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박장 김기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 | + | 파일:금박장_김기호.png| 금박장 김기호 보유자<ref>[http://www.kpicaa.co.kr/intangible/masters "국가무형유산기능보유자_금박장_김기호"],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ref> |
− | |||
</gallery> | </gallery> | ||
2024년 11월 20일 (수) 02:45 판
김기호 () |
|
한글 | 김기호 |
---|---|
부(父) | 김덕환 |
내용
국가무형유산 금박장 김기호 보유자는 故김덕환 보유자의 아들이다. 조선시대 철종 재위 때(1856년)부터 1대 김완형, 2대 김원순, 3대 김경용, 4대 김덕환, 5대 김기호로 이어지는 왕실 출신 장인의 명문가로 금박장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통명전은 창경궁에 있던 내전 건물 중에서 가장 잘 남아 있는 건물로 19세기 건축 양식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1]
약력
- 2007년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비 ‘하피’ 복원
- 2008년 이화여자대학교 담임미술관 ‘갖 저고리’ 보수
- 2009년 봉황도, 공작도 장황, Philadelphia Museum of Art
- 2009년 17c ‘이단하 댕기’ 복원
- 2010년 ‘의친왕비 녹원삼’ 재현, 경운박물관
- 2010년 ‘청원군주 노의’ 재현, 국립중앙박물관
- 2011년 ‘태조어진 낙영 장황’ 재현, 한국학 중앙연구소 장서각
- 2014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실습강사
- 2016~2018년 국립무형유산원 실습교육강사
- 2018년 국가무형유산 금박장 보유자로 지정
- 2019년 이구 금박보재현, 덕혜옹주 당의재현, 국립무형유산원
- 2019년 '한국공예의 법고창신'(밀라노) 전시참여. KCDF
데이터(Data)
노드(Node) 정보
id | class | label | infoUrl | iconUrl |
---|---|---|---|---|
금박장_김기호 | 인물 | 금박장_김기호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금박장_김기호 |
시각자료
갤러리
금박장 김기호 보유자[2]
참고문헌
- ↑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국가무형유산기능보유자_금박장_김기호",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