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1번째 줄: |
131번째 줄: |
| | | |
| ===데이터 목록=== | | ===데이터 목록===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1차 데이터 목록]] |
− | ! class !! label !! 설명 !! Relation !! note
| + | *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2차 데이터 목록]] |
− | |-
| |
− | | 장소 || 무량사(無量寺)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 |-
| |
− | | 인물 || 김시습(金時習) || 조선전기 『매월당집』,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 김시습이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다가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이 무량사이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은 무량사에서 관리한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 마곡사(麻谷寺)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 || 마곡사는 신라의 승려 자장이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 |-
| |
− | | 인물 || 김구(金九) || 광복 이후 대한민국 시절까지 활약한 독립운동가. || 김구가 탈옥한 뒤 숨은 곳이 마곡사이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 갑사(甲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사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 ||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 갑사 승탑 ||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 갑사 승탑은 갑사에서 관리한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 신원사(新元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령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보덕이 창건한 사찰. ||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 동학사(東鶴寺)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승려 상원이 창건한 사찰. || 동학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부여의 사찰이다. || 성지수
| |
− | |-
| |
− | | 보물 || 무량사 극락전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 성지수
| |
− | |-
| |
− | |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건립된 불탑이다. || 성지수
| |
− | |-
| |
− | | 인물 || 김시습 ||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했다." ||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만년을 보냈다. || 성지수
| |
− | |-
| |
− | | 유형문화유산 || 무량사김시습부도 ||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 무량사김시습부도는 무량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 성지수
| |
− | |-
| |
− | | 유적 || 부여 능산리사지 || 부여나성과 부여능산리고분군 사이에 위치한 백제시대 절터유적 || 부여 능산리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 | |-
| |
− | | 유물 || 백제 금동대향로 || 부여 능산리사지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발견된 백제의 향로 ||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백제 금동대향로가 발굴되었다. || 박서은
| |
− | |-
| |
− | | 유물 ||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 백제 시기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 ||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이 발굴되었다. || 박서은
| |
− | |-
| |
− | | 유적 || 부여 왕릉원 || 부여나성 바로 밖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 사비시기 왕실의 능묘군 || 부여 왕릉원은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 | |-
| |
− | | 유적 || 부여 정림사지 ||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시기(538-660)의 중심 사찰이 있던 자리 || 부여 정림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 | |-
| |
− | | 건축물 || 부여 정림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사찰 || 정림사지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사찰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탑 || 정림사지 내에 있는 백제 석탑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공주 갑사 승탑 ||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승탑 ||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신라 사찰 승탑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공주 갑사 대웅전 ||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건물 ||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창건된 신라 사찰 건물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공주 공산성 || 충남 공주시 산성동 2번지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도성 || 삼국시대에 건립된 백제 도성이다. || 정의윤
| |
− | |-
| |
− | | 사적 || 무령왕릉 ||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능. 사적이다. || 무령왕릉은 무령왕의 무덤이다. || 서단비
| |
− | |-
| |
− | | 국보 || 무령왕릉 지석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이다. || 국보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 서단비
| |
− | |-
| |
− | | 국보 || 무령왕릉 석수 ||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로,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 국보 무령왕릉 석수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 서단비
| |
− | |-
| |
− | | 사적 || 공주 공산성 || 충남 공주시 산성동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 웅진기의 왕성이다. || 공산성은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였다. || 서단비
| |
− | |-
| |
− | | 인물 || 문주왕 || 백제 제22대 왕이다. || 문주왕은 공산성으로 천도하였다. || 서단비
| |
− | |-
| |
− | | 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위치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 취락유적. || 부여 송국리 유적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 고경민
| |
− | |-
| |
− | | 유물 || 송국리식 토기 || 청동기시대에 충청도와 전라도의 서부지방에서 만들어져 사용된 민무늬토기. || 송국리식 토기는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 | |-
| |
− | | 유적 || 부여 능산리 사지 || 창왕(위덕왕)이 아버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567년에 조성한 백제의 왕실사찰터. || 부여 능산리 사지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 고경민
| |
− | |-
| |
− | | 유물 || 백제 금동대향로 ||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7세기 초 백제의 금동향로. || 백제 금동대향로는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 | |-
| |
− | | 유물 ||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 ||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백제의 명문사리감. ||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은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 | |-
| |
− | | 사적 || 부여 왕흥사지 ||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는 왕흥사의 옛터 || 부여 왕흥사지에서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 이수현
| |
− | |-
| |
− | | 국보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 백제시대 사리장엄구이자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리기 ||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청동제사리합과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으로 구성된다. || 이수현
| |
− | |-
| |
− | | 사적 || 부여 정림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음 동남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 부여 정림사지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 이수현
| |
− | |-
| |
− | | 국보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부여 정림사지에 세워져 있는 오층석탑 ||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 이수현
| |
− | |-
| |
− | | 보물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 ||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 이수현
| |
− | |-
| |
− | | 사적 || 무령왕릉 || 충남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 ||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다. || 이수현
| |
− | |-
| |
− | | 인물 || 무령왕 || 백제 제25대 왕 || 무령왕은 무령왕릉에 안치되었다. || 이수현
| |
− | |-
| |
− | | 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국립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은 주로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한다. || 송미현
| |
− | |-
| |
− | | 유적 || 궁남지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 || 궁남지는 '서부후항'목간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 | |-
| |
− | | 유적 || 부여 관북리 유적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추정 왕궁지. || 부여 관북리 유적은 부여 석조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 | |-
| |
− | | 유물 || '서부후항'목간 || 서부후항에 사는 사달사라는 사람의 생활을 기록한 목간. || '서부후항'목간은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 송미현
| |
− | |-
| |
− | | 유물 || 부여 석조 || 백제 왕궁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을 저장하는 용도의 석조물. || 부여 석조는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 송미현
| |
− | |-
| |
− | | 유물 || '중부'목간 || 백제 지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 || 부여 관북리 유적은 '중부'목간의 출토지이다. || 송미현
| |
− | |-
| |
− | | Place || 부소산성 ||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 || 부여 부소산성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서단비
| |
− | |-
| |
− | | Object/Heritage || 무량사 석등 ||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 부여 무량사 석등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 서단비
| |
− | |-
| |
− | | Object/Heritage || 무량사 석등 ||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 부여 무량사 석등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 서단비
| |
− | |-
| |
− | | Object/Heritage || 무량사오층석탑출토유물 || 1971년 무량사 오층석탑에 대한 해체·복원 작업중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 무량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 서단비
| |
− | |-
| |
− | | Object/Heritage || 무량사 동종 || 무량사 동종은 임진왜란 후 무량사 중창 불사 시에 조성된 범종이다. || 무량사 동종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 서단비
| |
− | |-
| |
− | | 세계유산 || 백제역사유적지구 ||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위치한 문화유산으로 8곳으로 구성됨 || 부여 왕릉원은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다 || 박서은
| |
− | |-
| |
− | | 장소 || 익산 미륵사지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미륵사의 사찰터 || 삼국유사에 익산 미륵사지의 설화가 등장한다 || 박서은
| |
− | |-
| |
− | | 장소 || 익산 미륵사 ||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최대의 사찰. 무왕 대에 창건한 것으로 알려짐 || 익산 미륵사는 백제시대의 탑이다. || 박서은
| |
− | |-
| |
− | | 건축물 || 익산 미륵사지 석탑 || 미륵사에 있던 3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 / 국보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익산 미륵사지에 위치한다 || 박서은
| |
− | |-
| |
− | | 인물 || 무왕 || 백제의 30대 왕 || 무왕이 서동요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 박서은
| |
− | |-
| |
− | | 유물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 / 국보 || 사리장엄구는 익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되었다. || 박서은
| |
− | |-
| |
− | | 보물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 || 고려 말 문신 목은 이색의 초상화 영모영당본이다.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은 부여군의 문화유산이다. || 김대안
| |
− | |-
| |
− | | 인물 || 이색(李穡) || 고려 말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 그려졌다. || 김대안
| |
− | |-
| |
− | | 인물 || 허목(許穆) ||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도서에 언급한 인물이다. || 김대안
| |
− | |-
| |
− | | 도서 || 미수기언(眉嫂記言) ||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 김대안
| |
− | |-
| |
− | | 도서 ||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 ||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 김대안
| |
− | |-
| |
− | | 복식 || 관복 ||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서 이색이 입고 있는 복식이다. || 김대안
| |
− | |-
| |
− | | 소장처 ||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소장한 곳이다. || 김대안
| |
− | |-
| |
− | | 재질 || 비단 || 견직물을 총칭하는 용어. ||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비단으로 만들어졌다. || 김대안
| |
− | |-
| |
− | | 도서 || 목은집(牧隱集) ||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 || 이색이 작성한 시문집이다. || 김대안
| |
− | |-
| |
− | | 인물 || 이곡(李穀) || 고려 후기「죽부인전」, 『가정집』 등을 저술한 학자. || 이색의 아버지이다. || 김대안
| |
− | |-
| |
− | | place || 부여 나성 (扶餘 羅城)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의 성. || 부여나성은 청산성·청마산성과 함께 수도보호를 위한 외곽방어시설로 중요한 성.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부여 청산성 (扶餘 靑山城)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위치한 부소산 동쪽 500m 지점의 낮은 구릉 위에 있는 백제의 흙으로 쌓아만든 산성. ||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부소산성과 연결하여 쌓았던 보조산성.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부여 청마산성 (扶餘 靑馬山城)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당시 수도였던 사비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은 백제의 산성. || 성의 둘레는 약 5~6㎞이고, 흙과 돌로 쌓은 산성.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부여 가림성 (扶餘 加林城)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였던 웅진성과 사비성을 지키기 위하여 금강 하류 부근에 쌓은 석성. || 백제 때 쌓은 성곽 가운데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유일한 성이고, 옛 지명을 알 수 있는 유적으로 매우 중요.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부여 석성산성 (扶餘 石城山城) || 충남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 사비 남쪽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산성. || 사비성이 함락된 뒤에도 당나라군과 신라 및 백제부흥군이 치열한 전투를 했던 곳으로 유서 깊은 유적.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부여 증산성 (扶餘 甑山城) ||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에 위치한 성왕 16년(538)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나서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 백제 부흥운동군의 한 거점으로도 여겨지는 중요한 산성.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논산 노성산성 (論山 魯城山城) || 충남 논산시 노성면 송당리에 위치한 백제 때 산 정상부분을 돌로 둘러쌓아 만든 테뫼식 산성. || 백제와 신라가 서로 마주했던 마지막 방어지에 해당하는 산성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한 주요 방어지역이었던 곳.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논산 황산성 (黃山城) || 충남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에 위치한 산봉우리를 빙둘러 돌로 쌓은 산성. || 연산평야와 논산평야가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시기에 걸쳐 사용됨.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논산 황화산성 (論山皇華山城) || 충남 논산시 등화동에 위치한 구릉형 야산에 있는 산성으로, 계곡을 포함하여 쌓은 토성. || 백제 때에는 사비와 은진 주변을 지키기 위한 방어거점의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봉수대로 이용됨. || 남현준
| |
− | |-
| |
− | | place || 논산 외성산성 (外城山城) || 충남 논산-대전간 1호 국도변 산등성이에 자리한 산성으로, 해발 118m지점의 산봉우리를 빙 둘러 흙으로 쌓음. || 논산에서 연산으로 통하는 길목의 중요한 위치에 세워진 삼국시대의 성. || 남현준
| |
− | |-
| |
− | | 장소 (Place) || 무량사(無量寺)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되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인물 (Actor) || 김시습(金時習) || 조선전기 『매월당집』,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 김시습은 무량사와 관련이 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사물 (Object)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은 무량사에 위치한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장소 (Place) || 마곡사(麻谷寺)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 || 마곡사는 공주시 사곡면에 위치한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인물 (Actor) || 김구(金九) || 광복 이후 대한민국 시절까지 활약한 독립운동가. || 김구는 마곡사와 관련이 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장소 (Place) || 갑사(甲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사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 ||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사물 (Object) || 갑사 승탑 ||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 갑사 승탑은 갑사에서 관리한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장소 (Place) || 신원사(新元寺)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 ||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장소 (Place) || 동학사(東鶴寺)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에 있는 남북국시대에 창건한 사찰. || 동학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되었다. || 이아현(1차_수정보완)
| |
− | |-
| |
− | | 보물 (Heritage)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사물)은 보물이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Heritage) || 갑사 승탑 ||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 갑사 승탑(사물)은 보물이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부여군 외산면 || 충청남도 부여군 서북단에 위치하고 있음. || 부여군 외산면에는 만수산이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만수산 || 부여군 외산면과 보령시 미산면, 성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 || 만수산에는 무량사가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금오신화 || 김시습이 조선시대에 지은 전시소설이자, 조선 최초의 한문 소설집. || 김시습은 금오신화를 저술하였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매월당집 || 조선 전기 문인 김시습의 시가와 산물을 엮어 간행된 시문집. || 김시습은 매월당집을 저술하였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만복사저포기 || 조선 전기에 김시습이 지은 한문소설. || 김시습은 만복사저포기를 저술하였다. || 이아현
| |
− | |-
| |
− | | 인물 (Actor) || 생육신 || 조선전기 단종을 위하여 절의를 지킨 6인의 문신.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이 해당함. || 생육신에는 김시습이 해당한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무량사 극락전 || 2층 불전으로 구성된 무량사의 중심건물. ||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Heritage) || 무량사 극락전 || 2층 불전으로 구성된 무량사의 중심건물. || 무량사 극락전(사물)은 보물이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무량사 김시습 부도 || 김시습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무량사에 위치한다.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김시습과 관련이 있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Heritage) || 무량사 김시습 부도 || 김시습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보물이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공주시 사곡면 || 공주시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음 || 공주시 사곡면에는 태화산이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태화산 || 공주시 사곡면 북서쪽 경계에 위치하고 있음. || 태화산에는 마곡사가 있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인천 감리서 감옥 || 김구가 탈옥한 감옥. || 김구가 인천 감리서 감옥에서 탈옥했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공주시 계룡면 || 공주시 남부에 위치하고 있음 || 공주시 계룡면에는 계룡산이 있다. || 이아현
| |
− | |-
| |
− | | 장소 (Place) || 계룡산 || 공주시와 대전광역시 논산시에 위치하고 있음. || 계룡산에는 갑사, 신원사, 동학사가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신원사 오층석탑 || 신원사에 있는 고려전기 5층 석조 불탑. || 신원사 오층석탑은 신원사에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사물 (Object) ||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 || 조선시대 1606년에 제작된 불상. ||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에 위치한다. || 이아현
| |
− | |-
| |
− | | 보물 (Heritage) ||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 || 조선시대 1606년에 제작된 불상. ||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사물)은 보물이다. || 이아현
| |
− | |-
| |
− | | 건조물 || 부여 군수리 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19번지에 위치힌 백제의 절터 || 부여 군수리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의 절터이다. || 정의윤
| |
− | |-
| |
− | | 유물 ||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 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의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불상 || 군수리사지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 정의윤
| |
− | |-
| |
− | | 유물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 1936년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금동보살 || 군수리사지에서 발견된 보살상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신원사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의 서쪽에 위치한 사찰 ||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사찰이다. || 정의윤
| |
− | |-
| |
− | | 건축물 || 신원사 오층석탑 ||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 || 신원사 내에 있는 고려 석탑이다. || 정의윤
| |
− | |-
| |
− | | 유물 ||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 화엄종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대신하여 노사나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 || 신원사 내에 있는 조선 불교그림이다. || 정의윤
| |
− | |-
| |
− | | 장소 || 무량사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 무량사는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부여의 사찰이다. || 성지수
| |
− | |-
| |
− | | 보물 || 무량사 극락전 ||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 성지수
| |
− | |-
| |
− | |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 보물. ||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건립된 불탑이다. || 성지수
| |
− | |-
| |
− | | 인물 || 김시습 ||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했다." ||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인생의 만년을 보냈다. || 성지수
| |
− | |-
| |
− | | 유적건조물 || 무량사김시습부도 ||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 무량사김시습부도는 무량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 성지수
| |
− | |-
| |
− | | 장소 ||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 백제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 박물관이다. || 성지수
| |
− | |-
| |
− | | 국보 || 백제금동대향로 || 부여 능산리 백제시대 절터에서 출토된 불전에 향을 피울 때 쓰는 향로 ||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 성지수
| |
− | |-
| |
− | | 국보 || 금동관음보살입상 || 부여군 규암면 절터에서 발견된 머리에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을 쓴 관음보살 ||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 성지수
| |
− | |-
| |
− | | 보물 || 산수봉황무늬벽돌 || 백제 사비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도교 사상을 나타낸 벽돌 ||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 성지수
| |
− | |-
| |
− | | 시대 || 사비시대 || 538년 성왕(재위 523년∼554년)은 사비(지금의 부여)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라고 칭한 시기 ||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전시가 진행된다. || 성지수
| |
− | |-
| |
− | | place || 부여 능산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왕족의 무덤군. ||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 송미현
| |
− | |-
| |
− | | place || 부여 능안골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고위 귀족의 무덤군. || 부여 능안골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 송미현
| |
− | |-
| |
− | | place || 부여 염창리 고분군 ||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하위 귀족의 무덤군. || 부여 염창리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 송미현
| |
− | |-
| |
− | | object || 능산리형 석실 || 육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묘실의 형태. || 능산리형 석실은 사비 백제 시대에 채용되었다. || 송미현
| |
− | |-
| |
− | | heritage || 은제관모장식 || 백제시대에 주로 쓰인 은제 유물. || 은제관모장식은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출토되었다. || 송미현
| |
− | |-
| |
− | | 보물(Heritage)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 공주 마곡사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 오층석탑 ||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앞에 위치한다. || 이수현
| |
− | |-
| |
− | | 보물(Heritage) ||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 공주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야외 의식용 괘불화 ||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은 공주 마곡사에 위치한다. || 이수현
| |
− | |-
| |
− | | 보물(Heritage) || 공주 마곡사 영산전 || 공주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 || 공주 마곡사 영산전은 공주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이다. || 이수현
| |
− | |-
| |
− | | 보물(Heritage)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 공주 마곡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2층 법당 ||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뒤편에 위치한다. || 이수현
| |
− | |-
| |
− | | 보물(Heritage)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 공주 마곡사의 중심 법당 ||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은 공주 마곡사의 중심 법당이다. || 이수현
| |
− | |-
| |
− | | Place || 국립부여박물관 ||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 금동대향로를 소장하고 있다. || 고경민
| |
− | |-
| |
− | | Place || 국립익산박물관 ||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 국립익산박물관은 왕궁리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을 소장하고 있다. || 고경민
| |
− | |-
| |
− | | Object || 왕궁리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 || 익산 왕궁리유적 오층석탑 기단부 주춧돌의 사리 구멍에 안치되어 있던 불상. || 왕궁리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 | |-
| |
− | | Place || 익산 왕궁리유적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백제의 궁터 유적. || 익산 왕궁리유적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 고경민
| |
− | |-
| |
− | | Object || 왕궁리오층석탑 도금은제 금강경판 || 익산 왕궁리유적 오층석탑 1층 지붕돌 윗면 사리구멍에서 발견된 세로 17.4cm, 가로 14.8cm 크기인 19장의 경판. || 왕궁리오층석탑 도금은제 금강경판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 고경민
| |
− | |-
| |
− | | 사찰건축 || 무량사극락전 || 무량사는 신라시대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 무량사 극락전은 부여의 대표적인 사찰중 하나이다. || 이정빈
| |
− | |-
| |
− | | 궁궐건축 || 궁남지 ||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宮苑池)이다. 별궁 인공 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 궁남지는 별궁의 연못으로 부여의 정치적 모임, 행사의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게 여겨진다. || 이정빈
| |
− | |-
| |
− | | 민가 || 부여여흥민씨고택 || 충청지역 고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 || 충남지역의 고택의 대표적 예시 || 이정빈
| |
− | |-
| |
− | | 사찰건축 || 정림사지 || 백제시대 사찰터로 세계유산등재심사 통과 || 정림사지는 부여 중심부의 있는 사찰로 중심사찰로써의 기능을 했을것으로 보인다. || 이정빈
| |
− | |-
| |
− | | 지역 || 부여 || 부여는 수려한 자연경관과 함께 백제 문화의 유물·유적이 산재해 있는 문화 관광지이다. || 부여는 생황, 정치, 종교적 문화유산이 위치한 장소이다. || 이정빈
| |
− | |-
| |
− | | 사찰건축 || 삼충사 || 백제의 충신인 성충(成忠:?∼656), 흥수(興首:?∼?), 계백(階伯:?∼660)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957년에 세웠으며 1981년에 중건하였다 || 삼충사는 부여의 사찰로 문화재자료이다. || 이정빈
| |
− | |-
| |
− | | 사찰건축 || 부여 왕흥사지 ||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다. ||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부여의 왕흥사지가 지정되었다. || 이정빈
| |
− | |-
| |
− | | 궁궐건축 || 수북정 || 이 정자는 조선 광해군때 양주목사를 지낸 김흥국(1557-1623)이 벼슬을 버리고 은거할 때 건립한 정자로, 그의 호를 따서 수북정이라 하였다. || 부여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 이정빈
| |
− | |-
| |
− | | 국가시설건축 || 부여나성 || 부여나성은 백제 수도 사비 도성을 보호하기 위한 외곽 방어 시설이며, 수도의 안팎을 구분하는 경계 역할을 하는 도성의 외곽성이다. || 백제, 사비 도성의 외곽 성으로 도성을 보호하고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쌓은 성이다 || 이정빈
| |
− | |-
| |
− | | 국가시설건축 || 영일루 || 백제 때 축조된 부여 부소산성(사적)의 동대(東臺)에 유존하던 건물지에 홍산문루(鴻山門樓)를 옮겨와 세웠다. || 이곳에서는 부여 청마산성(사적)이 멀리 바라다 보이며, 남쪽으로는 백마강을 건너 임천면(林川面)에 있는 백제 때의 부여 가림성(사적)과 구룡평야가 조망된다. || 이정빈
| |
− | |-
| |
− | |}
| |
− | | |
− | * 참고자료 : [[knuch2024:데이터수정0507]] | |
| | | |
| [[분류:김현승]] [[분류:Knuch:디지털스토리텔링]]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 | [[분류:김현승]] [[분류:Knuch:디지털스토리텔링]] [[분류:한국전통문화대학교]] |