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KU2025:Jin.l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829번째 줄: | 829번째 줄: | ||
− | #Links | + | #Links |
+ | 김일성전집_제27권-1955.10-1956.4. 김일성 wrote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1982.4-1984.7 김정일 wrote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1990.10-1991.5 김정일 wrote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1991.6-1991.10 김정일 wrote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1991.12-1992.4 김정일 wrote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1973.3-1973.12 김정일 wrote | ||
+ | 높은_목표 박찬은 wrote | ||
+ | 무성하는_해바라기들 석윤기 wrote | ||
+ | 민족과_운명 이명자 isDirecterOf | ||
+ | 백옥 이명자 isDirecterOf | ||
+ | 붉은_선동원 조백령 wrote | ||
+ | 열망 김문창 wrote | ||
+ | 피바다 오태호 wrote | ||
+ | 한_녀학생의_일기 안준보 isDirecterOf | ||
+ | 최학신의 일가 백인준 isDirecterOf | ||
+ | 김일성전집_제27권-1955.10-1956.4.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1982.4-1984.7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1990.10-1991.5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1991.6-1991.10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1991.12-1992.4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1973.3-1973.12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 ||
+ | 높은_목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hasPublisher | ||
+ | 무성하는_해바라기들 문예출판사 hasPublisher | ||
+ | 민족과_운명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 ||
+ | 백옥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 ||
+ | 붉은_선동원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hasPublisher | ||
+ | 열망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hasPublisher | ||
+ | 피바다 문예출판사 hasPublisher | ||
+ | 한_녀학생의_일기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 ||
+ | 최학신의 일가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 ||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hasChapter |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hasChapter | ||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hasChapter |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hasChapter |
2025년 6월 22일 (일) 21:02 판
#Project 북한교과서_온톨로지_설계_2 #Class Book blue circle Text red box Term green star Movie red circle Person blue box Company #Relation hasChapter hasPart hasSentence hasText hasVerse hasSemanticContextWith wrote isDirecterOf hasPublisher wasProducedBy #Nodes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Book 『문학기본(류학생용)』(2017) 김일성전집_제27권-1955.10-1956.4. Book 『김일성전집_제27권』(2023)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1982.4-1984.7 Book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2011),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1990.10-1991.5 Book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2012)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1991.6-1991.10 Book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2012)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1991.12-1992.4 Book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2012)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1973.3-1973.12 Book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2010) 높은_목표 Book 『높은_목표』(1994) 무성하는_해바라기들 Book 『무성하는_해바라기들』(1970) 민족과_운명 Movie 『민족과_운명』(1992) 백옥 Movie 『백옥』(2014) 붉은_선동원 Book 『붉은_선동원』(1963) 열망 Book 『열망』(1999) 피바다 Book 『피바다』(1973) 한_녀학생의_일기 Movie 『한_녀학생의_일기』(2006) 최학신의 일가 Movie 『최학신의_일가』(1965) 김일성 Person 김일성 박찬은 Person 박찬은 석윤기 Person 석윤기 이명자 Person 이명자 조백령 Person 조백령 김문창 Person 김문창 김정일 Person 김정일 백인준 Person 백인준 오태호 Person 오태호 안준보 Person 안준보 조선로동당출판사 Company 조선로동당출판사 문학예술종합출판사 Company 문학예술종합출판사 문예출판사 Company 문예출판사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Company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Company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조선예술영화촬영소 Company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Company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Book 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Book 제1장_문학의_본성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 Book 제1절_문학의_개념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Book ⑴_문학은_언어예술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Book ⑵_문학과_예술의_공통성과_차이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 Book 제2절_문학의_인간학적본성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Book ⑴_문학은_본성에_있어서_인간학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Book ⑵_문학의_사명과_기능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Book 제3절_문학의_형상성,_사상성과_예술성의_결합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Book ⑴_예술적형상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2 Book ⑵_형상의_진실성과_철학성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Book ⑶_사상성과_예술성의_결합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Book 제4절_문학의_사회적성격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1-S01 Text 혁명과 건설을 령도하신 전기간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는 문학은 인간생활의 교과서로,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2-S01 Text 김일성종합대학에서 혁명활동을 벌리시던 시기는 물론 백두에서 개척된 주체혁명위업을 령도하여오신 전기간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5-S01 Text 《문학은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이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6권 105폐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6-S01 Text 문학은 인간과 그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여 사람들의 사상정서교양에 힘있게 이바지하는 수단으로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7-S01 Text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문학을 중시하고 문학발전에 선차적인 힘을 넣어야 한다고 하시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8-S01 Text 어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문학에 대한 지식을 소유하여야 하며 문학작품에 대한 옳은 인식과 형상능력을 체득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9-S01 Text 《문학기본》은 문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주기 위한 과목으로 설정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9-S02 Text 문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충분히 갖추고있어야 어문학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깊이 다져갈수 있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0-S01 Text 뿐만아니라 어문학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초자질과 함께 문화정서적인 소양도 더욱 높여나갈수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1-S01 Text 《문학기본》은 문학에 작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법칙과 범주, 개념을 대상으로 하여 어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문제들…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1-S02 Text 이 과목에서는 문학의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문학의 인간학적본성과 형상성, 사회적성격과 기능, 문학예술의 발생발전 등 일반론 부분을 앞에 주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2-S01 Text 다음으로 문학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평가하는 방법과 감상문을 비롯한 평론집필을 하는데서 나서는 실천적문제들을 주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2-S02 Text 또한 이 과목에서는 문학창작에서 작용하는 합법칙성과 창작원리, 형상방법과 방도 등 리론실천적문제들을 창작론의 견지에서 주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001-S01 Text 뿐만아니라 창작방법과 문학건설원칙에 대하여서도 체계성있게 주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1-S01 Text 문학에 대한 옳바른 리해를 가지려면 문학의 개념부터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1 Text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은 언어예술이라는 고전적인 정식화를 주시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2 Text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3 Text 언어로써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문학》이라는 형상적인 글형식이 생겨나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3-S01 Text 다시말하여 말과 글로써 생활화폭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 왕성하게 발전하고 그것이 예술발전을 적극 추동하게 되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4-S01 Text 오늘날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분야를 문학예술분야로 통칭하거나 예술과 구별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1 Text 하기에 문학을 언어예술로 정식화하여주신 위대한 장군님의 명언은 문학에 대한 심오한 과학적분석에 기초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2 Text 력사적으로 보면 《문학》이란 말은 글을 공부하거나 글쓰는 일을 하는 분야를 포괄하여 범박하게 씌여졌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6-S01 Text 글쓰는 분야가 발전하고 력사기록적인 글이나 정사체, 론리적인 글형식과 함께 야사체글, 시가와 예술적산문들이 나오게 되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7-S01 Text 성현은 《용재총화》에서 문장에 대하여 론한다(論文章)고 하면서 우리 나라의 문장은 맨 처음에 최치원으로부터 유명하여져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8-S01 Text 김춘택은 문집 《북헌집》에서 문장을 시와 가사, 소설 등으로 갈라서 이야기하였으며 송강 가사와 서포 김만중의 소설에 대하여 평가를 주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9-S01 Text 중세문인들은 문학을 《文》(글) 또는 《文章》으로 명명하고 문장이 어떤것으로 되여야 하는가를 일찍부터 론의하였으며 자기나름의 견해를 표명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1 Text 리인로는 《파한집》에서 이 세상 모든 사물중에서 귀천과 빈부를 기준으로 하여 높고낮음을 정하지 않는것은 오직 문장뿐이라고 하였으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2 Text 중세문인들이 《문장》이란 명명을 문학을 염두에 두고 써왔다는것은 중세말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에 비교적 석연하게 밝혀져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3 Text 그는 문학작품을 쓰거나 익히는 일을 《문장지학》(文章之學) 즉《문장학》이라고 제목화하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1 Text 그는 옛사람들은 고전으로 문장을 익히고 배웠다는것을 시사하면서…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2 Text 《문장》을 글재주, 언어예술과 결부시켜 《문학》으로 명명한것은 근대에 들어와서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1 Text 형상적인 글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가 깊어지면서 언어예술분야를 《문학》으로 명명하여왔지만 문학의 개념에 대한 정확한 리해는 주어지지 못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2 Text 지난 시기 《문학》에 대한 범박한 리해는 세계적인 범위에서 보더라도 마찬가지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3-S01 Text 형상창조, 미창조의 령역이라는데서는 리해를 같이하였지만 그 명명이 각이하고 대상에 대한 리해와 표현도 달라…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4-S01 Text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관념론적인 모방설을 반대하여 예술은 실제적인 현실과 그 미를 모방한다고 주장하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5-S01 Text 문학과 예술을 포괄하여 《시학》으로 본것은 문예부흥기 인문주의미학을 거쳐 17세기 고전주의미학에 와서도 마찬가지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1 Text 부알로는 시예술과 함께 극예술을 포괄하여 문학예술에 대한 론의를 《시론》으로 범박하게 표제함으로써 문학을 《시》의 테두리안에서 해석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2 Text 문학이 초창기 《가요》, 《가사》, 《시》로부터 나오고 표상된것은 세계적인 범위에서도 공통하며 《시문》을 본래의 의미에서의…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1 Text 이것은 문학이란 명명이 퍽 후에 와서 나오게 되였을뿐아니라 그 개념이 범박한 뜻으로 씌여져왔다는것을 말하여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2 Text 18세기 계몽주의미학에 와서도 문학과 예술을 통털어 미창조의 분야로 보고 미학의 범주안에서 문학을 론의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8-S01 Text 이것은 디드로의 《미학론》에서 집중적으로 보게 되며 칸트나 헤겔의 관념론미학과 포이에르바흐의 유물론미학에 와서도 범박한 해석을 피하지 못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1 Text 로씨야의 민주주의미학자나 평론가인 경우에도 문학과 예술을 갈라서 종류, 형태, 쟝르별로 론의하였지만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2 Text 맑스주의미학에 이르러 문학을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특수한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규정하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0-S01 Text 례하면 문학작품창작에서 성격을 살리고 구성과 장면의 생동성과 진실성을 보장하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1-S01 Text 《문학》에 대한 가장 정확한 개념의 과학적정립은 주체문학예술의 대전성기를 마련하기 위한 위대한 령도의 나날에 《문학》에 담겨진 깊은 뜻을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1 Text 《문학은 언어를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입니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0권 110폐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2 Text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과 그 생활을 화폭으로 그려내는 언어예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3 Text 다시말하여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언어로써 형상을 창조하는 문장예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4-S01 Text 음악이나 춤이 인간생활을 선률이나 률동으로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이라면 문학은 언어로써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해내는 언어예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5-S01 Text 문학이 언어를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예술이라는 정식화에는…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1 Text 문학은 우선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한다.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한다는것은 문학에서 그리는 대상이…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2 Text 문학은 사람의 미학적요구를 반영하여 생활과정에서 나왔으며 생활의 문화적표현으로 창조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7-S01 Text 생활은 문학의 내용으로 들어올뿐아니라 표현형식으로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1 Text 문학은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함으로써 인간학으로서의 내용과 표현형식을 갖추게 되였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2 Text 문학은 인간생활을 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여러 측면에서 다양하고 풍부하게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3 Text 다시말하여 정치생활, 경제생활, 문화생활 등 여러 생활령역을 폭넓고 풍부하게 그려내여 형상의 폭과 깊이를 다같이 보장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1 Text 인간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살고있는 생활환경과 사회적관계 등 사회생활령역을 자료로 하여 그것을 폭넓게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2 Text 문학은 인간생활이 미치는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며 현재뿐아니라 미래와 과거생활도 자유롭게 그려낸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3 Text 하나의 작품에도 주인공의 생활로정과 함께 일정한 력사적시기의 여러 생활분야가 들어오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4 Text 작품의 주제사상적내용에 따라 생활이 취사선택되여진다는 점에서는 제한이 있지만 문학이 묘사대상으로 하는 인간생활령역은 제한되여있지 않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1 Text 문학은 그릴수 있는 인간생활의 모든 령역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생활을 다양하고 폭넓고 풍부하게 그려내여 생활의 참된 교과서로 적극 복무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2 Text 문학은 또한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1-S01 Text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는것은 생활을 론리적형식으로 보여주는것이 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1 Text 문학은 인간생활을 현실그대로 느끼고 받아들일수 있게 생동하게 그려냄으로써 예술적화폭을 창조할뿐아니라 형상을 창조하는 방법으로 생활을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2 Text 문학은 생활반영에서 형상적인 형식과 방법에 의거함으로써 론리적인 형식이나 추상화의 방법과 달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1 Text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여 예술적화폭을 창조한다는데 문학이 다른 사회적의식형태, 교양수단과 구별되는 차이도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2 Text 과학이 론리적인 형식, 추상화의 방법으로 설정된 모든 문제를 풀어나간다면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3 Text 전자가 론리적형식에 의거한 과학적인 방법이라면 후자는 생활형식에 의거한 예술적방법, 형상창조의 형식과 방법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4 Text 생활형식에 의거하여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예술적형식과 방법이 탐구되고 문학과 예술이란 독특한 창조물이 생겨나게 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1 Text 따라서 생활반영의 형상적형식과 방법을 떠나서 문학과 예술의 존재에 대하여 말할수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2 Text 문학은 또한 언어를 기본수단으로 하여 형상을 창조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1 Text 문학에서 언어가 기본형상수단으로 되는것은 그것이 말과 글로써 화폭을 창조하는 언어예술이라는 사정과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2 Text 문학은 력사적으로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과 그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함으로써 다른 예술형태들과 구별되는 독특한 언어예술분야를 이루게 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1 Text 예술의 넓은 령역에서 문학을 독자적인 문학예술로 갈라보게 된것도 그것이 다름아닌 언어를 기본형상수단으로 하는 언어예술이기때문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2 Text 언어를 떠나서 문학의 형상수단에 대하여 말할수 없으며 언어예술이라는 개념이 세워질수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3 Text 형상수단에 의하여 해당 예술의 명명이나 개념이 밝혀지게 되는것은 음악이나 무용, 화면이나 무대예술에서도 공통하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7-S01 Text 형상수단을 무엇으로 하는가에 따라 예술령역에서 그 대상에 대한 개념도 형성되고 종이 나누어지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1-S01 Text 문학은 예술령역에서 언어를 가지고 예술적화폭, 형상을 창조하는 것으로 하여 음악이나 무용예술과 구별되는 독특한 형상수단을 가진 언어예술로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3-S01 Text 《예술은 구체적이며 감성적인 형상을 통하여 인간과 그의 생활을 반영하는 사회의식의 한 형태이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5권 328폐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4-S01 Text 언어예술을 비롯한 모든 예술형태들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서 인간과 그의 생활을 구체적이며 감성적인 형상을 통하여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1 Text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한다는데서 공통성을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2 Text 문학과 예술은 우선 묘사대상의 공통성을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1 Text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사람의 미학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오면서부터 력사적으로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창조되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2 Text 물론 인간생활을 반영하는것은 비단 문학과 예술만이 아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3 Text 사회과학의 적지 않은 분야들이 인민대중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투쟁을 대상으로 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4 Text 력사과학은 력사의 창조자인 인민대중의 자주적이며 창조적인 생활과 투쟁을 대상으로 하여 력사발전의 합법칙성을 밝혀낸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7-S01 Text 사회정치학과 경제학은 사회정치생활과 경제생활령역을 대상으로 하여 거기에 작용하는 법칙과 원리, 합법칙성을 밝혀낸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8-S01 Text 그러나 사회과학에서는 인간생활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그 대상령역이 국한되여있을뿐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1 Text 이와는 달리 문학과 예술은 인간생활이 미치는 모든 령역을 직접 대상으로 하여 인간문제를 밝혀내며 생활그대로의 형식으로 생활화폭을 펼쳐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2 Text 문학과 예술은 또한 형상창조의 방법에서 공통성을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3 Text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며 형상을 창조하는 형식과 방법에 의거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1 Text 형상을 창조하는 형식과 방법에 의거하고있다는데 문학과 예술에 공통성이 있으며 과학과 구별되는 본질적차이가 있다.(1:15)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2 Text 과학이 론리적형식에 의거한다면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형상적형식에 의거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3 Text 과학이 론리를 세우고 추리, 판단하는 추상화의 방법을 쓴다면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생활그대로를 펼쳐보여주는 생활형식에 의거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1 Text 형상적형식, 예술적방법은 론리적형식, 과학적방법과 구별되는 문학예술에서만 있게 되는 고유한 형상창조의 형식과 방법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2 Text 문학과 예술은 원래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독자적인 분야로 생겨나고 발전하였으며 생활반영에서 자기 고유의 형식과 방법을 부단히 완성시켜나갔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1 Text 예술적형상을 창조하는 과정에 문학과 예술은 공통성을 가지고 다같이 형상창조의 원리와 방법을 구현하게 되였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2 Text 문학과 예술은 묘사대상과 형상창조의 방법에서 공통성을 따지만 기본형상수단에서는 차이를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3-S01 Text 예술이 여러 형태로 나뉘어지는것도 많은 경우에 형상수단, 수법과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5-S01 Text 《예술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되는것은 주로 생활을 반영하는 형상수단과 수법이 다른것과 관련된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14권 13폐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6-S01 Text 형상수단과 수법을 어떻게 쓰는가 하는데 따라 예술은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1 Text 문학이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화폭을 그려낸다면 예술의 여러 형태들은 각기 자기 고유의 형상수단을 가지고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2 Text 음악과 무용, 미술과 무대예술인 연극, 가극 그리고 화면예술인 영화 등은 그 대표적인 실례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3 Text 물론 예술에는 형태간의 결합과 침투로 하여 이외에도 다양한 형식과 양상을 가진것들이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1 Text 예술이 여러 종으로 갈라지게 된것은 다같이 인간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함에 있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2 Text 미술은 색과 선을 기본형상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의 생동한 모습을 직접 볼수 있게 조형적형상을 창조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9-S01 Text 다시말하여 문학이 언어를 가지고 생활화폭을 그려낸다면 미술은 선과 색을 가지고 직접 그림을 그려가며 인간생활의 미를 살려낸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1 Text 음악은 음률로써 조화롭게 결합시킨 선률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생활을 정서적으로 밝혀내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2 Text 무대예술인 연극과 가극은 무대조건에서 배우의 연기로써 인간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1 Text 연극에서는 배우의 대사와 행동으로, 가극에서는 노래와 약간의 대사, 행동으로 형상을 창조하며 무대미술과의 결합속에서 예술성을 높여나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2 Text 화면예술인 영화는 움직이는 그림을 비쳐서 인간생활화폭을 얻어내는 예술로서 화면이 기본형상수단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3 Text 기록영화는 현실생활을 직접 촬영하여 화면을 얻어내며 만화영화는 그림을 그려내여 그것으로써 영화화면을 얻어낸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1 Text 예술영화일 때는 생활환경과 함께 배우의 연기 행동과 대사가 화면형상의 기본을 담당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2 Text 문학과 예술은 이처럼 기본형상수단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3-S01 Text 이것은 기본형상수단에 의하여 그 예술의 특성, 명명까지 규정되게 된다는것을 보여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4-S01 Text 문학과 예술은 다같이 인간과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데서 공통성을 가지지만 기본형상수단리용에서 본질적인 차이를 가지고있는것으로 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001-S01 Text 문학이야말로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해냄으로써 언어예술로서의 독자성을 살려냈을뿐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1 Text 문학은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예술적형상을 창조하고있는데에서 예술의 다른 형태와 구별되는 언어예술로서의 개념이 주어진다면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2 Text 문학을 무엇으로 보는가 하는 문제는 문예학에 근본문제의 하나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3 Text 일반적으로 문예관이라고 하면 문학과 예술과 어떤 견해와 관점, 립장에서 보고 대하는가 하는것을 말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2-S01 Text 문예관은 문학예술의 본성과 사명, 창작원칙과 방도, 사회적가치를 밝히는데서 출발점으로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2-S02 Text 문예관은 문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줄뿐아니라 미의 본질과 창작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세워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3-S01 Text 따라서 옳바른 문예관에 기초할 때에만 문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와 관점을 바로세우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4-S01 Text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형상창조와 인간문제의 해답, 복무정신이 밝혀지게 된다는것을 깊이 통찰하시고…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6-S01 Text 《문학은 인간학이다. 산인간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김정일선집》 증보판 제5권 21폐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1 Text 문학은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2 Text 문학을 인간학으로 보는 세계관적기초는 자연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사람을 중심에 놓고 해석하고 설명하는 주체사상의 철학적원리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3 Text 주체사상은 사람의 본질적특성과 세계에서 사람이 차지하는 지위와 역할을 새롭게 밝혀줌으로써…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8-S01 Text 다시말하여 사람중심의 세계관인 주체사상은 세계와 자기 운명의 주인인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1 Text 문학을 인간학으로 보는것은 바로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를 보고 대하는 주체사상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하여…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2 Text 문학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간학적본성을 해석할수 있는 충분한 사상리론적 및 형상적기초를 가지고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3 Text 문학은 사람의 생활과정에서의 그들의 미학정서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왔으며 산인간을 화폭의 중심에 내세우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0-S01 Text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인것으로 하여 사회가 발전하고 인민대중의 자주성이 높아질수록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0-S02 Text 문학은 사람의 생활과정에서 그들의 미학정서적요구를 반영하여 나온것으로 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1-S01 Text 이것은 문학이야말로 사람과 본성적으로 이어져있으며 사람중심의 세계관에 기초하여서만 그 인간학적본성도 정확히 밝혀낼수 있다는것을 말하여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3-S01 Text 《우리는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은 인간과 생활을 그리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3-S02 Text 인간과 생활을 그리며 인간에게 복무한다는데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본성이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1 Text 다시말하여 인간형상을 창조하여 인간에게 복무한다는 여기에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인간학적본성이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2 Text 문학을 본성에 있어서 인간학으로 정식화한 여기에는 두가지 내용이 담겨져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3 Text 그 하나는 문학이 인간과 생활을 그린다는것이며 다른 하나는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것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5-S01 Text 이것은 주체의 문예관에 서서 볼 때 문학의 형상창조의 중심과 복무정신 등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6-S01 Text 문학은 산인간을 형상의 중심에 내세우고 생동한 인간생활화폭을 창조하며 사람들의 세계관확립에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7-S01 Text 문학은 우선 산인간을 그린다는데서 인간학적본성을 체현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7-S02 Text 문학에서 인간을 그린다는것은 현실에서와 같이 숨쉬고 사고하고 행동하는 산인간과 그 생활을 그린다는것을 말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8-S01 Text 현실에서와 같이 숨쉬고 사고하며 행동하는 산인간의 형상을 창조하는 여기에 문학이…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8-S02 Text 문학은 력사적으로 인간과 그 생활을 묘사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현실에서와 같이 생동한 모습으로 그려냄으로써…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1 Text 뿐만아니라 문학은 산인간의 본질적특성을 가장 정당하게 회화적으로 그려내는 과정에 형상을 심화발전시켜나왔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2 Text 산인간의 본질적특성을 생동하게 그려내지 못한 문학은 결국 참다운 인간학으로 될수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3 Text 다시말하여 인간의 운명문제, 정치적생명에 관한 문제를 다루지 못한 문학은 인간학의 본성적인 요구를 구현할수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4 Text 문학에서 산인간을 그린다는것은 사상과 감정, 의지와 행동에서 언제나 구체적이며 생동한 인간형상을 창조한다는것을 말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5 Text 문학에 산인간이 없으면 개성적인 형상이 있을수 없고 형상이 없으면 문학의 고유한 본성도 살려내지 못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0-S01 Text 같은 인간을 다루면서도 인간과 그 관계를 추상화된 개념으로 취급하는 사회과학과 달리 문학은 인간의 운명문제를 산인간의 생동한 형상을 통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1-S01 Text 문학은 또한 인간에게 복무하는 교양수단이라는데서 인간학적본성을 체현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2-S01 Text 문학이 인간에게 복무한다는것은 인간과 그 생활을 통하여 절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형상적으로 밝혀냄으로써…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3-S01 Text 문학은 산인간의 생동한 형상을 통하여 철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밝혀냄으로써 사람들의 사상정서교양에 적극 복무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3-S02 Text 문학에서 내세우는 인간문제는 사람의 운명개척과 관련된 문제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좌우하는 문제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1 Text 문학에서 사람의 사회정치적생명과 관련된 인간문제를 내세우지 않고 신변잡사나 생산기술적문제를 내세운다면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2 Text 사람들에게 생활의 진리를 깨우쳐주고 참된 삶의 길로 이끌어주는 문학만이 인간학으로서의 복무정신을 체현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3 Text 참된 삶에 대한 문제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며 투쟁할것인가 하는 인간의 자주성을 옹호하고 빛내이기 위한 문제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4 Text 절실하고 의의있는 인간문제를 내세우지 못하고서는 문학이 사람들에게 교양과 교훈으로 될수 있는 문제를 밝힐수 없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5-S01 Text 이처럼 문학은 인간문제의 제기와 형상창조, 복무정신 등에서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인간학적본성을 밝히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6-S01 Text 력사적으로 보면 지난 시기 일부 사람들도 문학을 《인간학》이라고 말해왔다. 어떤 창작가는 문학이 인간을 산 자료로 하기때문에…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6-S02 Text 이런 견해들은 인간학의 기본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하여 똑바른 알지 못하고…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7-S01 Text 다시말하여 형상의 중심으로는 되는 사람의 본성이 과학적으로 해명되지 못하고 문학에서 사람을 어떻게 보고 그려야 하는가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8-S01 Text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 지난 시기 제기되였던 《인간학》에 대한 견해의 세계관적제한성을 명백히 밝혀주신바와 같이…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1-S01 Text 참으로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인류문예사상사에서 처음으로 영생불멸의 주체사상에 기초하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2-S01 Text 문학은 사람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으로서 사회교양자적사명과 기능을 담당수행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3-S01 Text 문학의 사명이 사회와 혁명앞에 지닌 맡은바 몫, 임무와 관련되여있다면 문학의 기능은 사회교양적능력, 역할과 관련되여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3-S02 Text 문학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그 사회계급적성격에 따라 내세우는 사명과 임무, 기능과 역할이 달리 주어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1 Text 사회주의문학과 부르죠아반동문학은 사회계급적성격에서 대립될뿐아니라 복무정신, 교양목적에서도 상반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2 Text 사회주의문학은 인민대중의 자주위업, 사회주의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3 Text 그러나 부르죠아반동문학은 반동적인 착취계급의 취미와 리해관계를 반영하며 그에 복무하는것을 공개적으로 제창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5-S01 Text 따라서 그 문학이 사회앞에 지닌 사명과 임무를 어떻게 내세우는가 하는데 따라 그것의 성격과 복무정신이 뚜렷이 밝혀지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6-S01 Text 문학은 인간학으로서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고 실현하기 위한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을 숭고한 사명으로 내세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8-S01 Text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옹호하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주체혁명위업수행에 적극 복무하는것은 우리 문학의 기본사명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8-S02 Text 우리 문학은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한 참다운 인간학인것으로 하여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복무하는것을 자기의 숭고한 사명으로 뚜렷이 내세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9-S01 Text 주체의 인간학은 자주성에 대한 문제, 자주적인 인간에 대한 문제를 내세우고 주체형의 인간전형을 창조하…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0-S01 Text 경애하는 최고령도자 김정은동지께서는 우리 문학예술의 근본사명은 당의 사상과 의도를 인민들의 심장속에 심어주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1-S01 Text 우리 문학은 이런 기본사명으로부터 혁명의 자주적주체를 강화하고 사람들을 주체형의 혁명가로 준비시켜야 할 가장 영광스러운 임무를 맡아 수행하게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2-S01 Text 문학의 교양적기능은 문학의 사명과 임무로부터 흘러나오며 그에 의하여 규제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3-S01 Text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문학이 인민대중의 자주위업수행에 적극 이바지하기 위하여서는…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3-S02 Text 문학은 우선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1 Text 다시말하여 문학은 정치에 복무하는 사상적무기로서 사람들의 사상교양, 사상개조에 직접 이바지하며 여기에서 커다란 감화력을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2 Text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의 기능은 그 문학이 맡은 바 임무, 사상교양의 과업과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5-S01 Text 우리 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으로서 사회정치적생명체를 영원한 형상원천으로 삼고 주체의 철학적원리에 기초함으로써…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6-S01 Text 문학의 정치사상교양적기능은 참다운 인간전형,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미학적정서적공감력을 가지고 힘있게 실현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6-S02 Text 문학은 또한 생활인식기능을 수행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1 Text 문학은 사상교양과 함께 생활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 교훈을 예술적으로 일반화하여주는 생활인식의 힘있는 수단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2 Text 문학이 생활을 깊이 인식시키는 수단으로 되는것은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에게 시대의 본질과 생활발전의 합법칙성을 인식시킬뿐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3 Text 원래 작품에 반영되는 생활은 복잡하고 다양하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4 Text 다시말하여 작품의 생활에는 자주성을 옹호하기 위한 인민대중의 영웅투쟁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 즉 정치생활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1 Text 그러므로 작품을 통하여 사람들은 생활에 대하여 넓고 깊은 리해를 가지며 주인공의 전형적인 모습을 통하여 생활에서 나서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2 Text 문학은 또한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을 수행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3 Text 문화정서교양은 자주시대의 미감에 맞는 혁명적생활감정과 민족적정서를 키워주기 위한 교양으로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9-S01 Text 뿐만아니라 사람들에게 아름답고 고상한것은 긍정하고 추악하고 저렬한것에 대하여서는 부정하는 생활감정과 정서를 키워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1 Text 문화정서교양적기능은 문학예술에서만 볼수 있는 고유한 특성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2 Text 생활에서 시도 모르고 소설도 읽지 않고 지내는 목석같은 사람은 심장이 뜨거울수 없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3 Text 문학작품을 많이 보고 훌륭한 예술을 감상하는 과정에 사람들은 생활의 미에 대하여 느낄줄 알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1-S01 Text 기쁨과 슬픔, 생활량만과 열렬한 긍정의 열정, 치솟는 분노와 울분, 증오와 징계의 감정을 느끼고도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1-S01 Text 문학과 예술은 사상과 정서가 결합된 예술적형상을 통하여 사람들을 미학정서적으로 공감시킴으로써…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2-S01 Text 문학은 형상성으로 특징되며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존재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3-S01 Text 문학은 언어예술로서 과학과 구별하여 형상적 특징을 가지며 존재 방식에 있어서도 사상성과 예술성은 다같이 문학의 기본속성으로서…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1 Text 문학은 형상을 창조하게 되면서 비로소 생겨나고 사상적인것을 예술적으로 표현하게 되면서…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2 Text 문학은 형상창조과정에 사상성과 예술성을 확고히 결합시켜 그 형상적결실로 맺어지는 높은 사상예술성을 가진 훌륭한 작품을 만들 어내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3 Text 문학은 형상과제를 뚜렷이 내세우고 높은 사상성을 고상 한 예술성으로 표현하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6-S01 Text 이것은 형상을 떼여놓고 문학의 본질적 특 성을 밝힐 수 없을뿐아니라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을 떠나서…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6-S02 Text 문학이야말로 형상으로 자기의 얼굴, 본바탕의 성질을 드러내며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자기 고유의 존재방식을 표현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3-S01 Text 따라서 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되는 형상성, 사상성과 예술성은 다같이 문학의 기초범주로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4-S01 Text 《문학에 산인간이 없으면 형상이 있을수 없으며 형상이 없으면 문학의 고유한 본성도 살려내지 못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4-S02 Text 문학은 인간학으로서 산인간의 형상을 창조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7-S03 Text 문학에 산인간의 형상이 없으면 인간학으로서의 고유한 본성도 살려내지 못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8-S02 Text 형상적 특성으로 하여 문학의 본성이 살아나고 생명이 이어져 현실에서와 같이 숨쉬고 사고하고 행동하는 산인간의 형상이 창조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9-S01 Text 문학작품에서 사상성과 예술성이 결합되고 내용과 형식이 통일되게 되는것도 모두가 형상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형상창조과정에 발양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4-S02 Text 문학작품은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인 종자를 형상으로 꽃피워낸것 이며 주제를 형상으로 풀어 심오한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형상적 결실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8-S02 Text 예술적형상을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의 통일,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통일체로 보는 것은…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8-S03 Text 문학은 형상을 창조하여 사상교양을 실현하는 것만큼 생활화폭에는 언제나 예술 가의 관점이 주어져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9-S02 Text 이것은 형상이 생활화폭이기는 하지만 여기에는 언제나 사상이 깃들어있다는것을 말하여 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23-S01 Text 문학이 생활 속에서 나와서 그것을 생동하게 반영하는 독자적인 사회적 의식 형태를 이루게 된 것도 형상과 관련되여 있으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1-S02 Text 예술적 형상에서 기본으로 되는 것은 산인간의 형상 즉 인물형상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5-S02 Text 작품에서는 주인공 수련의 성격 형상과 그의 주위에서 벌어지는 생활을 자그마한 꾸밈도 가식도 없이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6-S01 Text 문학에서 형상을 창조하는 목적도 사상을 미학정서적으로 공감시켜 사람들을 교양하자는데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6-S02 Text 예술적 형상이 미학정서적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은 형상자체가 사상과 정서, 사상성과 예술성을 확고히 결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2-P025-S01 Text 사상과 정서를 결합한 개성적인 형상만이 예술적감화력을 가지고 미학정서적 으로 사람들에게 감수되여 그 교양적 효과성을 더욱 높여나가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2-S02 Text 생활철학으로서의 문학은 언제나 인간문제의 제기에서 새로운 철 학적발견이 있어야 하며 그것을 형상으로 풀어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3-S01 Text 문학은 사상성을 가짐으로써 사상교양의 힘있는 수단으로 되며 예술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형상을 통한 교양을 가장 효과있게 실현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5-S01 Text 사상성과 예술성은 형상창조과정에 결합되는 두 측면으로서 문학 예술작품의 존재방식과 특성, 그 가치를 규정해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6-S01 Text 《훌륭한 문학예술작품의 특징은 시대의 요구와 인민의 지향에 맞는 높은 사상예술성에 있습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1 Text 훌륭한 문학작품의 특징은 높은 사상예술성에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2 Text 형상적 결실로 맺어지는 문학작품은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존재하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3 Text 사상성과 예술성을 확고히 결합시켜 나가는 창작 과정에 형상이 무르익고 결실되여 훌륭한 문학작품이 나오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1 Text 종자를 꽃 피워가는 형상창조과정이야말로 심오한 인간문제를 주제로 내세우고 그것을 형상으로 풀어 높은 사상성을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2 Text 작품창작과정이 보여주는바와 같이 문학과 그 창조물은 사상성과 예술성의 결합으로 존재하며 그것을 본질적인 속성으로 하고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3 Text 문학에서 사상성이 없으면 사상교양을 실현할 수 없으며 예술성이 없으면 언어예술로 존재할 수도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9-S01 Text 이것은 문학에서 사상성이 없으면 예술성자체를 론할수도 없고 예술성이 없으면 사상성을 형상으로 해답해 줄 수 없다는것을 잘 말하여준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1-S01 Text 사상성은 문학의 중요한 속성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2-S01 Text 《사상성은 문학의 중요한 속성이며 그 가치를 평가하는 첫째가는 기준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3-S01 Text 문학은 사상교양의 힘있는 무기인 것만큼 사상성을 중요한 속성으로 가지게 되며 그 가치평가도 사상성에 크게 달려있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4-S01 Text 문학이 사상성을 중요한 속성으로 가지게 되는 것은 반영하는 대상과 그에 대한 작가의 평가, 사상 의식의 작용과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5-S01 Text 문학에 그려지는 사람은 다름아닌 사상의식을 가진 사회적 존재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6-S01 Text 세계를 과학적으로 인식하고 자주적으로 개척해나가는 사람의 활동은 의식성의 발현이며 세계에서 노는 사람의 역할은 사상의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1 Text 그러므로 사람의 생활과 투쟁을 그리는 문학에 사상성이 구현되 는것은 자연스러운것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3 Text 문학에 그려지는 인간과 그 생활에 대한 작가의 견해와 평가도 사상적 경향성을 띠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8-S01 Text 인간생활에 대한 평가와 견해는 작품에 설정된 인간문제에 대한 사상적해답으 로 주어지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8-S02 Text 문학의 사상성은 본질에 있어서 문학작품에 구현된 사상의 경향성이 어떠한가 하는 것을 특징 짓는 문학의 속성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0-S01 Text 다시 말하여 작품에 구현된 사상이 진보적인가 반동적인가, 사회주의적인가 부르죠아적인가 하는 것을 특징 짓는 범주가 다름 아닌 사상성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0-S02 Text 문학의 사상성은 그 문학의 사회적성격과 가치를 평가하는 첫째 가는 기준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6-S01 Text 사상성에 의하여 그 문학의 사회교양자적사명과 임무, 기능과 역할이 담보될 뿐아니라 작품의 교양적 가치가 평가된다. 31p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0-S01 Text 문학은 심오한 사상을 정서와 결합시켜 인간생활의 가장 아름답 고 숭고한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낡은것을 불사르고…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1-S02 Text 문학은 사상성과 함께 예술성을 고유한 속성으로 가짐으로써 예술적흥 미를 불러일으킬뿐아니라 사람들의 미학적요구에 예술적해답을 주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1 Text 다시 말하여 종자를 잡고 그에 기초하여 주제사상적대를 세운 다음에는 형상으로 꽃 피우기 위한 예술화 과정이 동반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2 Text 예술성은 사상성과의 결합 속에서만 존재하며 정서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3 Text 예술성은 그자체만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형상을 창조하는 과정에 사상성과 조화롭게 결합될 뿐 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4 Text 예술성이 사상성과 쌍범주를 이루게 되는것도 이와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4-S01 Text 예술성은 사상성에 의하여 담보되며 사상과 정서를 확고히 결합한 작품의 형상수준에 의하여 그 가치도 평가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6-S01 Text 여기로부터 사상성과 예술성을 확고히 결합시키는 문제가 문학창작에서 지켜야 할 기본원칙의 하나로 나선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7-S01 Text 《사상성과 예술성을 결합시키는것은 문학창작에서 지켜야 할 기 본원칙의 하나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1 Text 사상성과 예술성을 결합시키는 것은 단순히 창작상의 실무적인 요구가 아니라 문학의 본성으로부터 흘러나오는 필수적인 요구이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2 Text 원래 생활을 형상적으로 반영하는 문학은 사상성과 예술성을 형 상창조과정에 확고히 결합시켜나가며 이것을 본성적요구로 내세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3 Text 문학에서 사상성이 없으면 사상교양을 실현할수 없고 예술성이 없으면 형상이 저조하고 흥미가 없어 언어예술로서의 본성을 살려내지 못 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1-S01 Text 문학과 예술은 언제나 사상성과 예술성이 결합된 방식으로 존재하며 사상예술성으로 평가되고 인식교양적 역할을 담당수행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2-S01 Text 훌륭한 작품의 특징은 높은 사상예술성에 있으며 그 가치평가도 사상성과 예술성의 균형을 보장하면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3-S01 Text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는 고상한 예술성과 결합된 높은 사상성, 이것은 예술작품의 가치를 규정하는데서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3-S02 Text 문학작품의 참다운 가치는 높은 사상성을 가지고 인민대중을 혁명적으로 교양하는데 있으며 생동한 형상을 가지고…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2 Text 이런 힘은 오직 고상한 예술성과 결합된 높은 사상성을 가진 문학작품만이 가질수 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3 Text 문학에서 사상성이 주로 작품의 사상적 내용과 관련되여 있다면 예술성은 작품의 예술적 형식과 많이 관련되여있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2-S01 Text 작품에서 주제사상적 및 생활적 내용의 경향성은 사 상성을 표현하며 형식의 꾸밈새, 형상수법은 주로 예술성을 표현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1 Text 문학은 발생발전의 전력사적기간 민족문학으로 존재하고 당파적이며 계급적인 문학, 인민적인 문학으로 주류를 이루면서 발전하여…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2 Text 원래 문학은 사회적의식의 한 형태로 나온 것만큼 사회적성격을 첨예하게 띠게 되며 그것으로 하여 교양적역할을 담당수행하게 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3 Text 문학은 사람에 의하며 목적의식적으로 창조된것만큼 여기에는 창작가의 계급적립장과 관점이 반영되여있으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7-S01 Text 사회주의 문학이 사회교양자적사명과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당성, 로동계급 성, 인민성을 체현하여야 할 뿐아니라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8-S01 Text 《주체성과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은 다같이 문학의 사회적성격 과 가치를 규정하는 기본징표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9-S01 Text 사회주의 문학은 주체성과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사회적성격으로 확고히 체현하게 되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Text 사회주의민족문학은 무엇보다먼저 주체성을 민족문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사회적성격으로 뚜렷이 내세우고 주체적으로 발전시켜나간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Text 민족문학이 전력사적기간에 체현하고있는 고유한 특성이 민족성이라면 자주시대의 요구와 지향에 맞는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2-S01 Text 문학의 주체성은 본질에 있어서 민족자주정신의 반영이며 민족의 정기와 기상, 향취가 뚜렷이 표현된 민족문학의 얼굴이며 정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8-S01 Text 문학에서 주체성은 우선 민족자주정신의 반영이다.그 하나는 문학창작과 건설에서 자기 나라 인민의 자주적인 지향 과 요구를 구현하는것이다.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1-S01 Text 우리 문학은 주체성을 가장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주체문학으로서의 자기의 고유한 얼굴과 정신을 가지고 있으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2-S01 Text 문학은 주체성을 강화하면 할수록 민족적 정기와 민족자주정신으로 충만된 민족문학으로, 인민대중의 자주적인 지향과 요구, 미감에 맞는 혁명적이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3-S01 Text 사회주의민족문학은 다음으로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높이 체현하게 됨으로써 당적이며 로동계급적이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4-S01 Text 문학에서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은 주체성을 전제로 하며 그것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요구에서 높이 발양되는 사회주의민족문학의 사회적성격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4-S02 Text 민족자주정신을 구현하고 민족의 정기와 기상이 나래치는 주체의 문학에서만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이 높이 발양될 뿐아니라…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1 Text 실제상 주체성을 떠난 당적이며 로동계급적이며 인민적인 문학이란 무의미한것이며 그것은 혁명적이며 인민적인 성격을 체현할수도 없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2 Text 주체성을 떠난 문학의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이 있을수 없는것 은 우선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 그자체의 본질로부터 흘러나온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3 Text 문학의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은 온갖 예속과 구속에서 벗어나 자주적으로, 창조적으로 살며 발전하려는…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4 Text 이것이 다름아닌 로동계급의 당의 요구이며 인민대중의 자주적인 지향일뿐아니라 로동계급의 근본립장이며 정신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6-S01 Text 여기로부터 주체성과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은 뗄수없이 밀착되여있을뿐 아니라 주체성을 전제로 하여…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6-S02 Text 주체성을 떠난 문학의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이 있을수 없는것은 또한 주체성이 이여의 사회적성격을 특징짓는 기본요인이라는 사정과 관련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7-S01 Text 그것은 주체성을 확고히 체현한 문학이야말로 자주시대의 요구에 맞는 당적이며 로동계급적이며 인민적인 주체형의 문학 으로 특징되기 때문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8-S01 Text 문학의 당성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실현하기 위한 로동계급의 당의 사상과 의도를 구현하는 당적문학의 사상정신적 특질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9-S01 Text 문학의 당성은 당과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제일생명으로 하는 당적문학의 사회계급적성격이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0-S01 Text 우리 문학에서 당성은 당과 수령에 대한 충실성으로 문학사업을 일관시키며 당의 로선과 정책을 옹호관철하는 백절불굴의 정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1-S01 Text 문학의 당성은 그 문학이 당의 로선과 정책을 견결히 옹호관철하며 창작사업의 전과정을 당에 대한 충실성으로 일관시키고있는가,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2-S01 Text 문학의 로동계급성은 가장 선진적이며 혁명적인 계급인 로동계급의 요구와 리해관계를 철저히 반영하며…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3-S01 Text 문학에서 로동계급성은 자기뿐아니라 사회의 모든 성원들을 온갖 예속과 구속에서 해방하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5-S01 Text 오늘 우리 문학에서 로동계급성은 위대한 선군의 기치밑에 제국 주의자들의 반사회주의적책동을 짓부시며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7-S01 Text 우리 문학에서는 수령의 군대, 당의 군대, 로동계급의 군대인 인민군대의 수령결사옹위정신, 결사관철의 정신,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8-S01 Text 문학의 로동계급성은 혁명문학에 체현되는 계급적성격으로서 온갖 부르죠아적이며 반동적인 문학과 달리 로동계급의 사상과 요구,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1 Text 사회주의 문학에서 로동계급성은 로동계급적 관점에서 계급투쟁의 현실을 보고 계급과 계층의 전형을 옳게 그려냈는가, …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2 Text 문학의 인민성은 인민대중의 자주적인 요구와 리해관계를 반영하고 인민대중을 위하여 복무하는 문학의 인민적성격이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3 Text 문학의 인민성은 인민적인 문학에 체현된 성질로서 인민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 을 형상적으로 구현한데서 집중적으로 표현된다.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40-S01 Text 다시말하여 인민대중 의 지향과 요구, 사상감정을 얼마나 진실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인민대중에게 얼마나 쉽게 리해되고… 문학 Term 문학 사회적_의식 Term 사회적_의식 교양적_역할 Term 교양적_역할 사상성 Term 사상성 계급성 Term 계급성 예술성 Term 예술성 사상교양적_기능 Term 사상교양적_기능 김정일동지 Term 김정일동지 주체문학예술 Term 주체문학예술 사상인식교양 Term 사상인식교양 정치생활 Term 정치생활 주제사상적_내용 Term 주제사상적_내용 생활 Term 생활 예술 Term 예술 인민대중 Term 인민대중 자주적_생활 Term 자주적_생활 창조적_생활 Term 창조적_생활 투쟁 Term 투쟁 력사발전의_합법칙성 Term 력사발전의_합법칙성 력사과학 Term 력사과학 사회정치학 Term 사회정치학 사회정치생활 Term 사회정치생활 사상예술적_기초 Term 사상예술적_기초 복무정신 Term 복무정신 인간학 Term 인간학 주체사상 Term 주체사상 사람의_본질적_특성 Term 사람의_본질적_특성 문학예술 Term 문학예술 사회적_현상 Term 사회적_현상 사람중심해석 Term 사람중심_해석 사람중심_세계관 Term 사람중심_세계관 자연 Term 자연 사회현상 Term 사회현상 자주성 Term 자주성 인간에게_복무 Term 인간에게_복무 인간형상창조 Term 인간형상창조 문학의_형상창조 Term 문학의_형상창조 문학의_복무정신 Term 문학의_복무정신 사람중심 Term 사람중심 정치적_생명문제 Term 정치적_생명문제 사상 Term 사상 인간학적_본성 Term 인간학적_본성 사상정서교양 Term 사상정서교양 사회정치적_생명 Term 사회정치적_생명 삶의_문제 Term 삶의_문제 인간의_자주성 Term 인간의_자주성 문학의_인간학적_본성 Term 문학의_인간학적_본성 사람의_본성 Term 사람의_본성 문학의_근본문제 Term 문학의_근본문제 인간학리론 Term 인간학리론 사회교양자적_사명 Term 사회교양자적_사명 문학의_사명 Term 문학의_사명 혁명 Term 혁명 사회교양자적_능력 Term 사회교양자적_능력 사회교양자적_역할 Term 사회교양자적_역할 사회계급적_성격 Term 사회계급적_성격 교양적_목적 Term 교양적_목적 자주위업 Term 자주위업 사회주의_위업수행 Term 사회주의_위업수행 부르죠아반동문학 Term 부르죠아반동문학 반동적인_착취계급 Term 반동적인_착취계급 문학의_기본_사명 Term 문학의_기본_사명 주체혁명위업수행 Term 주체혁명위업수행 자주성에_대한_문제 Term 자주성에_대한_문제 자주적인_인간 Term 자주적인_인간 주체형의_인간전형 Term 주체형의_인간전형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Term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당의_사상과_의도 Term 당의_사상과_의도 주체혁명위업 Term 주체혁명위업 선군혁명위업 Term 선군혁명위업 혁명의_자주적_주체 Term 혁명의_자주적_주체 주체형의_혁명가 Term 주체형의_혁명가 참다운_인간학 Term 참다운_인간학 문학의_교양적_기능 Term 문학의_교양적_기능 문학의_사명과_임무 Term 문학의_사명과_임무 생활인식적_기능 Term 생활인식적_기능 정치에_복무 Term 정치에_복무 사상적_무기 Term 사상적_무기 사상개조 Term 사상개조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Term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사상교양_과업 Term 사상교양_과업 주체의_인간학 Term 주체의_인간학 문학의_형상원천 Term 문학의_형상원천 사회정치적_생명체 Term 사회정치적_생명체 주체의_철학적_원리 Term 주체의_철학적_원리 정치사상교양_실현 Term 정치사상교양_실현 정치사상교양적_기능 Term 정치사상교양적_기능 생활인식 Term 생활인식 작품의_생활 Term 작품의_생활 자주성_옹호 Term 자주성_옹호 영웅적_투쟁 Term 영웅적_투쟁 문화정서교양적_기능 Term 문화정서교양적_기능 문화정서교양 Term 문화정서교양 혁명적_생활감정 Term 혁명적_생활감정 민족적_정서 Term 민족적_정서 문학의_기본_속성 Term 문학의_기본_속성 사상적인_것 Term 사상적인_것 예술적_형식 Term 예술적_형식 문학의_기초_범주 Term 문학의_기초_범주 산인간 Term 산인간 산인간의_형상 Term 산인간의_형상 문학의_형상적_특성 Term 문학의_형상적_특성 형상 Term 형상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Term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주체의_문예관 Term 주체의_문예관 사상교양_실현 Term 사상교양_실현 사상적_지향 Term 사상적_지향 형상창조 Term 형상창조 예술적_형상 Term 예술적_형상 교양 Term 교양 사상교양 Term 사상교양 문학예술작품 Term 문학예술작품 문학의_창조물 Term 문학의_창조물 문학에_그려지는_사람 Term 문학에_그려지는_사람 사상의식 Term 사상의식 사람의_역할 Term 사람의_역할 사상적_경향 Term 사상적_경향 작가의_견해 Term 작가의_견해 작가의_평가 Term 작가의_평가 인간생활에_대한_평가 Term 인간생활에_대한_평가 사상적_해답 Term 사상적_해답 인간생활에_대한_견해 Term 인간생활에_대한_견해 사상의_경향성 Term 사상의_경향성 문학의_사상성 Term 문학의_사상성 가치 Term 가치 사회교양자적_임무 Term 사회교양자적_임무 문학의_기능 Term 문학의_기능 문학의_역할 Term 문학의_역할 교양적_가치 Term 교양적_가치 사회주의 신념 Term 사회주의_신념 종자 Term 종자 주체사상대 Term 주체사상대 작품 Term 작품 문학의_본성 Term 문학의_본성 문학_건설 Term 문학_건설 문학_창작 Term 문학_창작 형상창조_과정 Term 형상창조_과정 사상예술성 Term 사상예술성 인식교양적_역할 Term 인식교양적_역할 예술작품의_가치 Term 예술작품의_가치 문학작품의_가치 Term 문학작품의_가치 혁명적_교양 Term 혁명적_교양 문학작품 Term 문학작품 사상적_내용 Term 사상적_내용 주제사상적 Term 주제사상적 생활적_내용 Term 생활적_내용 문학의_사회적_성격 Term 문학의_사회적_성격 주체성 Term 주체성 사상교양적_역할 Term 사상교양적_역할 계급적_립장 Term 계급적_립장 계급사회 Term 계급사회 계급문학 Term 계급문학 사회주의문학 Term 사회주의문학 사회교양자적_사명 Term 사회교양자적_사명 당성 Term 당성 인민성 Term 인민성 주체적민족문학 Term 주체적민족문학 사회적_성격 Term 사회적_성격 사회주의민족문학 Term 사회주의민족문학 민족문학 Term 민족문학 새로운_민족문학 Term 새로운_민족문학 문학의_주체성 Term 문학의_주체성 민족자주정신 Term 민족자주정신 주체가_선_민족문학 Term 주체가_선_민족문학 사회적_성격 Term 사회적_성격 자주위업수행 Term 자주위업수행 자주적_지향 Term 자주적_지향 자주적_요구 Term 자주적_요구 로동계급적 Term 로동계급적 인민적인_문학 Term 인민적인_문학 혁명적_성격 Term 혁명적_성격 당의_요구 Term 당의_요구 로동계급의_근본립장 Term 로동계급의_근본립장 로동계급의_정신 Term 로동계급의_정신 주체형문학 Term 주체형문학 당적문학 Term 당적문학 당적문학의_사회계급적_성격 Term 당적문학의_사회계급적_성격 사회주의문학의_당적원칙성 Term 사회주의문학의_당적원칙성 문학의_당성 Term 문학의_당성 당과_수령에_대한_충실성 Term 당과_수령에_대한_충실성 주체문학 Term 주체문학 당의_로선 Term 당의_로선 당의_정책 Term 당의_정책 당에_대한_충실성 Term 당에_대한_충실성 당의_령도 Term 당의_령도 당적원칙 Term 당적원칙 문학의_계급적_성격 Term 문학의_계급적_성격 문학의_로동계급성 Term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적_원칙 Term 혁명적_원칙 사회주의강국_건설 Term 사회주의강국_건설 혁명적신념 Term 혁명적신념 계급의식 Term 계급의식 혁명정신 Term 혁명정신 수령결사옹위정신 Term 수령결사옹위정신 결사관철의정신 Term 결사관철의정신 영웅적_희생정신 Term 영웅적희생_정신 혁명문학 Term 혁명문학 로동계급의_사상 Term 로동계급의_사상 로동계급의_요구 Term 로동계급의_요구 로동계급의_혁명위업 Term 로동계급의_혁명위업 사회주의문학의_계급성 Term 사회주의문학의_계급성 로동계급적_관점 Term 로동계급적_관점 계급투쟁의_현실 Term 계급투쟁의_현실 당의_계급로선 Term 당의_계급로선 군중로선 Term 군중로선 계급적선 Term 계급적선 인민대중의_자주적_요구 Term 인민대중의_자주적_요구 인민대중의_리해관계 Term 인민대중의_리해관계 인민적_성격 Term 인민적_성격 인민적_문학 Term 인민적_문학 인민의_요구 Term 인민의_요구 문학의_인민성 Term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지향 Term 인민대중의_지향 사상감정 Term 사상감정 로동계급성 Term 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리해관계 Term 로동계급의_리해관계 로동계급의_근본입장 Term 로동계급의_근본입장 인민대중의_요구 Term 인민대중의_요구 당적 Term 당적 김일성동지 Term 김일성동지 건설 Term 건설 혁명활동 Term 혁명활동 주체문학론 Term 주체문학론 주체문학_건설 Term 주체문학_건설 정치사상교양 Term 정치사상교양 사회주의_강국 Term 사회주의_강국 문화정서교양적기능 Term 문화정서교양적기능 민족의_자주정신 Term 민족의_자주정신 주체의_문학 Term 주체의_문학 사회주의위업수행 Term 사회주의위업수행 문학 Term 문학 사회적_의식 Term 사회적_의식 교양적_역할 Term 교양적_역할 사상성 Term 사상성 계급성 Term 계급성 예술성 Term 예술성 사상교양적_기능 Term 사상교양적_기능 김정일동지 Term 김정일동지 주체문학예술 Term 주체문학예술 사상인식교양 Term 사상인식교양 정치생활 Term 정치생활 주제사상적_내용 Term 주제사상적_내용 생활 Term 생활 예술 Term 예술 인민대중 Term 인민대중 자주적_생활 Term 자주적_생활 창조적_생활 Term 창조적_생활 투쟁 Term 투쟁 력사발전의_합법칙성 Term 력사발전의_합법칙성 력사과학 Term 력사과학 사회정치학 Term 사회정치학 사회정치생활 Term 사회정치생활 사상예술적_기초 Term 사상예술적_기초 복무정신 Term 복무정신 인간학 Term 인간학 주체사상 Term 주체사상 사람의_본질적_특성 Term 사람의_본질적_특성 문학예술 Term 문학예술 사회적_현상 Term 사회적_현상 사람중심해석 Term 사람중심해석 사람중심_세계관 Term 사람중심_세계관 자연 Term 자연 사회현상 Term 사회현상 자주성 Term 자주성 인간에게_복무 Term 인간에게_복무 인간형상창조 Term 인간형상창조 문학의_형상창조 Term 문학의_형상창조 문학의_복무정신 Term 문학의_복무정신 사람중심 Term 사람중심 정치적_생명문제 Term 정치적_생명문제 사상 Term 사상 인간학적_본성 Term 인간학적_본성 사상정서교양 Term 사상정서교양 사회정치적_생명 Term 사회정치적_생명 삶의_문제 Term 삶의_문제 인간의_자주성 Term 인간의_자주성 문학의_인간학적_본성 Term 문학의_인간학적_본성 사람의_본성 Term 사람의_본성 문학의_근본문제 Term 문학의_근본문제 인간학리론 Term 인간학리론 사회교양자적_사명 Term 사회교양자적_사명 문학의_사명 Term 문학의_사명 혁명 Term 혁명 사회교양자적_능력 Term 사회교양자적_능력 사회교양자적_역할 Term 사회교양자적_역할 사회계급적_성격 Term 사회계급적_성격 교양적_목적 Term 교양적_목적 자주위업 Term 자주위업 사회주의_위업수행 Term 사회주의_위업수행 부르죠아반동문학 Term 부르죠아반동문학 반동적인_착취계급 Term 반동적인_착취계급 문학의_기본_사명 Term 문학의_기본_사명 주체혁명위업수행 Term 주체혁명위업수행 자주성에_대한_문제 Term 자주성에_대한_문제 자주적인_인간 Term 자주적인_인간 주체형의_인간전형 Term 주체형의_인간전형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Term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당의_사상과_의도 Term 당의_사상과_의도 주체혁명위업 Term 주체혁명위업 선군혁명위업 Term 선군혁명위업 혁명의_자주적_주체 Term 혁명의_자주적_주체 주체형의_혁명가 Term 주체형의_혁명가 참다운_인간학 Term 참다운_인간학 문학의_교양적_기능 Term 문학의_교양적_기능 문학의_사명과_임무 Term 문학의_사명과_임무 생활인식적_기능 Term 생활인식적_기능 정치에_복무 Term 정치에_복무 사상적_무기 Term 사상적_무기 사상개조 Term 사상개조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Term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사상교양_과업 Term 사상교양_과업 주체의_인간학 Term 주체의_인간학 문학의_형상원천 Term 문학의_형상원천 사회정치적_생명체 Term 사회정치적_생명체 주체의_철학적_원리 Term 주체의_철학적_원리 정치사상교양_실현 Term 정치사상교양_실현 정치사상교양적_기능 Term 정치사상교양적_기능 생활인식 Term 생활인식 작품의_생활 Term 작품의_생활 자주성_옹호 Term 자주성_옹호 영웅적_투쟁 Term 영웅적_투쟁 문화정서교양적_기능 Term 문화정서교양적_기능 문화정서교양 Term 문화정서교양 혁명적_생활감정 Term 혁명적_생활감정 민족적_정서 Term 민족적_정서 문학의_기본_속성 Term 문학의_기본_속성 사상적인_것 Term 사상적인_것 예술적_형식 Term 예술적_형식 문학의_기초_범주 Term 문학의_기초_범주 산인간 Term 산인간 산인간의_형상 Term 산인간의_형상 문학의_형상적_특성 Term 문학의_형상적_특성 형상 Term 형상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Term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주체의_문예관 Term 주체의_문예관 사상교양_실현 Term 사상교양_실현 사상적_지향 Term 사상적_지향 형상창조 Term 형상창조 예술적_형상 Term 예술적_형상 교양 Term 교양 사상교양 Term 사상교양 문학예술작품 Term 문학예술작품 문학의_창조물 Term 문학의_창조물 문학에_그려지는_사람 Term 문학에_그려지는_사람 사상의식 Term 사상의식 사람의_역할 Term 사람의_역할 사상적_경향 Term 사상적_경향 작가의_견해 Term 작가의_견해 작가의_평가 Term 작가의_평가 인간생활에_대한_평가 Term 인간생활에_대한_평가 사상적_해답 Term 사상적_해답 인간생활에_대한_견해 Term 인간생활에_대한_견해 사상의_경향성 Term 사상의_경향성 문학의_사상성 Term 문학의_사상성 가치 Term 가치 사회교양자적_임무 Term 사회교양자적_임무 문학의_기능 Term 문학의_기능 문학의_역할 Term 문학의_역할 교양적_가치 Term 교양적_가치 사회주의 Term 사회주의 종자 Term 종자 주체사상대 Term 주체사상대 작품 Term 작품 문학의_본성 Term 문학의_본성 문학_건설 Term 문학_건설 문학_창작 Term 문학_창작 형상창조_과정 Term 형상창조_과정 사상예술성 Term 사상예술성 인식교양적_역할 Term 인식교양적_역할 예술작품의_가치 Term 예술작품의_가치 문학작품의_가치 Term 문학작품의_가치 혁명적_교양 Term 혁명적_교양 문학작품 Term 문학작품 사상적_내용 Term 사상적_내용 주제사상적 Term 주제사상적 생활적_내용 Term 생활적_내용 문학의_사회적_성격 Term 문학의_사회적_성격 주체성 Term 주체성 사상교양적_역할 Term 사상교양적_역할 계급적_립장 Term 계급적_립장 계급사회 Term 계급사회 계급문학 Term 계급문학 사회주의문학 Term 사회주의문학 사회교양자적_사명 Term 사회교양자적_사명 당성 Term 당성 인민성 Term 인민성 주체적민족문학 Term 주체적민족문학 사회적_성격 Term 사회적_성격 사회주의민족문학 Term 사회주의민족문학 민족문학 Term 민족문학 사회적_성격 Term 사회적_성격 새로운_민족문학 Term 새로운_민족문학 문학의_주체성 Term 문학의_주체성 민족자주정신 Term 민족자주정신 자주적_지향 Term 자주적_지향 자주적_요구 Term 자주적_요구 주체가_선_민족문학 Term 주체가_선_민족문학 사회적_성격 Term 사회적_성격 자주위업수행 Term 자주위업수행 자주적_지향 Term 자주적_지향 자주적_요구 Term 자주적_요구 사회주의민족문학 Term 사회주의민족문학 민족자주정신 Term 민족자주정신 로동계급적 Term 로동계급적 인민적인_문학 Term 인민적인_문학 혁명적_성격 Term 혁명적_성격 당의_요구 Term 당의_요구 로동계급의_근본립장 Term 로동계급의_근본립장 로동계급의_정신 Term 로동계급의_정신 주체형문학 Term 주체형문학 당적문학 Term 당적문학 당적문학의_사회계급적_성격 Term 당적문학의_사회계급적_성격 사회주의문학의_당적원칙성 Term 사회주의문학의_당적원칙성 문학의_당성 Term 문학의_당성 당과_수령에_대한_충실성 Term 당과_수령에_대한_충실성 주체문학 Term 주체문학 당의_로선 Term 당의_로선 당의_정책 Term 당의_정책 당에_대한_충실성 Term 당에_대한_충실성 당의_령도 Term 당의_령도 당적원칙 Term 당적원칙 문학의_계급적_성격 Term 문학의_계급적_성격 문학의_로동계급성 Term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적_원칙 Term 혁명적_원칙 사회주의강국 Term 사회주의강국 혁명적신념 Term 혁명적신념 계급의식 Term 계급의식 혁명정신 Term 혁명정신 수령결사옹위정신 Term 수령결사옹위정신 결사관철의정신 Term 결사관철의정신 영웅적희생_정신 Term 영웅적희생_정신 혁명문학 Term 혁명문학 로동계급의_사상 Term 로동계급의_사상 로동계급의_요구 Term 로동계급의_요구 로동계급의_이해관계 Term 로동계급의_이해관계 로동계급의_혁명위업 Term 로동계급의_혁명위업 사회주의문학의_계급성 Term 사회주의문학의_계급성 로동계급적_관점 Term 로동계급적_관점 계급투쟁의_현실 Term 계급투쟁의_현실 당의_계급로선 Term 당의_계급로선 군중로선 Term 군중로선 계급적선 Term 계급적선 인민대중의_자주적_요구 Term 인민대중의_자주적_요구 인민대중의_리해관계 Term 인민대중의_리해관계 인민적_성격 Term 인민적_성격 인민적_문학 Term 인민적_문학 인민의_요구 Term 인민의_요구 문학의_인민성 Term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지향 Term 인민대중의_지향 사상감정 Term 사상감정 #Links 김일성전집_제27권-1955.10-1956.4. 김일성 wrote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1982.4-1984.7 김정일 wrote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1990.10-1991.5 김정일 wrote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1991.6-1991.10 김정일 wrote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1991.12-1992.4 김정일 wrote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1973.3-1973.12 김정일 wrote 높은_목표 박찬은 wrote 무성하는_해바라기들 석윤기 wrote 민족과_운명 이명자 isDirecterOf 백옥 이명자 isDirecterOf 붉은_선동원 조백령 wrote 열망 김문창 wrote 피바다 오태호 wrote 한_녀학생의_일기 안준보 isDirecterOf 최학신의 일가 백인준 isDirecterOf 김일성전집_제27권-1955.10-1956.4.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0권-1982.4-1984.7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4권-1990.10-1991.5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5권-1991.6-1991.10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16권-1991.12-1992.4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김정일선집_증보판_제5권-1973.3-1973.12 조선로동당출판사 hasPublisher 높은_목표 문학예술종합출판사 hasPublisher 무성하는_해바라기들 문예출판사 hasPublisher 민족과_운명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백옥 조선인민군4.25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붉은_선동원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hasPublisher 열망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hasPublisher 피바다 문예출판사 hasPublisher 한_녀학생의_일기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최학신의 일가 조선예술영화촬영소 wasProducedBy"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hasChapter 문학기본_류학생용-Book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hasChapter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 hasVers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 hasVers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hasVers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hasVers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2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hasPar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2-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0-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1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3-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8-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3-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6-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3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9-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0-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1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1-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2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1-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09-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9-S05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8-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0-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2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5-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8-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2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3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2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2-P02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2-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0-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3-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3-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4-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5-S04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6-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2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3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4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1-P029-S03 주제사상적_내용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3 력사과학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1-Part2-P006-S04 사회정치학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4-S03 문학의_복무정신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18-S01 문학의_형상창조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4-S02 삶의_문제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7-S01 사람의_본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7-S01 문학의_근본문제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1-P028-S01 김정일동지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2-S01 문학의_사명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1 사회주의_위업수행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4-S02 부르죠아반동문학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7-S01 문학의_기본_사명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09-S01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1-S01 문학의_교양적_기능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1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2 문학의_형상원천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4-S02 정치사상교양_실현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2-Part2-P017-S03 작품의_생활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2-S01 문학의_기본_속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006-S02 문학의_기초_범주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7-S03 문학의_형상적_특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09-S01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1-P018-S02 사상교양_실현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5-S01 문학예술작품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08-S01 문학의_창조물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4-S01 문학에_그려지는_사람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5-S01 사람의_역할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1 작가의_견해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1 작가의_평가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3 인간생활에_대한_평가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17-S03 인간생활에_대한_견해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20-S01 문학의_사상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1-S02 종자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38-S03 예술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3-S01 문학작품의_가치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3 주제사상적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3-Part3-P045-S03 생활적_내용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5-S02 계급사회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07-S01 문학의_사회적_성격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0-S01 새로운_민족문학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11-S01 민족문학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0-S01 문학의_당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8-S01 문학의_로동계급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39-S03 문학의_인민성 hasText 문학기본_류학생용-Chapter1-Verse4-P040-S01 사회주의문학 hasText 김일성동지 건설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혁명활동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주체혁명위업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주체문학론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주체문학_건설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주체문학예술 hasSemanticContextWith 김정일동지 주체의_문예관 hasSemanticContextWith 력사과학 인민대중 hasSemanticContextWith 력사과학 력사발전의_합법칙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회주의강국_건설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계급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교양적_기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예술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인식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정치생활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예술적_기초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정서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형상창조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정치적_생명문제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인간형상창조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회정치적_생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주체의_철학적_원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혁명의_자주적_주체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주체형의_혁명가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참다운_인간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생활인식적_기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정치사상교양적_기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문화정서교양적_기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정치에_복무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적_무기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개조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형상과제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정치사상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생활인식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적인_것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산인간의_형상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회주의_신념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사상교양적_역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계급적_립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계급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자주적_지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자주적_요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수령결사옹위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결사관철의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 영웅적_희생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형상적_특성 산인간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당의_사상과_의도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예술의_근본사명 선군혁명위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교양적_기능 문학의_사명과_임무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기능 사회교양자적_능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기능 사회교양자적_역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적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적문학의_사회계급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사회주의문학의_당적원칙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과_수령에_대한_충실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의_로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의_정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에_대한_충실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의_령도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당성 당적원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요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리해관계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혁명위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문학의_계급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근본입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적_원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사회주의_강국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적신념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계급의식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혁명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의_사상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사회주의문학의_계급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로동계급적_관점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계급투쟁의_현실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당의_계급로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군중로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로동계급성 계급적선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사명 혁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사상성 가치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지향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요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자주적_요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대중의_리해관계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적_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인민의_요구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인민성 사상감정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정치사상교양 사상교양_과업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주체성 주체가_선_민족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의_형상원천 사회정치적_생명체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작품 사상의_경향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화정서교양 혁명적_생활감정 hasSemanticContextWith 문화정서교양 민족적_정서 hasSemanticContextWith 민족문학 민족자주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민족의_자주정신 주체의_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부르죠아반동문학 반동적인_착취계급 hasSemanticContextWith 사람의_역할 사상의식 hasSemanticContextWith 사람중심_세계관 인간학적_본성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형상창조_과정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작품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사상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사회교양자적_임무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문학의_기능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문학의_역할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교양적_가치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문학_창작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문학_건설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예술작품의_가치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혁명적_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성 사상적_내용 hasSemanticContextWith 사상적_내용 예술적_형식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적_의식 교양적_역할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정치학 사회정치생활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사회계급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복무정신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교양적_목적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자주위업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사회주의위업수행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사회교양자적_사명 hasSemanticContextWith 사회주의문학 주체적민족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생활의_사상적_알맹이 문학작품 hasSemanticContextWith 예술 사회적_의식 hasSemanticContextWith 예술 문화정서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예술 인식교양적_역할 hasSemanticContextWith 인간에게_복무 문학의_인간학적_본성 hasSemanticContextWith 인간학 주체사상 hasSemanticContextWith 인간학적_본성 주체의_인간학 hasSemanticContextWith 인간형상창조 인간에게_복무 hasSemanticContextWith 인민대중 자주적_생활 hasSemanticContextWith 인민대중 창조적_생활 hasSemanticContextWith 인민대중 투쟁 hasSemanticContextWith 인민대중 자주성 hasSemanticContextWith 인민성 주체성 hasSemanticContextWith 작품 사상적_지향 hasSemanticContextWith 작품 사상예술성 hasSemanticContextWith 작품의_생활 자주성_옹호 hasSemanticContextWith 작품의_생활 영웅적_투쟁 hasSemanticContextWith 종자 주체사상대 hasSemanticContextWith 주제사상적_내용 생활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사람의_본질적_특성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문학예술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사회적_현상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사람중심해석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사람중심_세계관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자연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사회현상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인간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사상 인간학리론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주체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사회주의민족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당적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로동계급적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인민적인_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인민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혁명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당성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로동계급성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인민성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사회적_성격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성 주체형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문예관 문학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문예관 문학의_본성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문예관 예술적_형상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인간학 자주성에_대한_문제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인간학 자주적인_인간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인간학 주체형의_인간전형 hasSemanticContextWith 주체의_인간학 자주위업수행 hasSemanticContextWith 형상 교양 hasSemanticContextWith 형상창조 사상 hasSemanticContextWith 형상창조 사람중심 hasSemanticContextWith 형상창조_과정 사상성 hasSemanticContextWith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3-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4-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5-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6-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7-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8-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9-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09-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0-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1-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1-S02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2-S01 hasSentence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 문학기본_류학생용-머리글-P012-S02 hasSentence #EndVisu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