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ch 박혜주 연구 기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새 문서: ='''부여의 무형유산'''= =목적= 충청남도 부여군의 무형유산에 대해 알아보며, 해당 지역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정리한...)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목적= | =목적= | ||
− | 충청남도 부여군의 무형유산에 대해 알아보며, 해당 지역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정리한다. | + | 충청남도 부여군의 무형유산에 대해 알아보며, 해당 지역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정리한다. 현재 부여군에 존재하는 무형유산으로는 은산별신제, 산유화가, 내포제시조,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세도두레풍장, 내지리단집기가 있다. |
− | = | + |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
− | * | + | *은산별신제는 196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 전승되어 오는 마을축제이다. |
− | + | *병마를 없애고 마을의 태평을 기원하며 사당을 짓고 백제의 장군을 제사지내는 것으로, 제화초복(除禍招福)과 안태(安泰)를 지향한다. | |
− | |||
− | |||
− | |||
− | * |
2024년 9월 27일 (금) 15:45 판
부여의 무형유산
목적
충청남도 부여군의 무형유산에 대해 알아보며, 해당 지역에서 무형유산이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정리한다. 현재 부여군에 존재하는 무형유산으로는 은산별신제, 산유화가, 내포제시조, 부여 용정리 상여소리, 세도두레풍장, 내지리단집기가 있다.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
- 은산별신제는 196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에 전승되어 오는 마을축제이다.
- 병마를 없애고 마을의 태평을 기원하며 사당을 짓고 백제의 장군을 제사지내는 것으로, 제화초복(除禍招福)과 안태(安泰)를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