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번째 줄:
24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
===사진===
===사진===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gallery mode="packed" heights="250px" style="float:center">
61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Web Resource===
===Web Resource===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사전 || 부여 석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412
− |-
− | 사전 || 부여 석조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부여_석조
− |-
− | 사전 || 부여 석조 || 디지털부여문화대전 || https://www.grandculture.net/buyeo/toc/GC09000670
− |-
− | 해설 || 보물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 |-
− | 사진 ||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6&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 | 사진 || 석조 몸체의 훼손 상태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8&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 | 사진 || 석조 중대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7&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 | 동영상 ||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n1Bk9e1L4o
− |}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Bibliograph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 1 - 삼국시대』, 국립중앙박물관, 2010. || RISS || https://www.riss.kr/link?id=M12814018
− |-
− | 단행본 || 진홍섭, 『한국불교미술』, 문예출판, 1998. || RISS || https://www.riss.kr/link?id=M3874447
− |-
− | 단행본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문화재대관 6 - 보물 4』, 대학당, 1986.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06020
− |-
− | 단행본 || 정영호, 『국보 7 - 석조』, 예경산업사, 1983.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50923
− |-
− | 논문 || 한정호,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 『미술사학연구』 306, 한국미술사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689
− |-
− |}
− ※ 단행본, 논문 등
107번째 줄:
73번째 줄: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실습:디지털아카이브2024-2]] [[분류:Knuch:김현승]]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실습:디지털아카이브2024-2]] [[분류:Knuch:박혜주 ]]
부여 석조 (扶餘 石槽)
한글
부여 석조
한자
扶餘 石槽
시대
백제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유형
종교물품
크기
지름 1.42m, 높이 1.57m
국가유산 종목
보물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내용
부여현의 동헌건물 앞에 있었던 것을 일제시대에 옛 박물관 뜰로 옮겼다가 현재의 국립부여박물관 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부여석조는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그 꽃을 즐겼다는 전설이 있는 백제시대의 유물로, ‘工’자형의 받침대 위에 둥근 꽃망울 형태로 올려져 있다. 받침대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간결한 모양이다. 그 위에 놓인 석조는 입구가 약간 오므라들면서 밖으로 둥글게 원호를 그리며, 바닥은 평평한 듯 하나 완만한 곡선이다.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8개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고,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국보)의 1층 탑몸돌에 새겨진 당나라가 백제를 평정했다는 내용과 같은 글을 새기려던 흔적이 보인다.
이 석조에는 연꽃무늬 장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찰과 관계된 유물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본래 이 석조가 있었던 장소가 백제시대의 왕궁터로 전해지고 있어 당시 왕궁에서 쓰이던 석련지(石蓮池)가 아니었나 짐작된다. 형태가 풍만하면서도 깔끔한 곡선으로 처리된 석조로, 백제인의 간결하고 소박한 미적 감각이 잘 나타나 있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VIDEO
위치 정보
위도
경도
주소
36.2763865
126.9189991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관련 항목
참고문헌
Web Resource
Bibliography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