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2024-2:TeamA 기말 발표문

KHS DH wiki

박소연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3일 (금) 23:17 판 (Digital Curation 5 : 국립소록도병원으로의_전환과_인권_회복을_위한_노력(198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4년도 2학기 수업 디지털아카이브


소록도 100년사
 :기억의 보존과 치유를 위한 역사적 재조명
소록소록 남현준, 강민우, 차다빈, 박소연, 윤지우


연구 목적

소록도는 한센병 환자의 강제 격리와 차별의 역사를 간직한 공간으로, 인권과 치유의 상징적 장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섬에 대한 출입이 전면 차단되었고, 자원봉사자들조차 섬을 방문할 수 없었으며, 이러한 통제는 4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다 최근 2024년 2월이 되어서야 소록도는 다시 개방되어 많은 사람들이 섬을 방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소록도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로 보존하고 공유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음을 시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록도 역사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은 소록도의 역사적 유산을 후세에 전하고, 사회적 치유와 공감을 촉진하는 중요한 방안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저희 소록소록팀은 소록도의 100년간 역사를 디지털화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대중에게 소록도의 역사와 관련 유산을 공유하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저희 소록소록팀은 소록도의 100년 간의 역사적 기록, 사진, 영상 등을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소록도의 전반적인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했습니다.
이에 거시적으로는 주요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하되 미시적으로는 역사적 장소, 인물, 유물 등을 노드를 분류하여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교훈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본격적인 작업을 진행하면서 소록도의 역사적 장소는 XML 형식으로 디지털 아카이빙을 진행하고, 역사적 사건들은 시맨틱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해 시대별로 정리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여기에 각 시대별 주요 인물, 단체, 유물 등을 연결하여 세부사항을 보강하는 방법으로 각 사건의 세부 에피소드를 작성하여 최종적으로 연구 과제인 '소록도의 100년사'연구를 완성했습니다.

온톨로지 설계

Knuch2024TeamA Ontology.lst



Class

Class Sub Class Description
지역
장소 의료시설, 교육시설, 공장시설, 공원, 공용시설, 종교시설, 주거숙박시설, 면회장소, 교정시설, 보육시설, 격리장소, 병사지대, 다리, 기념시설
조형물 반석, 기념비, 탑, 비석, 동상
단체 사업회, 재단, 봉사단체, 시공회사, 환자조직, 조직, 지방자치단체, 카톨릭_단체, 자문기구, 의료과, 자원봉사단체
인물 원장, 간호사, 환자, 의사, 목사, 국회의원, 교황, 시인
기록물 시, 보고서, 책, 문서
연혁 사건에 기반한 소록도 역사 연혁
유물
사건
기념일 사건에 기반한 기념일
영화
기관
병명
종교
시기
정책
자료
제도
행사
분류
공연
방송
직업
법률
사업
자문결과
과제
계획
의료시설
의료기기
의료행위
다큐멘터리
자치대_건설부장
별명
한국이름
보육원
국가등록문화유산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sample



연구 데이터

Nodes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note



시맨틱 데이터 기반 디지털 큐레이션




소록도자혜의원 설립과 운영(1916~1932)



소록도자혜의원은 1916년 2월 24일 반포된 「조선총독부령 제7호」에 따라 설립되었다. 전라남도 고흥군 소록도는 한센병(나병) 환자들을 격리 치료하기 위한 나요양소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한센병 환자들에 대한 강제 격리 정책의 일환이었다. 이 시기 조선총독부는 일본 내에서 시행된 나요양소 모델을 조선에 도입해 한센병 환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하려 했다.

소록도자혜의원의 초대 원장은 아리카와 도오루로, 그는 1916년부터 1923년까지 병원을 운영하며 한센병 환자들의 치료와 관리를 담당했다. 그 뒤를 이어 하나이 젠키치가 2대 원장으로 부임(1923~1929)하였으며, 그는 소록도에서의 치료 환경 개선에 기여했다. 그의 공적을 기리는 창덕비가 세워졌다.

소록도의 운영 초기에 기독교 선교사들은 한센병 환자들의 복지와 신앙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타나카 신자부로라는 목사는 소록도 환자들에게 종교적 위안을 제공했으며, 일부 환자들은 이를 통해 신앙을 받아들였다. 또한, 같은 시기 환자였던 미츠이 테루이치는 다른 환자들의 생활을 돕고 협력하며 공동체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9년 조선총독부는 「국립요양소관제」를 도입하며 소록도자혜의원을 비롯한 나요양소들의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이후 1931년에는 한센병 환자들을 지원하고 예방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나예방협회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소록도자혜의원의 기능과 영향력을 더욱 확대시켰다. 3대 원장인 야자와 준이치로(1929~1932)는 병원의 운영을 이어받아 환자 치료와 관리의 체계를 정비했다.

1916년부터 1932년까지 소록도자혜의원은 한센병 환자들의 치료와 격리뿐 아니라, 종교적·사회적 도움을 통해 환자들의 삶을 지원하는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총독부의 강제적 정책과 선교사 및 환자 개인들의 자발적 노력이 결합되어 소록도는 한센병 치료와 관련된 역사의 중요한 장으로 남게 되었다.


Digital Curation 2 : 소록도갱생원과_절대격리체제(1933~1945)




Digital Curation 3 : 주제




국립병원체제의_정비와_관리의_체계화(1960~1981)




Digital Curation 5 : 국립소록도병원으로의_전환과_인권_회복을_위한_노력(1982~)




1982년부터는 국립나병원이 국립소록도병원으로 개편되고, 소록도에 대한 인식과 환자들에 대한 인권 회복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었다. 우선, 1982년부터는 환자가 줄었기에 국립소록도병원의 병동에 변경이 있었다. 크게 양성장애환자병동, 노령장애환자병동, 결핵환자병동, 시각장애인병동으로 나뉘었으며 이 이후에도 환자 감소로 인한 변화가 꾸준하게 발생하였다. 병동의 변화뿐만 아니라 병원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어 신생리 중앙병동이 준공되기도 하였으며 복합문화센터가 생겼다. 또한, 1984년에는 교황 요한바오로 2세가 방문하여 교황님 맞이 준비가 이루어졌다. 교황님 맞이 준비의 일환으로 도로수리와 가로수 단장이 이루어졌으며,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이 제비선창 폐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 소록도의 인식개선과 환자들의 생활 개선에 있어 다양한 봉사 단체가 소록도를 위해 힘썼다. 대표적으로는 서울 한벗회와 대구 창길회가 있었으며 이들이 연합봉사단을 꾸려 소록도를 위해 봉사하였다. 후에 이와 같은 봉사활동의 규모가 커지며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고, 자원봉사자의 집, 원봉사가 평가회 등의 활동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소록도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이름으로 자원봉사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1982년부터는 소록도 전체의 자활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대표적으로 하모니카 합주단, 환자 자치회 운영부터 시작하여 마을 증축 및 시설 개선 사업, 옹벽설치, 안전 난간대 설치 공사 등이 있으며 생활 및 문화 환경 조성을 위해 옹벽 벽화 사업 제주도 문화탐방등의 사업이 진행되었다. 1994년과 2018년에는 개원 80주년기념행사와 100주년 기념 행사가 진행되었다. 8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행사와 함께 생활자료관이 개관되었고, 관련 서적과 기념물들이 제작되었다. 또한, 100주년 당시에는 한센병박물관 개관식과 함께 소록도 100년사가 편찬되는 것부터 시작해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등의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Digital Curation 6 : 주제




Digital Curation 7 : 주제




Digital Curation 8 : 주제




Digital Curation 9 : 주제




Digital Curation 10 : 주제




References

  • 참고자료
  • 참고자료



Comments

Knuch:강민우

내용


Knuch:남현준

내용


Knuch:차다빈

내용


Knuch:박소연

내용


Knuch:윤지우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