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2022Kphilo Team5 연구
KHS DH wiki
소개글
<나만의 도설 만들기>
- 연구 목적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철학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해 도설을 활용.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를 중심으로 도설이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 철학을 공부하고, 그 내용을 나만의 도설로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 제작
- 연구 대상
퇴계 이황, 성학십도
교정청, 경모궁의궤
- 연구 방법
성학십도, 그리고 경모궁의궤에 담긴 한국 철학, 문화 내용을 학습한다.
해당 내용이 어떤 규칙에 의거해 도설로 표현되었는지 파악한다.
발견한 규칙 + 학생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방식으로 도설을 제작한다.
온톨로지 설계
===Class===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style="width:20%" |Class || style="width:80%" |Description |- | 인물 || |- | 문헌 || |- | 사건 || |} ===Relation===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white;" ! style="width:30%" |Relation || style="width:10%" |Domain || style="width:10%" |Range || style="width:50%" |Description |- | a || 인물 || 인물 || 에게 상소를 올렸다 |- | b || 인물 || 인물 || 와 논쟁했다 |- | c || 인물 || 문헌 || 를 저술했다 |- | d || 문헌 || 문헌 || 를 포함한다 |} ===Nodes===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word-break:break-all; text-align:left; background:white;" ! style="width:10%;"|id !! style="width:10%;"|class !! style="width:13%;"|label !! style="width:30%;"|infoUrl !! style="width:30%;"|iconUrl !! style="width:7%;" |note |- | 001 || 인물 || 선조 || || || |- | 002 || 인물 || 퇴계이황 || || || |- | 003 || 인물 || 기대승 || || || |- | 004 || 문헌 || 성학십도 || || || |- | 005 || 문헌 || 경모궁의궤 || || || |- | 006 || 문헌 || 백록동규도 || || || |- | 007 || 문헌 || 숙흥야매장도 || || || |- | 008 || 문헌 || 경제잠도 || || || |- | 009 || 문헌 || 심통성정도 || || || |- | 010 || 문헌 || 대학도 || || || |- | 011 || 문헌 || 태극도 || || || |- | 012 || 문헌 || 서명도 || || || |- | 013 || 문헌 || 인설도 || || || |- | 014 || 문헌 || 심학도 || || || |- | 015 || 문헌 || 소학도 || || || |- | 016 || 인물 || 주돈이 || || || |- |} #Links 002 001 a 2 002 004 c 2 002 003 b 2 004 006 d 2 004 007 d 2 004 008 d 2 004 009 d 2 004 010 d 2 004 011 d 2 004 012 d 2 004 013 d 2 004 014 d 2 004 015 d 2 016 011 c 2 #End
Visualization
데이터 초안
네트워크 그래프
연구 후기
박재이
느낀점
느낀점
최권희
느낀점
느낀점
한영헌
느낀점
느낀점
코멘트
이름
느낀점
느낀점
※ "틀:둥근글상자" 양식을 복사해서 코멘트들을 추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