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2024 디지털유산프로젝트-이동주

KHS DH wiki

이동주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11일 (수) 10:48 판 (Nodes)

디지털유산프로젝트

무령왕릉 출토 유물을 통해 본 백제 문화

연구 목적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을 통해 당시 백제의 장례, 공예, 외교의 모습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 시각적으로 살펴보기 위함

연구 내용

1. 제대와 은어뼈를 통해 백제의 음식 공헌 문화 살펴보기
2. 금제 관식, 금제 뒤꽂이, 받침 있는 은잔에서 드러난 문양을 통해 불교와 도교의 영향 살펴보기
3. 귀걸이와 칠기에서 드러나는 백제의 금속공예, 칠공예 살펴보기
4. 무덤양식과 진묘수를 통해 알 수 있는 양과의 외교
5. 목관과 금동신발을 통해 알 수 있는 왜와의 외교

연구 방법

- 다양한 문헌 및 자료 조사를 통해 무령왕릉 출토 유물 기반 데이터베이스 마련
- 데이터베이스 축적 후 관계어 설정을 통해 상호작용
- 사람들이 알기 쉽게 스토리 구성

연구 추진 공정표

내용 9월 10월 11월 12월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획 및 주제 선택
개체 탐색, 온톨로지 설계
데이터 수집 및 핵심항목, 문맥항목 선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디지털 큐레이션 제작



연구 결과

온톨로지



Class

Class Sub Class Description
Actor 왕실인물 유산과 관련이 있거나 역사적인 인물. 집단적 행위 주체로서의 단체.
Concept 종교, 국가유산지정종목, 수종 풍속, 제도 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용어와 개념.
Form 건축, 유형, 무늬, 모양, 명문 유산의 형태를 이루는 요소, 표현이나 종류.
Material 무기물, 유기물 유산을 구성하는 재료.
Nation 유산과 관련이 있는 국가. 일정 시대에 영역과 체제를 이루는 집단.
Object 유물 역사와 관련 있거나 한 시대의 문화를 대변하는 물품들. 동산문화유산.
Place 지역, 소장처, 유적 역사적 배경(사건, 인물)과 관련이 있는 장소. 유물의 소장처. 부동산문화유산.
Technic 금속, 섬유, 회화, 조각 재료를 어떠한 형태로 만들거나 장식하는 기술, 기법. 유산의 제작방법과 관련된 것들.



Relation

Relation Domain Range Description sample
A는_B의_왕이다 Actor Nation 백제_무령왕 - 백제
A는_B와_부부관계이다 Actor Actor
A에서_B의_의미를_짐작할_수_있다 Form Concept
A를_통해_B의_제작시기를_알_수_있다 Form Object
A의_종류에는_B로_표현된_것이_있다 Form Object
A는_B가_산지이다 Material Place
A는_B와_교류하였다 Nation Nation
A의_출토품은_B와_비슷하다 Nation Object
A는_B와_도상이_유사하다 Object Object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Object Place
A는_B와의_교류를_암시한다 Object Nation
A는_B의_부장품이다 Object Actor
A는_B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Object Actor
A는_B로_만들었다 Object Material
A는_B로_구성되어있다 Object Material
A는_B로_지정되었다 Object Concept
A는_B지역에서_다량_출토되었다 Object Place
A에는_B_(문양)요소가_표현되었다 Object Form
A는_B와_관계가_있다 Object Concept
A는_B에_소장되어_있다 Object Place
A는_B에_배치(위치)되었다 Object Form
A는_전체적으로_B_(모양)이_두드러진다 Object Form
A는_B로_제작되었다 Object Technic
A는_B의_영향을_받아_재창조되었다 Object Object
A는_B와_형태가_유사하다 Object Object
A의_수종은_B이다 Object Concept
A는_B의_유적이다 Place Nation
A는_B에_속한다 Technic Technic



연구 데이터

Nodes

class count
Actor 2건
Concept 11건
Form 43건
Material 15건
Nation 6건
Object 60건
Place 25건
Technic 25건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Actor | 백제_무령왕(武寧王,_462~563)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 | | Actor | 백제_무령왕비(武寧王妃,_?~526) | | | Concept | 도교 | | | Concept | 불교 | | | Concept | 서왕모(西王母) | | | Concept | 지신(地神) | | | Concept | 연화화생(蓮華化生) | | | Concept | 길상 | | | Concept | 수호 | | | Concept | 국보 | | | Concept | 보물 | | | Concept | 사적 | | | Concept | 금송 | | | Form | 벽돌무덤_양식 | | | Form | 입구 | | | Form | 널길-연도 | | | Form | 널방-현실 | | | Form | 배수구 | | | Form | 벽면 | | | Form | 등감 | | | Form | 진묘수 | | | Form | 청동탁잔 | | | Form | 두꺼비무늬 | | | Form | 도깨비무늬 | | | Form | 신수 | | | Form | 연화문 | | | Form | 팔메트(palmette) | | | Form | 오수전문-동전무늬 | | | Form | 민무늬 | | | Form | 사격문 | | | Form | 물고기 | | | Form | 인동문(덩굴문) | | | Form | 불꽃 | | | Form | 용 | | | Form | 봉황 | | | Form | 육각문 | | | Form | 죽절문 | | | Form | 하트_모양(심엽형) | | | Form | 공_모양 | | | Form | 나뭇잎_모양 | | | Form | 탄환_모양 | | | Form | 펜촉_모양 | | | Form | 참외_모양 | | | Form | 봉_모양 | | | Form | 새김눈 | | | Form | 비늘무늬 | | | Form | 톱니무늬 | | | Form | 귀갑문 | | | Form | 신선 | | | Form | 원상문 | | | Form | 새끼줄무늬 | | | Form | 꽃 | | | Form | 동자형_천인 | | | Form | 구름무늬 | | | Form | 새 | | | Form | 명문 | | | Material | 석재 | | | Material | 목재 | | | Material | 철 | | | Material | 금 | | | Material | 은 | | | Material | 청동 | | | Material | 금동 | | | Material | 옥 | | | Material | 흑옥 | | | Material | 유리 | | | Material | 도토기 | | | Material | 칠-옻 | | | Material | 직물 | | | Material | 마직물 | | | Material | 견직물 | | | Nation | 백제 | | | Nation | 양-중국_남조 | | | Nation | 왜-일본 | | | Nation | 신라 | | | Nation | 가야 | | | Nation | 후한-중국 | | | Object | 무령왕릉_석수 | | | Object | 무령왕릉_지석 | | | Object | 무령왕_금제_뒤꽂이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B%92%A4%EA%BD%82%EC%9D%B4 | | Object | 무령왕_금제_관식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_%EA%B8%88%EC%A0%9C_%EA%B4%80%EC%8B%9D | | Object | 무령왕_금귀걸이 | | | Object | 흑옥_금테_목걸이 | | | Object | 은허리띠와_금은허리띠드리개 | | | Object | 용봉황무늬_고리자루큰칼 | | | Object | 방격규구신수문경 | | | Object | 의자손수대경 | | | Object | 무령왕_금동신발 | | | Object | 중국도자 | | | Object | 무령왕_발받침 | | | Object | 무령왕_베개_잔편 | | | Object | 무령왕비_금제_관식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B9%84_%EA%B8%88%EC%A0%9C_%EA%B4%80%EC%8B%9D | | Object | 무령왕비_금귀걸이 | | | Object | 무령왕비_금목걸이 | | | Object | 글자를_새긴_용무늬_은팔찌 | | | Object | 받침_있는_은잔 | | | Object | 수대경 | | | Object | 무령왕비_금동신발 | | | Object | 무령왕비_베개 | | | Object | 무령왕비_발받침 | | | Object | 유리옥 | | | Object | 은어뼈 | | | Object | ~士_壬辰年作명_벽돌 | | | Object | 독각계_보행형_진묘수 | | | Object | 토설형_진묘수 | | | Object | 갈기가_더해진_진묘수 | | | Object | 뿔과_꼬리가_짧아진_진묘수 | | | Object | 철오수전 | | | Object | 금은장식_손칼 | | | Object | 금팔찌 | | | Object | 은팔찌 | | | Object | 금색_유리식옥 | | | Object | 청동다리미 | | | Object | 금꾸미개 | | | Object | 은꾸미개 | | | Object | 금구슬 | | | Object | 은구슬 | | | Object | 은으로_장식한_창과_창자루 | | | Object | 유리동자상 | | | Object | 청동잔 | | | Object | 청동완 | | | Object | 제대 | | | Object | 청동숟가락 | | | Object | 청동젓가락 | | | Object | 청동바리 | | | Object | 청동접시 | | | Object | 나무문과_문고리 | | | Object | 금동_테_두른_목기 | | | Object | 주칠기_조각 | | | Object | 목관 | | | Object | 무령왕릉_벽돌 | | | Object | 등잔 | | | Object | 백제_금동대향로 | | | Object | 부여_외리_문양전_일괄 | | | Object | 나주_복암리_1호분_탁잔 | | | Object | 고창_봉덕리_1호분_탁잔 | | | Object | 대구_달성_55호분_탁잔 | | | Place | 신라_지역 | | | Place | 가야_지역 | | | Place | 일본_지역 | | | Place | 중국_지역 | | | Place | 동남아_지역 | | | Place | 국립공주박물관 | | | Place | 국립부여박물관 | | | Place | 국립중앙박물관 | | | Place | 무령왕릉 | https://dh.aks.ac.kr/~hyunseung/wiki/index.php/%EB%AC%B4%EB%A0%B9%EC%99%95%EB%A6%89 | | Place | 간쑤성_무위_마취여_한묘_M49 | | | Place | 충칭시_만주대평_M100 | | | Place | 허난성_공의성구_목림공사_서진묘 | | | Place | 장쑤성_의정화섬공업공사지_93호 | | | Place | 서산_부장리_고분군 | | | Place | 부여_능산리_사지 | | | Place | 부여_왕흥사지 | | | Place | 오사카부_다카이다야마_고분 | | | Place | 군마현_간논야마_고분 | | | Place | 저장성_월주요 | | | Place | 저장성_덕청요 | | | Place | 원주_법천리_고분 | | | Place | 경주_방내리_고분 | | | Technic | 주조 | | | Technic | 단조 | | | Technic | 판금 | | | Technic | 타출 | | | Technic | 누금 | | | Technic | 조금 | | | Technic | 선조 | | | Technic | 점선조 | | | Technic | 축조 | | | Technic | 투조 | | | Technic | 땜 | | | Technic | 단접 | | | Technic | 밀랍주조 | | | Technic | 평직 | | | Technic | 채색 | | | Technic | 주칠 | | | Technic | 흑칠 | | | Technic | 상형 | | | Technic | 수은아말도금 | | | Technic | 누비 | | | Technic | 사뜨기 | | | Technic | 고리수 | | | Technic | 사슬수 | | | Technic | 꼰사 | | | Technic | 착색 | | | Place | 공주_수촌리_고분 | | | Place | 나주_신촌리_고분 | | | Place | 고흥_길두리_안동_석곽묘 | | |



Links

Relation count
A는_B_근처에서_발견되었다 8
A는_B가_산지이다 5
A는_B로_구성되어있다 40
A는_B로_만들었다 59
A는_B로_제작되었다 80
A는_B로_지정되었다 20
A는_B에_배치(위치)되었다 17
A는_B에_소장되어_있다 53
A는_B에_속한다 6
A는_B에서_출토되었다 56
A는_B와_관계가_있다 7
A는_B와_교류하였다 4
A는_B와_도상이_유사하다 2
A는_B와_부부관계이다 1
A는_B와_형태가_유사하다 3
A는_B와의_교류를_암시한다 19
A는_B의_부장품이다 20
A는_B의_영향을_받아_재창조되었다 4
A는_B의_왕이다 1
A는_B의_유적이다 12
A는_B지역에서_다량_출토되었다 4
A는_전체적으로_B_(모양)이_두드러진다 23
A를_통해_B의_제작시기를_알_수_있다 3
A에는_B_(문양)요소가_표현되었다 57
A에서_B의_의미를_짐작할_수_있다 7
A의_수종은_B이다 2
A의_종류에는_B로_표현된_것이_있다 4
A의_출토품은_B와_비슷하다 10



Semantic Network Graph




Digital Curation





Timeline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