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자연유산캡스톤디자인2-이가연

KHS DH wiki

이가연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3월 26일 (수) 03:33 판 (새 문서: <center><font size="200%">'''사비도성 유적과 그 삶의 이야기를 Archiving 하다'''</font></center> <center><big>'''【국악】''' Knuch:이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사비도성 유적과 그 삶의 이야기를 Archiving 하다
국악 이가연


연구 목적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와 함께 발전한 국악은 접근하기 어려워 관심이 있어도 국악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국악 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국악 아카이브를 통해 국악에는 어떠한 것들이 속해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그것들에 대해 탐구하고 정리해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연구 내용

국립국악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국악이라는 주제를 구체화하였습니다.
"국악기, 민속악, 연희, 무용, 정악, 전수관"으로 총 6가지의 국악의 분류를 중심으로 이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연결하여 아카이브를 구축하였습니다.

국악기는 현악기, 관악기 등의 분류에 따라 어떠한 악기들이 있는지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민속악은 산조, 민요, 판소리 등으로 구분되며 그 다양한 종류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연희는 전통연희와 창작연희로 분류하여 어떠한 차이점들로 분류되는지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무용은 민속무용, 궁중무용으로 구분하여 그 내용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정악은 취타, 종묘제례악 등으로 분류되며 악기, 기록 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전수관은 어느지역에 국악관련 전수관이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연구 방법

1. 연구 주제 선정

국악은 우리나라의 전통예술이지만,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거나 자세히 그 내용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따라서 그 속에 담긴 아름다움과 가치를 사람들에게 알리며 우리의 자랑스러운 국악을 소개하고 싶어 국악을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2. 연구 내용 구체화

국립국악원에서 제공하는 국악사전국악아카이브 등을 통해 국악은 어떻게 분류되고 있는지, 그 속에 담긴 내용들은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습니다. 팀원들이 국악기, 민속악, 연희, 무용, 정악, 전수관의 내용을 나누어 각자 본인이 맡은 분야에 대해 자료를 조사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 아카이브의 형태를 구상하였습니다.

3. Class, Relation, Ontology 구성

Class는 국악, 국악기, 민속악, 연희, 무용, 정악, 전수관 등으로 구분하였습니다. Relation은 "A는 B에 속한다", "A는 B로 연주한다", "A는 B에 참여한다"등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은 어떻게 분류되는지, 분류된 각자의 분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Ontology로 구성하였습니다.

4. Episode 구성

팀원들이 각자 맡아 조사한 Class들을 중에서 본인이 생각했을 때 관심이 있거나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는 주제로 Episode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렇게 정해진 Episode들은 거문고, 제주민요, 종묘제례악, 판소리, 가야금산조, 경기민요, 농악, 처용무 입니다. 이 Episode는 국악에는 무엇이 속하는지, 이들은 무엇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등을 알 수 있는 내용을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