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이동주 연구 기획

KHS DH wiki

이동주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27일 (수) 05:30 판 (Nodes)

주제 : 무령왕릉의 유물들을 통해 살펴본 백제의 문화


기획 배경

무령왕릉의 발굴은 백제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큰 전환점이 되었다.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된 무령왕릉 덕분에 현재 우리는 백제의 왕권 문화와 기술, 대외교류의 수준까지 가늠할 수 있다. 하지만 발굴된 유물들과 다른 요소들(인물, 국가, 기법 및 양식 등) 사이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하기에는 인터넷상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립공주박물관은 웅진백제문화 아카이브를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해당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유물들의 이미지와 설명이 단순한 형태로 열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계망 시각화 작업은 이미지 및 상호관계와 함께 분산된 정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면서 세부적인 탐색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무령왕릉의 역사적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되리라 생각되어 해당 주제를 기획하게 되었다.


내용

  1. 발굴된 유물들 및 관련 요소들의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 유물들의 경우 명칭, 유형 분류(의복, 장신구, 장례용품), 시대, 소장처, 제원, 재질, 관리번호, 발굴 위치, 관련 유물, 내용, 미디어(사진/영상), 참고 문헌 등을 수집한다.
    - 인물, 국가, 기법 및 양식 등은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 키워드나 사료 분석을 통해 내용을 정확하게 조사하고 개체 간 연관성이 있는지 미리 파악한다.
  2. 각 개체의 데이터들을 작성하고 구조화한다.
    - 정제된 위키 문서를 만든다.
    - 가독성 있고, 되도록 구성이 일관되게 작성한다.
  3. 상호 관계가 파악되는 개체들을 연결한 후 관계망을 제작한다.
    - “무령왕(인물)” -(A는 B에 매장되었다)-> “무령왕릉(유적)” -(A에서 B가 출토되었다)-> “발받침(유물)” -(A는 B로 제작되었다)-> “칠기(재질)”
    - “무령왕릉(유적)” -(A에서 B가 출토되었다)-> “묘지석(유물)” -(A는 B를 언급한다)-> “무령왕(인물)”
    - “관 꾸미개(왕)(유물)” -(A는 B와 유사하다)-> “관 꾸미개(왕비)(유물)”


대상 자원

유물

인물

국가


< 예시 - 표 : 유물 카드 형식 (이미지 추가 필요) >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 銀製釧)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면적 1쌍
소 재 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 대 백제시대


< 예시 - 글 : 개체 설명 위키 >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 고리지름 1.1㎝이다. 팔목이 닿는 안쪽에는 톱니 모양을 촘촘히 새겼고, 둥근 바깥면에는 발이 셋 달린 2마리의 용을 새겼다. 팔찌의 외관을 깜싸고 있는 용의 조각은 세밀하지는 않으나 힘이 넘치게 표현되어 있다. 한 개의 팔찌 안쪽에 새긴 명문에 의하면 왕비가 죽기 6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만든 사람의 이름과 무게 등이 기록되어 가치가 높다. 용의 조각이 웅건하면서 만든시기와 작가, 중량까지 기록된 삼국시대의 유일한 팔찌로서 고대 금속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국가유산포털-무령왕비 은팔찌)


기대 효과

  • 각 개체들의 연관성을 통해 백제의 문화교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백제 무령왕릉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기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보존과학과의 관점에서 유물들의 재질과 보존처리 관련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다.
  • 융합고고학과의 관점에서 백제의 매장 문화 및 대외교류와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다.
  • 무형유산학과의 관점에서 공예 기술 및 표현 양식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다.


참고 자료

  1. 국립공주박물관
  2. 디지털공주문화대전

기타 주제


A. 나전칠기의 제작기법에 따른 유물의 관계


B. 관동별곡 장소 관계망

  • 송강가사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에 관한 지식관계망'이 존재하나 시가 속 드러난 장소들을 지도에 표현하여 국어 학습용으로 제작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다.


C. 고궁박물관 관련

  1. 조선시대 생활 문화 지식관계망
  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어보 지식관계망
  3. 궁중음식, 국가제례, 의장, 무구 등의 주제


D. 서화와 인물 간 관계


E. 국가유산청의 조직과 제도 관계


241106 과제 : Class, Relation, Nodes 정의

#Project
무령왕릉 온톨로지 설계

#Class
유물
유적
국가
인물
재질
명문/문양
국가유산지정종목
소장처

#Relation
A는_B와_유사하다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A는_B와의_교류를_암시한다
A는_B의_부장품이다
A는_B의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A는_B로_지정되었다	
A는_B를_위해_조성되었다	
A는_B와_교류하였다
A는_B의_왕이다	
A는_B와_부부관계이다	
A는_B를_구성하는_주재료이다	
A는_B지역에서_다량_출토된다	
A는_B가_원산지이다	
A는_B에서도_유사하게_드러난다	
A는_B의 표면에_나타난다	
A는_B를_기리는_의미이다
A는_B의_종교관을_보여준다	
A는_B의_제작시기를_명시한다	
A는_B가_소지자임을_명시한다	
A는_B에_소장되어_있다	
A는_B를_활용하기_위한_방법을_모색한다	
A는_B를_연구한다	

#Nodes
진묘수	유물	진묘수
지석	유물	지석
금뒤꽂이-왕	유물	금뒤꽂이-왕
관꾸미개-왕	유물	관꾸미개-왕
금귀걸이-왕	유물	금귀걸이-왕
흑옥_금테_목걸이-왕	유물	흑옥_금테_목걸이-왕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왕	유물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왕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왕	유물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왕
청동거울-왕_1_청동신수경	유물	청동신수경
청동거울-왕_2_의자손수대경	유물	의자손수대경
금동신발-왕	유물	금동신발-왕
중국도자	유물	중국도자
발받침-왕	유물	발받침-왕
관꾸미개-왕비	유물	관꾸미개-왕비
금귀걸이-왕비_1	유물	금귀걸이-왕비_1
금귀걸이-왕비_2	유물	금귀걸이-왕비_2
금목걸이-왕비	유물	금목걸이-왕비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왕비	유물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왕비
받침_있는_은잔-왕비	유물	받침_있는_은잔-왕비
청동거울-왕비_수대경	유물	수대경
금동신발-왕비	유물	금동신발-왕비
베개-왕비	유물	베개-왕비
유리옥	유물	유리옥
은어뼈	유물	은어뼈
~士 壬辰年作명_벽돌	유물	‘~士 壬辰年作’명_벽돌
무령왕릉	유적	공주_무령왕릉과_왕릉원
백제	국가	백제
중국-양_남조	국가	중국-양_남조
일본-왜	국가	일본-왜
무령왕	인물	무령왕
무령왕비	인물	무령왕비
석재	재질	석재
금속재	재질	금속재
목재	재질	목재
용	문양	용
봉황	문양	봉황
두꺼비	문양	두꺼비
도깨비	문양	도깨비
신수	문양	신수
연꽃	문양	연꽃
팔메트	문양	팔메트
국보	국가유산지정종목	국보
사적	국가유산지정종목	사적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Links

#End




Ontology 구성 (241120 실습)

Class

class description
유물 과거로부터 전해진 인류의 잔존물로 고고학·역사학·예술·과학·종교·민속·생활 양식 등의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 동산문화유산
유적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인류의 잔존물 중 신전, 고분, 주거지, 거석기념물 등과 같이 형태가 크고 위치를 변경시키기 어려운 구조물. 부동산문화유산
국가 해당 유산과 관련된 과거의 국가
인물 해당 유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
재질 유산을 구성하는 물질과 재료의 성질
형태 전체적인 형상, 문양, 명문의 표현
국가유산지정종목 국가유산의 분류 형식. 본문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로 한정하였으며, 국보·보물·국가무형문화재·사적·명승·천연기념물 및 중요민속자료 등 7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소장처 현재 해당 유산이 소장되어 위치하는 장소 혹은 기관
구조 유산을 구성하는 요소나 배치에 따른 명칭
기법 물품을 제작하고 형태를 표현하는 방식
색상 안료나 염료에 의하거나 부식, 제작기법에 따라 변질되어 나타난 특징적인 색상
사상 생각, 사유, 특정 관념
기록물 문헌, 사진, 도면, 금석문 등 지식 데이터의 원천 자료가 되는 기록물
개념 제작 문화, 제도, 의례, 풍속 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용어와 개념


연구 데이터 (241113 실습)

Nodes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infoUrl iconUrl note
무령왕릉_석수 유물 무령왕릉_석수
무령왕릉_지석 유물 무령왕릉_지석
무령왕_금제_뒤꽂이 유물 무령왕_금제_뒤꽂이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B%92%A4%EA%BD%82%EC%9D%B4
무령왕_금제_관식 유물 무령왕_금제_관식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A%B4%80%EC%8B%9D
무령왕_금귀걸이 유물 무령왕_금귀걸이
흑옥_금테_목걸이 유물 흑옥_금테_목걸이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유물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유물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방격규구신수문경 유물 방격규구신수문경
의자손수대경 유물 의자손수대경
무령왕_금동신발 유물 무령왕_금동신발
중국도자 유물 중국도자
무령왕_발받침 유물 무령왕_발받침
무령왕비_금제_관식 유물 무령왕비_금제_관식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B9%84_%EA%B8%88%EC%A0%9C_%EA%B4%80%EC%8B%9D
무령왕비_금귀걸이 유물 무령왕비_금귀걸이
무령왕비_금목걸이 유물 무령왕비_금목걸이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유물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받침_있는_은잔 유물 받침_있는_은잔
수대경 유물 수대경
무령왕비_금동신발 유물 무령왕비_금동신발
무령왕비_베개 유물 무령왕비_베개
유리옥 유물 유리옥
은어뼈 유물 은어뼈
~士_壬辰年作명_벽돌 유물 ~士_壬辰年作명_벽돌
무령왕릉 유적 무령왕릉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A6%89
백제 국가 백제
양-중국_남조 국가 양-중국_남조
왜-일본 국가 왜-일본
무령왕 인물 무령왕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
무령왕비 인물 무령왕비
석재 재질 석재
금속재 재질 금속재
목재 재질 목재
형태 용문
봉황 형태 봉황문
두꺼비문 형태 두꺼비문
도깨비문 형태 도깨비문
신수문 형태 신수문
연꽃문 형태 연꽃문
팔메트 형태 팔메트
국보 국가유산지정종목 국보
사적 국가유산지정종목 사적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_6호분 유적 송산리_6호분
간쑤성_무위_마취여_한묘_M49 유적 간쑤성_무위_마취여_한묘_M49
독각계_보행형_진묘수 유물 독각계_보행형_진묘수
충칭시_만주대평_M100 유적 충칭시_만주대평_M100
토설형_진묘수 유물 토설형_진묘수
허난성_공의성구_목림공사_서진묘 유적 허난성_공의성구_목림공사_서진묘
갈기가_더해진_진묘수 유물 갈기가_더해진_진묘수
장쑤성_의정화섬공업공사지_93호 유적 장쑤성_의정화섬공업공사지_93호
뿔과_꼬리가_짧아진_진묘수 유물 뿔과_꼬리가_짧아진_진묘수
서산_부장리 유적 서산_부장리
부여_능산리_절터 유적 부여_능산리_절터
부여_왕흥사터 유적 부여_왕흥사터
청동탁잔 개념 청동탁잔
오사카부_다카이다야마_고분 유적 오사카부_다카이다야마_고분
군마현_간논야마_고분 유적 군마현_간논야마_고분
저장성_월주요 유적 저장성_월주요
저장성_덕청요 유적 저장성_덕청요
고구려 국가 고구려
신라 국가 신라
가야 국가 가야
후한-중국 국가 후한-중국
동성왕 인물 동성왕
곤지 인물 곤지
개로왕 인물 개로왕
성왕 인물 성왕
다리 인물 다리
무기질 재질 무기질
유기질 재질 유기질
재질
재질
재질
청동 재질 청동
금동 재질 금동
재질
흑옥 재질 흑옥
유리 재질 유리
도자기 재질 도자기
칠-옻 재질 칠-옻
마직물(저마) 재질 마직물(저마)
아치 형태 아치
오수전문-동전무늬 형태 오수전문-동전무늬
민무늬 형태 민무늬
사격무늬 형태 사격무늬
직사각형 형태 직사각형
쐐기형 형태 쐐기형
물고기무늬 형태 물고기무늬
형태
인동초 줄기 형태 인동초 줄기
화염문 형태 화염문
하트 형태 하트
동물 형태 동물
마름모 형태 마름모
죽절무늬 형태 죽절무늬
벽돌무덤 구조 벽돌무덤
입구 구조 입구
널길-연도 구조 널길-연도
널방-현실 구조 널방-현실
배수구 구조 배수구
벽면 구조 벽면
등감 구조 등감
철오수전 유물 철오수전
금은장식_손칼 유물 금은장식_손칼
청동다리미 유물 청동다리미
금꾸미개 유물 금꾸미개
은꾸미개 유물 은꾸미개
유리동자상 유물 유리동자상
나무문 유물 나무문
금동_테_두른_목기 유물 금동_테_두른_목기
주칠기_조각 유물 주칠기_조각
목관 유물 목관
벽돌 유물 벽돌
도교 사상 도교
불교 사상 불교
흑색 색상 흑색
백색 색상 백색
적색 색상 적색
청녹색 색상 청녹색
누금 기법 누금
음각 기법 음각
양각 기법 양각
점선조 기법 점선조
투조 기법 투조
평직 기법 평직
삼국사기 기록물 삼국사기 old_book.png
삼국유사 기록물 삼국유사 old_book.png
일본서기 기록물 일본서기 old_book.png
백제신찬 기록물 백제신찬 old_book.png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infoUrl iconUrl note
무령왕릉_석수 유물 무령왕릉_석수
무령왕릉_지석 유물 무령왕릉_지석
무령왕_금제_뒤꽂이 유물 무령왕_금제_뒤꽂이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B%92%A4%EA%BD%82%EC%9D%B4
무령왕_금제_관식 유물 무령왕_금제_관식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A%B4%80%EC%8B%9D
무령왕_금귀걸이 유물 무령왕_금귀걸이
흑옥_금테_목걸이 유물 흑옥_금테_목걸이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유물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유물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방격규구신수문경 유물 방격규구신수문경
의자손수대경 유물 의자손수대경
무령왕_금동신발 유물 무령왕_금동신발
중국도자 유물 중국도자
무령왕_발받침 유물 무령왕_발받침
무령왕_베개_잔편 유물 무령왕_베개_잔편
무령왕비_금제_관식 유물 무령왕비_금제_관식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B9%84_%EA%B8%88%EC%A0%9C_%EA%B4%80%EC%8B%9D
무령왕비_금귀걸이 유물 무령왕비_금귀걸이
무령왕비_금목걸이 유물 무령왕비_금목걸이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유물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받침_있는_은잔 유물 받침_있는_은잔
수대경 유물 수대경
무령왕비_금동신발 유물 무령왕비_금동신발
무령왕비_베개 유물 무령왕비_베개
무령왕비_발받침 유물 무령왕비_발받침
유리옥 유물 유리옥
은어뼈 유물 은어뼈
~士_壬辰年作명_벽돌 유물 ~士_壬辰年作명_벽돌
무령왕릉 유적 무령왕릉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A6%89
송산리_6호분 유적 송산리_6호분
간쑤성_무위_마취여_한묘_M49 유적 간쑤성_무위_마취여_한묘_M49
독각계_보행형_진묘수 유물 독각계_보행형_진묘수
충칭시_만주대평_M100 유적 충칭시_만주대평_M100
토설형_진묘수 유물 토설형_진묘수
허난성_공의성구_목림공사_서진묘 유적 허난성_공의성구_목림공사_서진묘
갈기가_더해진_진묘수 유물 갈기가_더해진_진묘수
장쑤성_의정화섬공업공사지_93호 유적 장쑤성_의정화섬공업공사지_93호
뿔과_꼬리가_짧아진_진묘수 유물 뿔과_꼬리가_짧아진_진묘수
서산_부장리_고분군 유적 서산_부장리_고분군
부여_능산리_사지 유적 부여_능산리_사지
부여_왕흥사지 유적 부여_왕흥사지
청동탁잔 개념 청동탁잔
오사카부_다카이다야마_고분 유적 오사카부_다카이다야마_고분
군마현_간논야마_고분 유적 군마현_간논야마_고분
저장성_월주요 유적 저장성_월주요
저장성_덕청요 유적 저장성_덕청요
백제 국가 백제
양-중국_남조 국가 양-중국_남조
왜-일본 국가 왜-일본
고구려 국가 고구려
신라 국가 신라
가야 국가 가야
후한-중국 국가 후한-중국
동남아 국가 동남아
무령왕 인물 무령왕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
무령왕비 인물 무령왕비
동성왕 인물 동성왕
곤지 인물 곤지
개로왕 인물 개로왕
성왕 인물 성왕
다리 인물 다리
석재 재료 석재
목재 재료 목재
재료
재료
재료
청동 재료 청동
금동 재료 금동
재료
흑옥 재료 흑옥
유리 재료 유리
도토기 재료 도토기
칠-옻 재료 칠-옻
직물 재료 직물
마직물(저마) 재료 마직물(저마)
견직물_금 재료 견직물_금
두꺼비문 형태 두꺼비문
도깨비문 형태 도깨비문
신수문 형태 신수문
연화문 형태 연화문
팔메트 형태 팔메트
오수전문-동전무늬 형태 오수전문-동전무늬
민무늬 형태 민무늬
사격무늬 형태 사격무늬
물고기무늬 형태 물고기무늬
인동문(덩굴문) 형태 인동문(덩굴문)
화염문 형태 화염문
형태
봉황 형태 봉황
육각무늬 형태 육각무늬
죽절무늬 형태 죽절무늬
하트_모양 형태 하트_모양
공_모양 형태 공_모양
나뭇잎_모양 형태 나뭇잎_모양
탄환_모양 형태 탄환_모양
펜촉_모양 형태 펜촉_모양
참외_모양 형태 참외_모양
봉_모양 형태 봉_모양
새김눈 형태 새김눈
비늘무늬 형태 비늘무늬
톱니무늬 형태 톱니무늬
귀갑문 형태 귀갑문
신선 형태 신선
원상문 형태 원상문
새끼줄무늬 형태 새끼줄무늬
형태
동자형_천인 형태 동자형_천인
구름무늬 형태 구름무늬
형태
국보 국가유산지정종목 국보
보물 국가유산지정종목 보물
사적 국가유산지정종목 사적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벽돌무덤 구조 벽돌무덤
입구 구조 입구
널길-연도 구조 널길-연도
널방-현실 구조 널방-현실
배수구 구조 배수구
벽면 구조 벽면
등감 구조 등감
철오수전 유물 철오수전
금은장식_손칼 유물 금은장식_손칼
금팔찌 유물 금팔찌
은팔찌 유물 은팔찌
금색_유리식옥 유물 금색_유리식옥
청동다리미 유물 청동다리미
금꾸미개 유물 금꾸미개
은꾸미개 유물 은꾸미개
금구슬 유물 금구슬
은구슬 유물 은구슬
은으로_장식한_창과_창자루 유물 은으로_장식한_창과_창자루
유리동자상 유물 유리동자상
청동잔 유물 청동잔
청동완 유물 청동완
제대 유물 제대
청동숟가락 유물 청동숟가락
청동젓가락 유물 청동젓가락
청동바리 유물 청동바리
청동접시 유물 청동접시
나무문과_문고리 유물 나무문과_문고리
금동_테_두른_목기 유물 금동_테_두른_목기
주칠기_조각 유물 주칠기_조각
목관 유물 목관
무령왕릉_벽돌 유물 무령왕릉_벽돌
도교 개념 도교
불교 개념 불교
서왕모(西王母) 개념 서왕모(西王母)
지신(地神) 개념 지신(地神)
연화화생(蓮華化生) 개념 연화화생(蓮華化生)
길상 개념 길상
누금 기법 누금
음각 기법 음각
양각 기법 양각
점선조 기법 점선조
투조 기법 투조
평직 기법 평직
채색 기법 채색
삼국사기 기록물 삼국사기 old_book.png
삼국유사 기록물 삼국유사 old_book.png
일본서기 기록물 일본서기 old_book.png
백제신찬 기록물 백제신찬 old_book.png
진묘수 개념 진묘수
수호 개념 수호
등잔 유물 등잔
백제_금동대향로 유물 백제_금동대향로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유물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주의: URL에 특수 문자 코드 사용시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 콜론(:) 등)
※ 노드의 아이콘 이미지는 컴퓨터 내 폴더에 모아두었다가 zip 파일로 만들어 메일 보내기.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description
무령왕릉_석수 무령왕릉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석수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무령왕릉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중국도자 중국-양_남조 A는_B와의_교류를_암시한다
무령왕_금제_뒤꽂이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_금제_관식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_금귀걸이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흑옥_금테_목걸이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_금동신발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_발받침 무령왕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비_금제_관식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비_금귀걸이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비_금목걸이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받침_있는_은잔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비_금동신발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무령왕비_베개 무령왕비 A는_B의_부장품이다
방격규구신수문경 무령왕 A는_B의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의자손수대경 무령왕 A는_B의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수대경 무령왕비 A는_B의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석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士_壬辰年作명_벽돌 석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무령왕_금제_뒤꽂이 금속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받침_있는_은잔 금속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무령왕_발받침 목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무령왕비_베개 목재 A는_B(으)로_만들어졌다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용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용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봉황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두꺼비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도깨비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방격규구신수문경 신수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받침_있는_은잔 신수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무령왕비_금제_관식 연꽃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받침_있는_은잔 연꽃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중국도자 연꽃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무령왕비_금제_관식 팔메트 A에는_B이(가)_표현되었다
무령왕릉_석수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릉_지석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_금제_뒤꽂이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_금제_관식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무령왕_금귀걸이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방격규구신수문경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의자손수대경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수대경 국보 A는_B로_지정되었다





241113 과제 : 위키 문서 제작(+241120 과제)

  1. 무령왕릉
  2. 무령왕
  3. 무령왕 금제 관식
  4. 무령왕 금제 뒤꽂이
  5. 무령왕비 금제 관식


241120 실습

이동주e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