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Knuch 박서은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대상 자원)
1번째 줄: 1번째 줄:
==주제: 시기로 보는 백제의 유산 ==
+
==주제: 백제왕도 정보 시각화 시스템 제작 및 활용==
 +
<p>
 +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
 +
 
 
<br/>
 
<br/>
 
==내용==
 
==내용==
<font color="black">
 
 
<p>
 
<p>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
</p>
 +
<br/>
 +
 
 +
==기대효과==
 +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
 +
 
 
<br/>
 
<br/>
이에 각 시기별 백제의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에게 각 지역 간 관계성에 대해 더욱 세부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
+
 
 +
==대상자원==
 +
<font color="navy">
 +
*백제 한성, 웅진, 사비 시기 고분 및 왕성과 출토 유물
 +
*현재 백제왕도를 주제로 진행되는 축제, 문화 콘텐츠,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정보
 +
*''그 외 백제왕도 관련 자료''
 
</font>
 
</font>
 +
<br/>
  
 
+
==참고자료==
==대상 자원==
 
<font color="black">
 
 
*[https://www.baekje-heritage.or.kr/kr/''백제세계유산센터'']
 
*[https://www.baekje-heritage.or.kr/kr/''백제세계유산센터'']
 
<p>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p>
 
<p>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p>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백제문화유산주'']
+
*[https://www.baekjejugan.com/html/week/''백제문화유산주간'']
<p>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p>
+
<p>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에서 진행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p>
 
 
</font>
 
  
 
<br/>
 
<br/>

2024년 10월 9일 (수) 00:07 판

주제: 백제왕도 정보 시각화 시스템 제작 및 활용

백제의 시기 구분은 도읍을 기준으로 한다. 한성기(서울), 웅진기(공주), 사비기(부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관련한 인물이나 유물, 관련 문화유산들이 각기다른 특징을 나타낸다. 이미 2015년 백제왕도를 대상으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나, 이들의 관계성을 한 눈에 보기 위해 정리한 자료나 시각화 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다. 이에 백제왕도를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들에 대해 정보 시각화 시스템을 제작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내용

  • 고분 및 왕성 출토 유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or 위키문서를 작성해 정보 전달
  • 백제왕도 지역 내 진행되는 관련 행사나 축제 등 문화 콘텐츠와 실제 역사적 인물, 사건에 대한 관계망 제작
  • 작성된 관계망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혹은 다른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대효과

  • 문화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 증가
  • 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각 왕도별 특성에 대한 흥미 돋움



대상자원

  • 백제 한성, 웅진, 사비 시기 고분 및 왕성과 출토 유물
  • 현재 백제왕도를 주제로 진행되는 축제, 문화 콘텐츠,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정보
  • 그 외 백제왕도 관련 자료


참고자료

백제역사유적지구와 관련한 아카이브, 3차원 기록화 등의 시스템을 제공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공주, 부여, 익산에서 진행되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박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