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예시:창경궁 통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25번째 줄: 25번째 줄:
 
| 창경궁_통명전 || Place || 건축물 || 창경궁 통명전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창경궁_통명전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mages/8/87/창경궁통명전xs.png || 김현승
 
| 창경궁_통명전 || Place || 건축물 || 창경궁 통명전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창경궁_통명전 ||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mages/8/87/창경궁통명전xs.png || 김현승
 
|-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center;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 [[무신년진찬]] || [[창경궁 통명전]] || A는 B에서 거행되었다
 
 
|}
 
|}
  

2024년 3월 26일 (화) 23:14 판

창경궁 통명전
(昌慶宮 歡慶殿)
창경궁통명전 문화재청.jpg
한글 창경궁 통명전
한자 昌慶宮 歡慶殿
주소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유형 건축물 등



정의

창경궁에 있는 전각으로, 왕비의 침전이다.

내용

창경궁 통명전은 창경궁 내전의 으뜸전각으로 왕비의 침전이나 왕대비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었다. 1484년(성종 15)에 처음 지었다가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것을 광해군 대에 다시 지었고, 1790년(정조 14)에 다시 불에 탔으나 1833년(순조 33) 통명전 오른쪽에 있는 양화당(養和堂)과 함께 다시 지었다.

규모는 앞면 7칸, 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고, 지붕 위는 용마루가 없는데 현재 창경궁에 남아 있는 건물 중 유일하다.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뻗쳐 나온 재료 구성이 조선 중기 양식의 특징과 정결한 건물의 느낌을 잘 살리고 있다. 월대 위에 기단을 형성하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잔치나 의례를 열 수 있는 넓은 마당에는 얇고 넓적한 박석(薄石)을 깔았다. 건물 왼쪽에는 동그란 샘과 돌난간을 두른 네모난 연못을 두었고, 건물 뒤쪽에는 작은 정원을 두었다.

통명전은 창경궁에 있던 내전 건물 중에서 가장 잘 남아 있는 건물로 19세기 건축 양식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1]

지식 관계망

노드정보

id class groupName label infoUrl iconUrl note
창경궁_통명전 Place 건축물 창경궁 통명전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ndex.php/창경궁_통명전 http://dhlab.aks.ac.kr/~hyunseung/wiki/images/8/87/창경궁통명전xs.png 김현승

공간정보

위도 경도 주소
37.5796657 126.9936765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창경궁 통명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참고문헌

  • 공준원,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 문영빈, 『창경궁』, 대원사, 1991.
  • 이강근, 『한국의 궁궐』, 대원사, 1991.
  • 이태호,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1995.
  • 홍순민,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