무관·경무관·총순·순검
경위원: 궁내순검
경찰복
  • 당상, 낭청, 각 차비관 조복
  • 고종대례의궤 반차도는 4건의 내용을 담아 전체 3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차도에는 경찰 제복을 착용한 신분으로 당서경무관·경무관·순검이 등장한다. 행렬의 선두에만 있고, 반차도 4건 모두 동일하다.(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88-89쪽.)
  • 고종대례의궤에는 경찰만 등장. 군인은 등장하지 않는다.(박선희, 앞의 논문(2019), 97쪽.)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반차도에 경찰은 총 105명 등장. 복설 경무청 체제의 본청 소속 순검 18명, 당서경무관 1명·경무관 2명·총순 4명·순검 44명, 경위원 소속의 순검 36명.
    • 위치는
  1. 선두에 순검 4명·당서경무관 1명, 한성부 주사와 부윤 뒤에 경무관 2명,
  2. 선사대의 군부 뒤에 순검 20명·총순 1명,
  3. 봉교와 연의 양쪽으로 내측에 배위궁내순검 각 18명씩 총 36명,
  4. 양쪽 외측에 경무청순검 9명씩 총 18명,
  5. 이어서 총순 2명,
  6. 감조관 뒤로 총순 1명, 순검 20명.
  • 배위궁내순검: 궁내부 산하 경위원 소속 순검. 이들이 쓴 모자의 하반부가 황색·백색·검은색 3종류가 주로 보이며 황색의 신분은 황실을 직접적으로 경호하는 경위원 소속 경찰, 백색은 본청이나 지서 소속의 경찰이다.(이상의 내용은 박선희, 앞의 논문(2019), 89-90쪽.)
  • 모든 의례에는 기본적으로 경무청 또는 경부의 산하기관인 경무5서 가운데 행사를 주관하는 해당 지역의 서에 소속된 당서경무관(서장)·경무관·총순·순검이 배치된다. 배치 순서는 대개 맨 앞의 순검을 시작으로 그 뒤에 당서경무관→순검→경무관으로 이뤄지고, 본대의 순검과 총순이 배치된다.(박선희, 앞의 논문(2019), 97쪽.)

복식요소 정리

no 복식 비고
1 고종대례_경무관_상모(常帽)
2 고종대례_경무관_상의(常衣)
3 고종대례_경무관_바지(袴)
4 고종대례_총순_상모(常帽)
5 고종대례_총순_상의(常衣)
6 고종대례_총순_바지(袴)
7 고종대례_순검_상모(常帽)
8 고종대례_순검_동복상의(冬常衣)
9 고종대례_순검_동복바지(冬袴)
10 순종순정황후가례_경무관_예모(禮帽)
11 순종순정황후가례_총순_예모(禮帽)
12 순종순정황후가례_경무관_예복상의(禮服常衣)
13 순종순정황후가례_총순_예복상의(禮服常衣)
14 순종순정황후가례_경무관_식대(飾帶)
15 순종순정황후가례_경무관_검(刀) 참고유물필요
16 순종순정황후가례_총순_검(刀) 참고유물필요
17 순종순정황후가례_경찰_검대(刀帶) 참고유물필요
18 순종순정황후가례_경찰_장갑
19 순종순정황후가례_순검_상모(常帽)
20 순종순정황후가례_순검_동복상의(冬常衣)
21 순종순정황후가례_순검_동복바지(冬袴)
22 순종순정황후가례_순검_검(刀)
23 순종순정황후가례_순검_상모(常帽)
24 적의-황후
25 적의-황태자비
26 중단-황후
27 중단-황태자비
28 대대후수-황후
29 대대후수-황태자비
30 패옥-황후
31 패옥-황태자비
32 폐슬-황후
33 폐슬-황태자비
34 청석
35 청말
36 규-황후
37 규-황태자비
38 십이류면관
39 십이장복_상의
40 십이장복_하상
41 면복_중단-황제
42 대대후수-황제
43 패옥-황제
44 면복_폐슬-황제
45 규-황제
46 방심곡령-왕실남성
47 방심곡령-백관
48 제복_중단
49 통천관
50 강사포
51 강사포_중단-황제
52 강사포_중단-황태자
53 강사포_하상
54 강사포_폐슬
55 원유관-황태자
56 초록색철릭
57 백색핫과두
58 백색액주름
59 망건
60 목화-왕실
61 목화-백관
62 자초립
63 자적라 겹너울
64 자적필단화온혜
65 흑당피화온혜
66 흑각잠
67 순종순정황후가례_별감_초록두건
68 황의
69 황건
70 황룡포
71 화원삼
  • 고종대례의궤 경찰 제복 참고: 박선희, 위의 논문(2019), 102-105쪽.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경찰 제복 참고: 박선희, 위의 논문(2019), 116-118쪽.
  • 대한제국 적의 참고: 박성실, 「대한제국 황실의 적의제도(1)」, 『古宮文化』 제4호, 국립고궁박물관, 2011; 심연옥, 「대한제국 적의 직물 제직에 대한 고찰」, 『 古宮文化』 제4호, 국립고궁박물관, 2011; 안보연·유지은, 「적의본(翟衣本) 신자료 소개」, 『 古宮文化』 제5호, 국립고궁박물관, 2012.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번역본: 국립고궁박물관, 『국역 황태자가례도감의궤』, 국립고궁박물관, 2015.

의장물 및 물품 정리

no 연대 의궤 절차 의장물/물품/음식
1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비 명성황후 책봉 금보
2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비 금책
3 1897 고종대례의궤 순종비 순명황후 황태자비책봉 금보
4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대례의궤반차도_향정
5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대례의궤반차도_용정
6 1897 고종대례의궤 고종대례의궤반차도_황제옥보요여
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책
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화금당주홍칠 내궤
9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두석 자물쇠
10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한단 열쇠집
11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색 쇄금 겹보자기
12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진사 묶음용 끈
13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화금당주홍칠 외궤
14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당주홍칠 배안상
15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당주홍칠 독책상
16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보
1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보통
1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보록
19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주통
20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주록
21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독보상
22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호갑
23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보안
24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명의대함
25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좌요
26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답요
2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교상
2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렴
29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교의
30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은향원보개
31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우교의
32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33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양산
34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봉기
35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흑봉기
36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칠봉개
3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원산
3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청방산
39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청선
40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홍수방선
41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청수원선
42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절
43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오장
44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립과
45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와과
46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불진
4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금은교의
4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은각답
49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향합
50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제로
51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타호
52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수병
53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책비 관분
54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봉영 금홍촉
55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봉영 황개
56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봉영 향정
57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봉영 용정
58 1906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봉영 황제옥보요여
59 순종황제어차
60 순정효황후어차

상차림 정리

no 분류 비고
1 음식 열구자탕
2 음식
3 음식 증(蒸)
3 음식 만두
4 음식 각색병
5 음식 각색상지병
6 음식 약식
7 음식 만두과
8 음식 다식과
9 음식 방약과
10 음식 각색다식
11 음식 삼색매화연사과
12 음식 사색건정
13 음식 사색감사과
14 음식 사색입모빙사과
15 음식 양색세반요화
16 음식 각색숙실과
17 음식 각색당
18 음식 용안
19 음식 여지
20 음식 각색정과
21 음식 생리
22 음식 생률
23 음식 대조
24 음식 준시
25 음식 유자
26 음식 석류
27 음식 실호도
28 음식 실백자
29 음식 각색절육
30 음식 편육
31 음식 저육
32 음식 족병
33 음식 삼색전유어
34 음식 화양적
35 음식 각색적
36 음식 전복초
37 음식 해삼전
38 음식 전치수
39 음식 수정과
40 음식 침채
41 음식 백청
42 음식 초장
43 음식 개자
44 상화(床花) 대수파련 1지(枝)
45 상화(床花) 중수파련 2지(枝)
46 상화(床花) 각색절화 8지(枝)
47 상화(床花) 목단절화 8지(枝)
48 상화(床花) 삼지화 8지(枝)
49 상화(床花) 홍도건화 8지(枝)
50 상화(床花) 홍도간화 4지(枝)
  • 1906년 12월 11일 순정효황후를 황태자비로 책비하고, 12월 19일 관례를 올렸다. 위의 상차림 내용은 병오년(1906) 순정효황후 관례 발기에 나타나는 상차림이다.(정계숙, 「왕실음식발기에 나타난 연회 상차림의 문헌적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64-67쪽.)

Note

About 위키 소프트웨어

미디어위키가 설치되었습니다.

이곳에서 위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