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별 연구계획서
KHS DH wiki
연구 주제
조선의 음식 문화와 그 문화 속에 담긴 의미에 대한 철학적·역사적 분석
문제 의식
한국의 음식 문화 속에는 그 기원이 사상적이거나 역사적인 사건이 관련된 경우가 다분하다. 예를 들어, 조선의 궁중 음식인 신선로의 경우 당쟁으로 혼란스러운 현실 정치와 인연을 끊고, 재야로 들어간 조선 전기의 문신 정희량이 가지고 다니던 가운데 구멍이 뚫린 그릇, 즉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수화기제(水火旣濟)의 그릇에서 에서 그 이름이 비롯되었을 정도로 한 음식마다 그 안에 담겨있는 역사적, 철학적 일화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기간을 조선 시대로 한정해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음식 문화를 통한 당대의 철학과 사상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조선의 음식 문화 속에 담긴 이야기 찾아보기
- 사상, 종교 등과 관련하였는지 분석
-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 생성
- 음식 별로 관련된 사건과 사상은 네트워크 그래프로 나타내어 시각화함.
데이터 수집
- 한국고전종합DB와 음식 연구원 홈페이지 등의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조선의 음식 문화와 그 문화 속에 담긴 의미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 현재까지 음식 문화에 담긴 철학들이 이어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설문조사를 시행한다.
위키 사용
- 위에서 연구한 바를 정리하여 위키에 나타낸다.
- 음식 문화와 연관된 사건, 철학을 네트워크 그래프로 나타내어 시각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