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실습: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KHS DH wiki

39번째 줄: 39번째 줄:
  
 
===동영상===
 
===동영상===
<html>
 
<iframe width="480" height="270" src="https://www.youtube.com/embed/xn1Bk9e1L4o" title="[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html>
 
  
  
 
==위치 정보==
 
==위치 정보==
{{구글지도 | 위도 =36.2763865 | 경도 =126.9189991 | 줌 = 16}}
 
  
{| class="wikitable"
 
|-
 
! 위도 !! 경도 !! 주소
 
|-
 
| 36.2763865 || 126.9189991 ||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
==관련 항목==
  
==관련 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항목A !! 항목B !! 관계
 
|-
 
| [[실습:부여 석조]] || [[실습 국립부여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있다.
 
|-
 
|}
 
  
  
 
==참고문헌==
 
==참고문헌==
 
===Web Resource===
 
===Web Resourc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사전 || 부여 석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412
 
|-
 
| 사전 || 부여 석조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부여_석조
 
|-
 
| 사전 || 부여 석조 || 디지털부여문화대전 || https://www.grandculture.net/buyeo/toc/GC09000670
 
|-
 
| 해설 || 보물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1940000
 
|-
 
| 사진 || 부여 석조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6&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사진 || 석조 몸체의 훼손 상태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8&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사진 || 석조 중대 || 국가유산포털 ||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17597&ccbaKdcd=12&ccbaAsno=01940000&ccbaCtcd=34
 
|-
 
| 동영상 || [ Beautiful KOREA ] 3D 영상으로 보는 한국의 보물 / 부여 석조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xn1Bk9e1L4o
 
|}
 
※ 사전, 해설, 참고, 기사, 잡지, 사진, 동영상 등
 
  
  
 
===Bibliography===
 
===Bibliography===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Category !! Title !! Site !! Url
 
|-
 
| 단행본 ||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 1 - 삼국시대』, 국립중앙박물관, 2010. || RISS || https://www.riss.kr/link?id=M12814018
 
|-
 
| 단행본 || 진홍섭, 『한국불교미술』, 문예출판, 1998. || RISS || https://www.riss.kr/link?id=M3874447
 
|-
 
| 단행본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문화재대관 6 - 보물 4』, 대학당, 1986.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06020
 
|-
 
| 단행본 || 정영호, 『국보 7 - 석조』, 예경산업사, 1983. || RISS ||  https://www.riss.kr/link?id=M5750923
 
|-
 
| 논문 || 한정호,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 『미술사학연구』 306, 한국미술사학회, 2020.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0689
 
|-
 
|}
 
※ 단행본, 논문 등
 
  
  
113번째 줄: 60번째 줄: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실습:디지털아카이브2024-2]] [[분류:Knuch:김현승]]
+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분류:Knuch실습:디지털아카이브2024-2]] [[분류:Knuch:이예진]]

2024년 10월 2일 (수) 16:12 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
(公州 武寧王陵과 王陵園)
공주 송산리 고분군.jpg
한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
한자 公州 武寧王陵과 王陵園
영어 Tomb of King Muryeong and Royal Tombs, Gongju
시대 백제시대 중기
소장처 공주시 등
유형 무덤, 고분군
크기 541,524.4㎡
국가유산 종목 사적
국가유산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내용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웅진 백제시대 왕들의 무덤이 모여있는 곳이다.

무령왕릉을 포함한 이 일대의 고분들은 모두 7기가 전해지는데, 송산을 주산으로 뻗은 구릉 중턱의 남쪽 경사면에 위치한다.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는 무령왕릉과 5 ·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는 1∼4호분이 있다. 1∼6호분은 일제시대에 조사되어 고분의 구조와 형식이 밝혀졌고, 무령왕릉은 1971년 5 ·6호분의 보수공사 때 발견되었다.

고분들은 모두가 표고 약120m 정도되는 송산(宋山)을 북쪽의 주산(主山)으로 한 중턱 남쪽경사면에 자리하고 있는데, 1∼5호분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무덤 입구에서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널방(현실)에 이르는 널길이 널방 동쪽벽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4호분은 바닥에 냇자갈을 깔아 널받침(관대)을 만들었는데, 5호분은 벽돌을 이용하였다. 이처럼 같은 양식의 무덤이면서 구조와 규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것은 시기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5호분은 원형으로 남아 있으나, 1∼4호분은 조사되기 전에 이미 도굴되었다. 이외에 벽돌무덤(전축분)으로 송산리벽화고분이라고도 불리는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6호분은 활모양 천장으로 된 이중 널길과 긴 네모형의 널방으로 되어 있는데 오수전(五銖錢)이 새겨진 벽돌로 정연하게 쌓았다. 널방 벽에는 7개의 등자리와 사신도 · 일월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무령왕릉도 6호분과 같이 연꽃무늬 벽돌로 가로쌓기와 세로쌓기를 반복하여 벽을 쌓았다. 벽에는 5개의 등자리가 있고, 무덤주인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지석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6호분과 무령왕릉은 현재 남아있는 백제의 벽돌무덤으로, 모두 터널형 널방 앞에 짧은 터널형 널길을 가지고 있으며 긴 배수로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벽돌무덤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벽화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무령왕릉의 경우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어 백제사회의 사회 ·문화상을 연구하는데 절대자료로 평가된다.[1]


갤러리

사진


동영상

위치 정보

관련 항목

참고문헌

Web Resource

Bibliography

주석

  1.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