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이동주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67번째 줄: 67번째 줄:
  
  
==''기타 생각했던 주제''==
+
==''기타 주제''==
 
'''A. 나전칠기의 제작기법에 따른 유물의 관계'''<br/>
 
'''A. 나전칠기의 제작기법에 따른 유물의 관계'''<br/>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829 나전칠기 전시도록]<br/>
 
*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829 나전칠기 전시도록]<br/>
93번째 줄: 93번째 줄:
  
 
'''E. 국가유산청의 조직과 제도 관계'''<br/>
 
'''E. 국가유산청의 조직과 제도 관계'''<br/>
 +
 +
 +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이동주]]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이동주]]

2024년 10월 9일 (수) 02:22 판

주제 : 무령왕릉의 유물들을 통해 살펴본 백제의 문화

기획 배경

무령왕릉의 발굴은 백제 역사와 문화를 규명하는 데 큰 전환점이 되었다. 도굴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된 무령왕릉 덕분에 현재 우리는 백제의 왕권 문화와 기술, 대외교류의 수준까지 가늠할 수 있다. 하지만 발굴된 유물들과 다른 요소들(인물, 국가, 기법 및 양식 등) 사이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하기에는 인터넷상에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립공주박물관은 웅진백제문화 아카이브를 제작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해당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유물들의 이미지와 설명이 단순한 형태로 열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계망 시각화 작업은 이미지 및 상호관계와 함께 분산된 정보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면서 세부적인 탐색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무령왕릉의 역사적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되리라 생각되어 해당 주제를 기획하게 되었다.


내용

  1. 발굴된 유물들 및 관련 요소들의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한다.
    - 유물들의 경우 명칭, 유형 분류(의복, 장신구, 장례용품), 시대, 소장처, 제원, 재질, 관리번호, 발굴 위치, 관련 유물, 내용, 미디어(사진/영상), 참고 문헌 등을 수집한다.
    - 인물, 국가, 기법 및 양식 등은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 키워드나 사료 분석을 통해 내용을 정확하게 조사하고 개체 간 연관성이 있는지 미리 파악한다.
  2. 각 개체의 데이터들을 작성하고 구조화한다.
    - 정제된 위키 문서를 만든다.
    - 가독성 있고, 되도록 구성이 일관되게 작성한다.
  3. 상호 관계가 파악되는 개체들을 연결한 후 관계망을 제작한다.
    - “무령왕(인물)” -(A는 B에 매장되었다)-> “무령왕릉(유적)” -(A에서 B가 출토되었다)-> “발받침(유물)” -(A는 B로 제작되었다)-> “칠기(재질)”
    - “무령왕릉(유적)” -(A에서 B가 출토되었다)-> “묘지석(유물)” -(A는 B를 언급한다)-> “무령왕(인물)”
    - “관 꾸미개(왕)(유물)” -(A는 B와 유사하다)-> “관 꾸미개(왕비)(유물)”


대상 자원

유물

인물

국가


< 예시 - 표 : 유물 카드 형식 (이미지 추가 필요) >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 銀製釧)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면적 1쌍
소 재 지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시 대 백제시대


< 예시 - 글 : 개체 설명 위키 >
공주시 무령왕릉 왕비의 나무널(목관)내 왼쪽 팔 부근에서 발견된 한 쌍의 은제 팔찌로, 바깥지름 8㎝, 고리지름 1.1㎝이다. 팔목이 닿는 안쪽에는 톱니 모양을 촘촘히 새겼고, 둥근 바깥면에는 발이 셋 달린 2마리의 용을 새겼다. 팔찌의 외관을 깜싸고 있는 용의 조각은 세밀하지는 않으나 힘이 넘치게 표현되어 있다. 한 개의 팔찌 안쪽에 새긴 명문에 의하면 왕비가 죽기 6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만든 사람의 이름과 무게 등이 기록되어 가치가 높다. 용의 조각이 웅건하면서 만든시기와 작가, 중량까지 기록된 삼국시대의 유일한 팔찌로서 고대 금속공예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국가유산포털-무령왕비 은팔찌)


기대 효과

  • 보존과학과의 관점에서 유물들의 재질과 보존처리 관련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융합고고학과의 관점에서 백제의 매장 문화 및 대외교류와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무형유산학과의 관점에서 공예 기술 및 양식과 관련된 내용들을 살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 자료

  1. 국립공주박물관
  2. 디지털공주문화대전


기타 주제

A. 나전칠기의 제작기법에 따른 유물의 관계


B. 관동별곡 장소 관계망

  • 송강가사
  • '조선중기의 대표적 문인들과 한글시가에 관한 지식관계망'이 존재하나 시가 속 드러난 장소들을 지도에 표현하여 국어 학습용으로 제작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였다.


C. 고궁박물관 관련

    1. 조선시대 생활 문화 지식관계망
    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어보 지식관계망
    3. 궁중음식, 국가제례, 의장, 무구 등의 주제


D. 서화와 인물 간 관계


E. 국가유산청의 조직과 제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