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박재이 연구계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46번째 줄: 46번째 줄:
 
* 위키문서에서 '''키워드 링크기능'''을 적극 활용해, 해당 단어의 정의와 관련 자료를 정리한다.
 
* 위키문서에서 '''키워드 링크기능'''을 적극 활용해, 해당 단어의 정의와 관련 자료를 정리한다.
  
[[분류:박재이]] [[분류:박재이 연구계획서]] [[분류:DH-Kphilo:2022-2]]
+
[[분류:박재이]] [[분류:연구계획서]] [[분류:DH-Kphilo:2022-2]]

2022년 10월 20일 (목) 15:30 기준 최신판

중간과제 : 연구계획서

연구주제

연구계획서의 주제는 "한국의 정(情) 문화에 대한 설명 방법" 입니다.

문제의식

그건 사랑이 아냐

그건 미련이 아냐

그냥 정이라고 하자

BIG Naughty(서동현)의 노래 <정이라고 하자 (Feat.10cm)> 가사의 일부

2022년에 발매된 가사에 따르면, 정(情)은 사랑이 아니라고 말한다. 또한 우리는 "정 때문에 만난다."는 말을 하는 것을 보면, 정은 사랑으로 설명될 수 없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임을 알 수 있다.

한국인은 어렸을 때부터 정(情)을 체감해왔기에 그것이 무엇인지 인지하고 있지만, 막 한국 문화를 공부하기 시작한 외국인에게 정을 설명하려고 하면 정말 어려워진다.

최근 음악차트 1위를 차지한 노래에도 정(情)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데, 한국인 그리고 외국인을 포함해 사람들이 단 번에 이해할 수 있게 정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정 문화가 무엇인지 정리할 필요를 느낀다.

디지털방법론을 활용한 연구방법

자료수집

  • 먼저, 정(情)의 근원을 알아야 설명이 가능하겠다.

정(情) 글자는 칠정(七情)의 정과 동일한 글자이다. 한국고전종합DB에 먼저 칠정을 검색해 관련 서적 및 자료를 찾아본다.

이에 더해 고전용어 시소러스 "사단칠정" 단어의 관계도를 통해 칠정의 유의어 및 관련어에 우리가 지금 말하는 정을 설명할 단어가 있을지 찾아보며 그 뿌리에 대해 조사해본다.

고전용어 시소러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라는 웹에서도 정(情) 키워드를 검색해 유학적의미의 정 이외에도 한국 문화적 의미에서도 파악해본다.
    • 피드백 내용1 : 정(情) 그 자체에 대한 연구도 자료가 방대할 것 같다. 감정(感情), 심정(心情), 사정(事情) 등에 대해 데이터를 찾아보고, 그 연장선에서 칠정(七情)을 봐보자.
    • 피드백 내용2 : 고전DB에서 찾아보는 것도 좋지만, 문제의식에서 연장해 현대의 데이터를 먼저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뉴스, 가사 등)

자료 정리 및 시각화

  • 위키문서를 활용해 자료를 정리 및 시각화하는 방법을 택했다.
  • 위키문서에서 키워드 링크기능을 적극 활용해, 해당 단어의 정의와 관련 자료를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