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이아현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주제 2)
1번째 줄: 1번째 줄:
=='''주제 1'''==
+
=='''주제'''==
: '''박물관의 문화상품으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작품들의 고고학적 가치와 보존처리 과정들을 탐구해보기.'''
 
<p> 대표적인 예시로는 백제 금동대향로와 신라 얼굴무늬 수막새 등이 있습니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경우 국립부여박물관의 특화상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신라 얼굴무늬 수막새 역시 국립경주박물관의 특화상품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들을 찾아 그 고고학적 가치와 보존처리 과정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를 만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p>
 
 
 
*참고자료
 
: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li.do?str_bcode=001009006 부여박물관 특화상품]
 
: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li.do?str_bcode=001009002 경주박물관 특화상품]
 
 
 
=='''주제 2'''==
 
 
: ''' 백제 문화유산 관계망만들기. '''
 
: ''' 백제 문화유산 관계망만들기. '''
 
<p>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요 소장품을 중심으로 백제의 역사를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백제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3개의 박물관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백제의 유물을 다루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
 
<p>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요 소장품을 중심으로 백제의 역사를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백제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3개의 박물관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백제의 유물을 다루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
 +
 +
==Visualization==
 +
{{NetworkGraph | title=이아현_연습.lst}}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4년 10월 28일 (월) 09:11 판

주제

백제 문화유산 관계망만들기.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주요 소장품을 중심으로 백제의 역사를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작업을 통해 백제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으며, 3개의 박물관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백제의 유물을 다루는지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isualization


  • 참고자료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