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송태림 온톨로지.lst
KHS DH wiki
#Project h1_송태림의_데이터 #Class Time Actor Place Record Concept Clothing Process Object Material Substance Situation #Relation A에 B가 발간되었다 A는 B와 부부이다 A에서 B를 보존처리했다 A는 B에 속한다 A는 B와 관련되었다 A는 B에 위치한다 A로 B를 알 수 있다 A는 B의 보존처리 과정이다 A는 B에서 출토되었다 A는 B의 판단기준이다 A는 B의 검사결과이다 A는 B와 포개져있었다 A는 B의 구성직물이다 A는 B의 부분이다 A는 B에서 나타난다 A는 B에 사용된 도구이다 A는 B단계에 지운다 A는 B를 예방하기 위한 도구이다 A는 B로 고친다 A는 B가 살았던 시대이다 A는 B이다 A는 B의 제작기법이다 A는 B의 일부분이다 A는 B에 사용된 기법이다 #Nodes Time Time Time Actor Actor Actor Place Place Place Record Record Record Concept Concept Concept Clothing Clothing Clothing Process Process Process Object Object Object Material Material Material Substance Substance Substance Situation Situation Situation #Links Time Record A에 B가 발간되었다 Actor Actor A는 B와 부부이다 Place Place A에서 B를 보존처리했다 Process Process A는 B에 속한다 Record Record A는 B에 속한다 #End
Class
Class | Description |
---|---|
Year(년도) | 간행물이 발간된 년도, Period나 Time 보다는 범주가 크다 |
Period(기간) | 시대를 나타내는 단어. 조선시대나 n세기를 나타낼 때 사용 |
Cloth(옷) | 출토되어 보존처리 된 옷(복식) |
Object(일반물건) | 간행물, 논문 등 국가유산이 아닌 모든 것들 |
Material(재질) | 각종 재질을 언급할 때 사용 |
Definition(정의) | 생소한 개념 혹은 복식이 언급되었을 때 사용함 |
Process(보존처리과정) | 논문에서 사용된 보존처리 과정 |
Actor(인물) | 역사적인 인물 혹은 집단, 단체, 기관 |
Place(장소) | 역사적 배경, 소장처, 보존처리 장소 |
Feature(특징) | 출토 물품의 특징(제원)을 서술 |
Relation(관계) | 인물-인물, 인물-물건, 물건-물건 간의 모든 관계를 총칭 |
Method(방법) | 논문에서 사용된 보존처리 방법, 보통 보존처리 방법은 Process(보존처리과정)의 하위어로 존재 |
Heritage(복식 외의 유물) | 복식 외에도 묘에서 출토된 유물을 언급할 때 쓰인다 |
Time(짧은시간) | 보존처리 방법을 시행한 시간, Period(기간)보다 범주가 작다 |
Result(결과) | 논문의 결과이다 |
Sub class
Class | groupName |
---|---|
Year(년도) |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
Period(기간) | 시대 |
Cloth(옷) | 복식 |
Object(일반물건) | 학위논문, 학술논문, 단행본 |
Material(재질) | 재질 |
Definition(정의) | 정의 |
Process(보존처리과정) | 복식 보존처리 과정, |
Actor(인물) | 인물 |
Place(장소) | 소장처, 출토지 |
Feature(특징) | 치수, 소재, 두께 |
Relation(관계) | 관계, 부부 |
Method(방법) | 보존처리 방법 |
Heritage(복식 외의 유물) | 유물 |
Time(짧은시간) | 실험 시간 |
Result(결과) | 보존처리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